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다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다르 Aa/Ab/B
센타우루스자리(Centaurus)의 베타(β, 그림 아래 중앙부)가 하다르이다.
센타우루스자리(Centaurus)의 베타(β, 그림 아래 중앙부)가 하다르이다.
명칭
바이어 명명법 센타우루스자리 베타
밝은 별 목록 HR 5267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122451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252582
소천성표 CD−59°5365
히파르코스 목록 HIP 68702
다른 이름 아게나, LHS 51, FK5 518 , GC 18971, CCDM J14038-6022.[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센타우루스자리
적경(α) 14h 03m 49.40535s[2]
적위(δ) –60° 22′ 22.9266″[2]
겉보기등급(m) 0.61[3]
절대등급(M) −4.53[4]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5.9 km/s[5]
적경 고유운동 –33.27 밀리초각/년[2]
적위 고유운동 –23.16 밀리초각/년[2]
연주시차 8.32 ± 0.50 밀리초각[2]
성질
광도 41,700/?/? L[6]
나이 14.1 ± 0.6[7](백만 년)
분광형 B1 III/B1 III/B1V?[7]
U-B 색지수 –0.98[3]
B-V 색지수 –0.23[3]
변광성 분류 β Cep/β Cep/?[8]
추가 사항
질량 10.7 ± 0.1/10.3 ± 0.1[7]/4.61[9] M
반지름 13/?/? R[10]
표면온도 25,000 ± 2,000/25,000 ± 2,000/? K[7]
표면 중력 (log g) 3.5 ± 0.4/3.5 ± 0.4/? cgs[7]
동반성 수 3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하다르(Hadar) 또는 센타우루스자리 베타(β Cen)는 남반구 하늘 센타우루스자리 방향에 있는 삼중성계이다. 이 계의 전체 겉보기 밝기는 0.61로 센타우루스자리에서 두 번째이며 밤하늘에서 매우 밝은 항성의 반열에 들어간다. 히파르코스의 측성학적 시차 자료에 따르면[11][12] 하다르 계까지의 거리는 약 390 광년(120 파섹)이다.[2]

하다르는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별과 함께 남십자자리를 찾는 데 사용된다. 알파별에서 시작하여 하다르를 잇는 가상의 선을 긋고 그 선을 그대로 연장하면, 연장선은 수 거리에 조금 못 미치는 곳에서 남십자자리의 북쪽 끝 항성인 가크룩스와 만난다. 항해사는 이렇게 찾은 가크룩스와 남십자자리 남쪽 끝 별 아크룩스를 연결한 뒤, 그 선을 연장하여 천구의 남극을 효과적으로 찾을 수 있다.[13]

이름[편집]

센타우루스자리 베타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항성계의 이름이다. 전통적으로 불려온 이름은 하다르 또는 아게나로, 하다르는 아랍어 حضار (어근 의미는 '보이는', '땅 위에', '안정되고 문명화된 지역'[14])에서, 아게나는 라틴어로 '무릎들'을 뜻하는 genua (별의 위치가 별자리에서 켄타우로스의 무릎 부분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이 조직한 항성명칭 워킹 그룹(WGSN)[15]은 동년 8월 21일 센타우루스자리 베타 항성계의 공식 고유 명칭을 하다르(Hadar)로 지정했으며 IAU 항성명칭 카탈로그에 수록했다.[16]

중화권에서 사용하는 명칭은 馬腹一(마복일, 말의 복부에서 첫 번째)이다.[17]

호주 빅토리아 주 북서부의 원주민 부롱족은 하다르를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별과 묶어서 '베름베름글'이라 부르는데,[18] 이는 용감하고 파괴적인 형제의 이름으로 이들은 에뮤 '칭갈'(석탄자루 성운)을 창으로 찔러 죽인다.[19] 왓조발루크족이 이 형제를 부르는 명칭은 '브람-브람-불트'이다.[18]

항성계[편집]

하다르 계는 하다르 Aa, Ab, B 세 항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감지된 분광선들은 선의 윤곽들만 차이가 있을 뿐 모두 B1형 항성과 일치하므로 세 항성 모두 분광형이 같은 것으로 보인다.

1935년 네덜란드 천문학자 요안 파우터(nl:Joan Voûte)는 하다르 B를 발견하고 식별자 VOU 31을 붙였다. 발견 당시 B는 주성(主星)으로부터 1.3초각 떨어져 있었으며 이후 방위각에는 6도만큼 변화가 있었으나, 구성원 간의 각거리는 B를 발견한 이후 지금까지 바뀌지 않았다. 하다르 B는 겉보기 등급이 +4인 B1형 왜성이다.

1967년 하다르의 시선속도에 주기적인 편차가 생기는 것으로부터 하다르 A가 이중선 분광쌍성일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 주장은 1999년 검증되었다. 주성은 하다르 Aa와 Ab 둘로 구성되며 이들은 질량이 비슷하며 서로의 질량 중심을 357일마다 1회 돌고 있다. 둘의 공전 궤도 이심률은 커서 약 0.8245이다.[20]

2005년 연구에 따르면 항성계까지의 거리를 161 파섹으로 가정할 경우 Aa와 Ab는 평균 약 4 천문단위 떨어져 있는 것으로 계산된다.[21]

Aa와 Ab는 분광형 B1 III을 뚜렷하게 보여주는데[21] 분광형의 광도분류 III은 주계열에서 이탈하여 거성으로 진화한 상태라는 뜻이다. 두 구성원 모두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으로 몇 시간에 불과한 길이의 여러 맥동 주기들이 다양하게 관측된다. 밝기 변화의 전체 폭은 확실하게 분석되지 않았으나 수백 분의 일 등급을 넘지는 않는다.[21][22]

Aa의 질량은 태양의 12.02 ± 0.13 배, Ab는 10.58 ± 0.18 배이다.[20] 하다르를 단독성으로 가정하여 계산한 별의 반지름은 태양의 8.6 배, 광도는 태양의 41,700 배이다.[6]

각주[편집]

  1. “V* bet Cen -- Variable Star of beta Cep type”.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1년 12월 19일에 확인함. 
  2. van Leeuwen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3. Hoffleit, Dorrit; Jaschek, Carlos (1991). “The Bright star catalogue”. 《New Haven, Conn.: Yale University Observatory, 5th Rev.ed.》. Bibcode:1991bsc..book.....H. 
  4. Davis, J.; Mendez, A.; Seneta, E. B.; Tango, W. J.; Booth, A. J.; O'Byrne, J. W.; Thorvaldson, E. D.; Ausseloos, M.; Aerts, C.; Uytterhoeven, K. (2005). “Orbital parameters, masses and distance to β Centauri determined with the Sydney University Stellar Interferometer and high-resolution spectroscopy”.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56 (4): 1362–1370. arXiv:astro-ph/0411054. Bibcode:2005MNRAS.356.1362D. doi:10.1111/j.1365-2966.2004.08571.x. 
  5. Evans, D. S. (June 20–24, 1966). Batten, Alan Henry; Heard, John Frederick, 편집. “The Revision of the General Catalogue of Radial Velocities”. 《Determination of Radial Velocities and Their Applications》 (University of Toronto: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30: 57. Bibcode:1967IAUS...30...57E. 
  6. Prinja, Raman K. (1989). “Ultraviolet observations of stellar winds in Be and 'normal' B non-supergiant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241 (4): 721–752. Bibcode:1989MNRAS.241..721P. doi:10.1093/mnras/241.4.721. 
  7. Ausseloos, M.; Aerts, C.; Lefever, K.; Davis, J.; Harmanec, P. (August 2006). “High-precision elements of double-lined spectroscopic binaries from combined interferometry and spectroscopy. Application to the β Cephei star β Centauri”. 《Astronomy and Astrophysics》 455 (1): 259–269. arXiv:astro-ph/0605220. Bibcode:2006A&A...455..259A. doi:10.1051/0004-6361:20064829. 
  8. Ausseloos, M.; Aerts, C.; Uytterhoeven, K.; Schrijvers, C.; Waelkens, C.; Cuypers, J. (2002). “Beta Centauri: An eccentric binary with two beta Cep-type componen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84: 209. Bibcode:2002A&A...384..209A. doi:10.1051/0004-6361:20020004. 
  9. Tokovinin, A. A. (1997). “MSC - a catalogue of physical multiple stars”. 《Astronomy &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124: 75. Bibcode:1997A&AS..124...75T. doi:10.1051/aas:1997181. 
  10. https://www.wolframalpha.com/input/?i=beta+centauri+diameter
  11. Perryman, M. A. C.; Lindegren, L.; Kovalevsky, J. (July 1997). “The Hipparcos Catalogue”. 《Astronomy and Astrophysics》 323: L49–L52. Bibcode:1997A&A...323L..49P. 
  12. Perryman, Michael (2010), “The Making of History's Greatest Star Map”, 《The Making of History's Greatest Star Map》, Astronomers’ Universe (Heidelberg: Springer-Verlag), Bibcode:2010mhgs.book.....P, doi:10.1007/978-3-642-11602-5, ISBN 978-3-642-11601-8 
  13. Kyselka, Will; Lanterman, Ray E. (1976). 《North Star to Southern Cross》. 《Honolulu : University Press of Hawaii》 (University of Hawaii Press). 59쪽. Bibcode:1976nsts.book.....K. ISBN 0-8248-0419-8. 
  14. Hans Wehr (1979). 《A Dictionary of Modern Written Arabic》. Otto Harrassowitz Verlag. ISBN 978-3-447-02002-2. 
  15.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16.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8년 8월 12일에 확인함. 
  17. (중국어)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29 日
  18. Hamacher, Duane W.; Frew, David J. (2010). “An Aboriginal Australian Record of the Great Eruption of Eta Carinae”. 《Journal of Astronomical History & Heritage》 13 (3): 220–34. arXiv:1010.4610. Bibcode:2010JAHH...13..220H. 
  19. Stanbridge, WM (1857). “On the Astronomy and Mythology of the Aboriginies of Victoria” (PDF). 《Transactions Philosophical Institute Victoria》 2: 137–140. 2013년 6월 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 Pigulski, A.; Cugier, H.; Popowicz, A.; Kuschnig, R.; Moffat, A. F. J.; Rucinski, S. M.; Schwarzenberg-Czerny, A.; Weiss, W. W.; Handler, G.; Wade, G. A.; Koudelka, O.; Matthews, J. M.; Mochnacki, St.; Orleański, P.; Pablo, H.; Ramiaramanantsoa, T.; Whittaker, G.; Zocłońska, E.; Zwintz, K. (2016). “Massive pulsating stars observed by BRITE-Constellation. I. The triple system β Centauri (Agena)”. 《Astronomy and Astrophysics》 588: 17. arXiv:1602.02806. Bibcode:2016A&A...588A..55P. doi:10.1051/0004-6361/201527872. A55. 
  21. Raassen, A. J. J.; Cassinelli, J. P.; Miller, N. A.; Mewe, R.; Tepedelenlioǧlu, E. (July 2006), “XMM-Newton observations of β Centauri (B1 III): The temperature structure in the hot plasma and the photosphere-wind connection” (PDF),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7 (2): 599–609, Bibcode:2005A&A...437..599R, doi:10.1051/0004-6361:20052650 
  22. Sterken, Christiaan; Jerzykiewicz, Mikolaj (1993). “Beta Cephei stars from a photometric point of view”. 《Space Science Reviews》 62 (1–2): 95–171. Bibcode:1993SSRv...62...95S. doi:10.1007/bf00208707. ISSN 0038-6308. 

외부 링크[편집]

좌표: 하늘 지도 14h 03m 49.4s, −60° 2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