항공기 등록기호

항공기 등록기호는 항공기 등에 붙은 개별 기체 당 인식 기호의 통칭으로, 영어로 레지스트레이션 (registration)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항공기 인식의 표시 방법이 숫자로만 구성되기도 하는데, 이것은 미국 공군 (테일 코드), 영국 왕립공군 (영국)와 항공 자위대 (일본) 등의 군용기에만 사용된다.
개요[편집]
국제 민간 항공기구 (ICAO)에 가맹하는 세계 각국의 국가 및 지역의 민간 항공기를 인식하는 데 매기는 기체 상징이다. 따라서 군용기에 보이는 숫자로만 이루어진 일련 번호와 구별하기 위해 알파벳 또는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으로 국적을 나타낸다.
항공기 등록기호의 특징[편집]
- 1 ~ 9999의 숫자 사이에 있어야 한다.
- 알파벳 열 2자리 이하 (0 자리 가능)하고 숫자와 함께 5자리 이하
를 계속한다. 그러나 1 ~ 99 (알파벳 제외)는 연방 항공국 (FAA)에 의해 사용하고 있다.
1929년부터 1948년 12월 31일까지 현재와 다른 시스템 형식으로 등록되었다. 구 형식은 민간 항공기의 대부분은 "NC + 숫자"로 등록되어 있었다. 이 형식은 국적 기호가 도입된 1929년 이전부터 미국에서 사용된 형식이 바탕으로 되어 있었다.
나라별 등록기호[편집]
미국, 콜롬비아[편집]
- 등록기호 "N"
아랍에미리트[편집]
- 등록기호 "A6"
대한민국[편집]
- 등록기호 "HL"
일본[편집]
- 등록기호 "JA"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대만), 홍콩, 마카오[편집]
- 등록기호 "B-"[1]
필리핀[편집]
- 등록기호 "RP"
인도네시아[편집]
- 등록기호 "PK"
싱가포르[편집]
- 등록기호 "9V"
말레이시아[편집]
- 등록기호 "9M"
브루나이[편집]
- 등록기호 "V8"
터키[편집]
- 등록기호 "TC"
카타르[편집]
- 등록기호 "A7"
인도[편집]
- 등록기호 "VT"
포르투갈[편집]
- 등록기호 "CS"
파키스탄[편집]
- 등록기호 "AP"
방글라데시[편집]
- 등록기호 "S2"
케냐[편집]
- 등록기호 "5Y"
오만[편집]
- 등록기호 "A40"
에티오피아[편집]
- 등록기호 "ET"
네덜란드[편집]
- 등록기호 "PH"
영국[편집]
- 등록기호 "G-"
프랑스[2][편집]
- 등록기호 "F-"
스위스[편집]
- 등록기호 "HB"
모로코[편집]
- 등록기호 "CN"
브뤼셀[편집]
- 등록기호 "OO"
스페인[편집]
- 등록기호 "EC"
브라질[편집]
- 등록기호 "PP", "PR", "PT" 등
덴마크[편집]
- 등록기호 "OY"
불가리아[편집]
- 등록기호 "LZ"
오스트리아[편집]
- 등록기호 "OE"
아이슬란드[편집]
- 등록기호 "TF"
이집트[편집]
- 등록기호 "SU"
독일[편집]
- 등록기호 "D-"
라트비아[편집]
- 등록기호 "YL"
러시아[편집]
- 등록기호 "RA"[3]
핀란드[편집]
- 등록기호 "OH"
룩셈부르크[편집]
- 등록기호 "LX"
헝가리[편집]
- 등록기호 "HA"
우크라이나[편집]
- 등록기호 "UR"
루마니아[편집]
- 등록기호 "YR"
폴란드[편집]
- 등록기호 "SP"
바레인[편집]
- 등록기호 "A9C"
이탈리아[편집]
- 등록기호 "I"[4]
그리스[편집]
- 등록기호 "SX"
짐바브웨[편집]
- 등록기호 "Z-"
탄자니아[편집]
- 등록기호 "5H"
스리랑카[편집]
- 등록기호 "4R"
캐나다[편집]
- 등록기호 "C-"
오스트레일리아[편집]
- 등록기호 "VH"
뉴질랜드[편집]
- 등록기호 "ZK"
피지[편집]
- 등록기호 "DQ"
네팔[편집]
- 등록기호 "9N"
부탄[편집]
- 등록기호 "A5"
타지키스탄[편집]
- 등록기호 "VQ"
아프가니스탄[편집]
- 등록기호 "YA"
시리아[편집]
- 등록기호 "YK"
아르헨티나[편집]
- 등록기호 "LV"
칠레[편집]
- 등록기호 "CC"
파나마[편집]
- 등록기호 "HP"
이란[편집]
- 등록기호 "EP"
우즈베키스탄[편집]
- 등록기호 "UK"
나이지리아[편집]
- 등록기호 "5N"
르완다[편집]
- 등록기호 "9XR"
케이맨 제도[편집]
- 등록기호 "VP-C"
남아프리카 공화국[편집]
- 등록기호 "ZS"
세르비아[편집]
- 등록기호 "YU"
체코[편집]
- 등록기호 "OK"
파푸아뉴기니[편집]
- 등록기호 "P2"
베트남[편집]
- 등록기호 "VN"
미얀마[편집]
- 등록기호 "XY"
태국[편집]
- 등록기호 "HS"
몰디브[편집]
- 등록기호 "8Q"
아제르바이잔[편집]
- 등록기호 "4K"
그린란드[편집]
- 등록기호 "5Y"
캄보디아[편집]
- 등록기호 "XU"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편집]
- 등록기호 "P"
짐바브웨[편집]
- 등록기호 "Z"
버뮤다[편집]
- 등록기호 "VP-B", "VQ-B"
몽골[편집]
- 등록기호 "JU"
이란[편집]
- 등록기호 "IR"
아일랜드[편집]
- 등록기호 "EI"
멕시코[편집]
- 등록기호 "XA", "XB', "XC"
각주[편집]
- ↑ 본토는 숫자 4자리를, 타이완은 5자리 숫자를 주로 쓰고, 홍콩은 B-H**을, 마카오는 B-M**을 주로 사용한다. 일전에는 홍콩이 영국령 시절에는 VR-H로 시작하였던 예시가 된다.
- ↑ '프랑스령'도 포함
- ↑ 자국 내 항공기 중에서 VP, VQ를 쓰는 경우 B**로 쓰는 것이 대다수이지만, 이는 버뮤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VP-B, VQ-B는 러시아가 아닌 버뮤다 국적으로 분류된다.
- ↑ 일부에서는 아일랜드 국적의 EI를 시작하는 항공기도 사용하지만 러시아, 몽골, 필리핀, 미국 등 몇몇 국가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쓰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