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제대학교
표어 | 성실(誠實), 창의(創意), 봉사(奉仕) |
---|---|
종류 | 사립 |
설립 | 1977년 7월 30일 |
종교 | 개신교 |
총장 | 이강두 |
설립자 | 강명찬 |
학교법인 | 일선학원 |
학부생 수 | 1,082명(2022년)[1] |
교직원 수 |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동부로 965 |
규모 | 7대학 |
웹사이트 | 한국국제대학교 홈페이지 |
![]() |
한국국제대학교(韓國國際大學校, International University of Korea)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진주시에 위치한 사립 대학이다. 교훈은 ‘성실·창의·봉사’이다.
역사[편집]
한국국제대학교의 전신은 1977년 10월 설립된 학교법인 일선학원에 의해 1978년 3월 개교한 진주여자실업전문학교다. ‘창조·실용·국제화 교육’을 건학 이념으로 내걸고 1977년 7월 학교법인 일선학원의 설립 인가를 받아, 1979년 진주여자전문대학으로 개편하였으며, 1978년 3월 진주여자실업전문학교로 개교하였다. 1980년 진주실업전문대학, 1989년 진주전문대학으로 학교 이름을 바꾸었다. 2003년 4년제 종합대학교로 승격하고, 3월 진주국제대학교로 다시 개교하였다. 1985년 경상남도교육청으로부터 유치원 교원자격 연수원, 1995년 문화관광부로부터 3급생활체육지도자 연수원으로 선정되었다. 2006년 산업자원부 주관 'CEO 공학교육지원사업'에 선정되었다. 2008년 3월 개교 30주년을 맞이하였으며, 한국국제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한편,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가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지정한 이력이 있다.[2]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 재정지원제한대학에 선정된 이력이 있다.[3] 2022년, 정부 재정 지원 제한 대학에 선정되어 정부 재정지원 사업 지원과 신청이 전면 중단되며, 이 학교의 신입생과 편입생은 한국장학재단의 국가장학금과 학자금 대출 신청을 할 수 없다.[4]
교육편제[편집]
다음은 한국국제대학교는 2022년 기준, 교육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 관광대학, 보건의료대학, 생활과학대학, 공과대학, 예술체육대학 등 7개 단과대학 아래 1학부, 26학과, 2전공의 학부 과정을 설치하고 학사 학위 과정을 교수하고 있디. 대학원은 모두 폐교되었다.
교육 방침상의 특징[편집]
국제 교류[편집]
한국국제대학교와 교류하고 있는 대표적인 대한민국외 대학은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11개국 48개 대학 등과 국제교류협정을 맺고 교환학생, 해외연수취업, 인턴십, 해외자원봉사, 방문학생, Working & Travel, Working Holiday, 해외어학연수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대학생활도우미로 취업캠프, 진로캠프, 글로벌캠프와 어학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국내 교류[편집]
한국국제대학교는 다음의 대한민국내 학교들과 협정을 체결하여 학술 정보를 교류하고 있다.
캠퍼스 풍경[편집]
한국국제대학교는 경상남도의 사립 대학으로, 진주시 문산읍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학교 부지는 약 41만m²로, 경인교육대학교와 대구한의대학교 등과 비슷하다. 캠퍼스 북서쪽으로 월아산이 위치하는 등 지형의 고저차가 크고, 기반 시설은 미약한 편이다.
부속기관으로는 중앙도서관, 전산정보원, 대학출판부, 대학신문사, 대학방송국, 국제어학원 등이, 부설기관으로는 국제어학원, 평생교육원, 관광교육원, 생활체육지도자연수원 등이 있다. 기숙사는 436실을 갖추고 1,302명을 수용한다. 부설연구소로 기능성생물소재연구소, 농식품응용바이러스연구소, 방사선융합기술연구소, 실크패션디자인연구소 등 15개의 연구기관이 있다.
저명한 동문[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다 한국국제대학교 (2022). “한국국제대학교 대학정보공시”. 《대학알리미》.
- ↑ 정부, 43개 사립대학 재정지원 제한, 연합뉴스, 2011년 9월 5일 작성.
- ↑ 2018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일반대학), 연합뉴스, 2018년 8월 23일 작성.
- ↑ 고유선 (2022년 6월 3일). “학자금대출 등 '재정지원 제한' 21개교 확정…선린대 구제”.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