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룩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크룩스 A/B
아크룩스의 위치.
아크룩스의 위치.
명칭
바이어 명명법 남십자자리 알파
밝은 별 목록 A: HR 4730, B: HR 4731
헨리 드레이퍼 목록 A: HD 108248, B: HD 108249
다른 이름 통합: HIP 60718, CPD−62°2745, WDS J12266-6306, CCDM J12266-6306.
A: 아크룩스(Acrux), FK5 462, GC 16952, 26 G. Crucis.
B: GC 16953, 2MASS J12263615-6305571, 27 G. Crucis.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남십자자리
적경(α) 12h 26m 35.89522s[1]
적위(δ) −63° 05′ 56.7343″[1]
겉보기등급(m) 0.76[2] (1.33/1.75)[3]
절대등급(M) −3.77[4] (−2.2/−2.7[5])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11.2/−0.6 km/s[6]
적경 고유운동 −35.83 밀리초각/년[1]
적위 고유운동 −14.86 밀리초각/년[1]
연주시차 10.13 ± 0.50 밀리초각[1]
성질
광도 25,000/16,000[7] L
나이 ?/10.8 백만 년[8]
분광형 B0.5IV/B1V[9]
B-V 색지수 −0.26[2]
추가 사항
질량 (17.80+6.05)/15.52 M[3]
반지름 7.8[10]/5.4 R
표면온도 24,000/28,000 K[11]
자전 속도 120/200 km/s[11]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아크룩스 또는 남십자자리 알파(α Cru)는 지구로부터 남십자자리 방향으로 321 광년 떨어져 있는 다중성계로 남십자성을 이루는 구성원이다.[1][12] 구성원 전체의 겉보기 밝기는 +0.76으로 남십자자리에서 가장 밝은 동시에 밤하늘에서 13번째로 밝은 천체이다. 아크룩스는 밤하늘의 1등성들 중 가장 천구의 남극 가까이에 있으며 그 다음으로 가까운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보다 2.3도 남쪽에 자리잡고 있다.[13]

아크룩스는 맨눈에는 단독성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구성원 여섯으로 이루어진 다중성계이다. 광학 망원경으로 관측시 아크룩스는 삼중성으로 보이는데 밝은 구성원 아크룩스 A와 아크룩스 B는 약 4 초각 떨어져 있다. 두 구성원 모두 B형 항성이며 태양보다 훨씬 무겁고 밝다. 아크룩스 A 자체는 분광쌍성으로 아크룩스 Aa(역사적으로 항성계 전체를 가리켜 온 '아크룩스'는 Aa의 공식 명칭이 되었다.)와[14][15] Ab로 이루어져 있다. 두 구성원은 서로의 질량 중심을 약 1 천문단위(AU) 떨어져서 76일마다 한 번씩 돌고 있다.[7] 아크룩스 C는 보다 멀리 떨어져 있는 동반성이다.

명칭[편집]

남십자자리. 아크룩스는 아래쪽에 자리잡고 있다.

이 별의 고유 명칭 아크룩스(Acrux)는 그리스 문자 알파(Alpha)의 A에 남십자자리를 뜻하는 crux를 단순히 조합한 명칭이다.[16] 남십자자리 알파는 이 계를 바이어 명명법으로 부른 명칭이다. 주요 구성원 둘은 아크룩스 A(남십자자리 알파1 또는 남십자자리 알파 A)와 아크룩스 B(남십자자리 알파2 또는 남십자자리 알파 B)로 표기한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밤하늘 항성들의 명칭을 공식화 및 목록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17]을 조직하였다. WGSN의 원칙에 따르면 다중성계의 구성원들 중 가장 밝게 보이는 구성원에 고유 명칭을 부여한다.[18] WGSN은 2016년 7월 20일 아크룩스(Acrux)를 항성 아크룩스 Aa의 이름으로 공식 승인했으며 현재 IAU 항성명칭 목록에 수록되어 있다.[15]

아크룩스는 남위−63°에 있어서 1등성들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위 27°보다 낮은 위도로 내려가야 관측이 가능하므로 대한민국에서는 볼 수 없다. 자전축의 세차 운동 때문에 고대 힌두 천문학자들은 아크룩스를 볼 수 있었으며 '트리-샨쿠'라는 이름을 붙였다. 고대 로마인들그리스인들 역시 아크룩스를 볼 수 있었고 이들은 아크룩스를 센타우루스자리의 일부분으로 간주했다.[19]

중화권에서는 남십자자리를 십자가(十字架)로 부르며 구성원은 미모사, 남십자자리 감마, 남십자자리 델타, 아크룩스이다.[20] 이들 중 아크룩스만을 부르는 명칭은 십자가2(十字架二, 십자가에서 두 번째 별)이다.[21]

포르투갈어로 이 별을 Estrela de Magalhães (마젤란의 별)로 부르기도 한다.[22]

속성[편집]

아크룩스. 아래쪽에 HD 108250이 보인다.

아크룩스의 구성원 둘인 아크룩스 A와 B는 밤하늘에서 약 4초각 떨어져 있다. 아크룩스 A의 겉보기등급은 1.40이며 B는 2.09이다. 유효온도는 각각 28,000 / 26,000 켈빈으로 둘 다 초기 B형 항성이다. 두 구성원의 광도는 각각 태양의 25,000 / 16,000 배이다. 아크룩스 A와 B가 서로를 공전하는 주기는 꽤 길어서 움직임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A와 B는 가장 가까이 접근해도 430 천문단위 떨어져 있으며 이로부터 계산한 공전 주기는 약 1,500년으로 보인다.[3]

아크룩스 A 자체는 분광쌍성으로 구성원 둘의 질량은 각각 태양의 14배, 10배이며 서로 약 1 천문단위 떨어져서 76일을 1주기로 공전하고 있다. 아크룩스 B와 더 밝은 A는 질량이 커서 초신성 폭발로 생을 마감할 것이다. 다만 아크룩스 Ab는 살아남아 무거운 백색왜성이 될 것이다.[7]

2011년 Rizzuto 연구진은 66%의 확률로 아크룩스가 전갈자리-센타우루스자리 성협 내 '아래쪽 센타우루스자리-남십자자리 서브그룹'(Lower Centaurus-Crux sub-group)의 일원일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종전에는 아크룩스가 이 성협의 구성원이 아닌 것으로 보았었다.[23]

삼중성계 아크룩스로부터 90 초각 떨어진 곳에 아크룩스보다 어둡고 덜 뜨거운 B형 항성 HR 4729(HD 108250)가 있는데 이 별은 아크룩스와 운동을 공유하고 있어서 중력적으로 묶여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학계의 중론에 따르면 이 별과 아크룩스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24][25] HR 4729 자체는 분광쌍성으로 종종 '아크룩스 C'로 표기되어 아크룩스 항성계의 세 번째 구성원으로 불리기도 한다. 근처에 어두운 안시 동반성 아크룩스 D가 있다. 2초각 이내 범위에 있는 어두운 항성 일곱 개가 아크룩스 계의 동반성들로 수록되어 있다.[26]

2008년 10월 2일 카시니-하위헌스 호토성의 고리가 아크룩스를 가리는 과정에서 구성원 셋(A, B, C)을 분해하여 촬영하였다.[27][28]

문화[편집]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사모아, 파푸아뉴기니의 국기에는 남십자성이 나오며 이들 중 가장 밝은 아크룩스 역시 포함되어 있다. 브라질 국기에는 아크룩스와 함께 항성 26개가 나오는데 각 항성은 1개의 주를 상징하며, 아크룩스는 상파울루주를 나타낸다.[29] 2015년 변경된 디자인의 브라질 여권에도 남십자성의 일부로 표현되어 있다. 브라질의 해양관측선 Alpha Crucis는 이 별의 이름을 딴 것이다.

각주[편집]

  1.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2. Corben, P. M. (1966). “Photoelectric magnitudes and colours for bright southern stars”. 《Monthly Notes of the Astron. Soc. Southern Africa》 25: 44. Bibcode:1966MNSSA..25...44C. 
  3. Tokovinin, A. A. (1997). “MSC - a catalogue of physical multiple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124 (1): 75–84. Bibcode:1997A&AS..124...75T. doi:10.1051/aas:1997181. ISSN 0365-0138. 
  4. Kaltcheva, N. T.; Golev, V. K.; Moran, K. (2014). “Massive stellar content of the Galactic supershell GSH 305+01-24”. 《Astronomy & Astrophysics》 562: A69. arXiv:1312.5592. Bibcode:2014A&A...562A..69K. doi:10.1051/0004-6361/201321454. 
  5. Van De Kamp, Peter (1953). “The Twenty Brightest Stars”.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65 (382): 30. Bibcode:1953PASP...65...30V. doi:10.1086/126523. 
  6. Wilson, Ralph Elmer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Carnegie Institute Washington D.c. Publication》. Bibcode:1953GCRV..C......0W. 
  7. Kaler, James B. (2002). 〈Acrux〉. 《The Hundred Greatest Stars》. 4–5쪽. doi:10.1007/0-387-21625-1_2. ISBN 978-0-387-95436-3. 
  8. Tetzlaff, N.; Neuhäuser, R.; Hohle, M. M. (2011). “A catalogue of young runaway Hipparcos stars within 3 kpc from the Sun”.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0 (1): 190–200. arXiv:1007.4883. Bibcode:2011MNRAS.410..190T. doi:10.1111/j.1365-2966.2010.17434.x. 
  9. Houk, Nancy (1979),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Ann Arbor : Dept. Of Astronomy》 1, Bibcode:1978mcts.book.....H 
  10. https://www.wolframalpha.com/input/?i=acrux+luminosity
  11. Dravins, Dainis; Jensen, Hannes; Lebohec, Stephan; Nuñez, Paul D. (2010). “Stellar intensity interferometry: Astrophysical targets for sub-milliarcsecond imaging”. 《Proceedings of the SPIE》. Optical and Infrared Interferometry II 7734: 77340A. arXiv:1009.5815. Bibcode:2010SPIE.7734E..0AD. doi:10.1117/12.856394. 
  12. Perryman, Michael (2010), “The Making of History's Greatest Star Map”, 《The Making of History's Greatest Star Map》, Astronomers’ Universe (Heidelberg: Springer-Verlag), Bibcode:2010mhgs.book.....P, doi:10.1007/978-3-642-11602-5, ISBN 978-3-642-11601-8 
  13. Bordeleau, André G. (2013년 8월 12일). 〈Federative Republic of Brazil: Constellations in the Breeze〉. 《Flags of the Night Sky》. New York: Springer. 1–72쪽. doi:10.1007/978-1-4614-0929-8_1. ISBN 978-1-4614-0928-1. 
  14. Kunitzsch, Paul; Smart, Tim (2006).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2 rev.판. Cambridge, Massachusetts: Sky Pub. ISBN 978-1-931559-44-7. 
  15.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11월 21일에 확인함. 
  16. Paul Kunitzsch; Tim Smart (2006).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Sky Publishing. 32쪽. ISBN 978-1-931559-44-7. 
  17.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18.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2” (PDF). 2016년 10월 12일에 확인함. 
  19. Richard Hinckley Allen,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Dover Books, 1963.
  20. (중국어) 中國星座神話, written by 陳久金. Published by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ISBN 978-986-7332-25-7.
  21. (중국어)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보관됨 2010-09-03 - 웨이백 머신, Hong Kong Space Museum. Accessed on line November 23, 2010.
  22. Silva, Guilherme Marques dos Santos; Ribas, Felipe Braga; Freitas, Mário Sérgio Teixeira de (2008). “Transformação de coordenadas aplicada à construção da maquete tridimensional de uma constelação”. 《Revista Brasileira de Ensino de Física》 30: 1306.1–1306.7. doi:10.1590/S1806-11172008000100007. 
  23. Rizzuto, Aaron; Ireland, Michael; Robertson, J. G. (October 2011), “Multidimensional Bayesian membership analysis of the Sco OB2 moving group”,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6 (4): 3108–3117, arXiv:1106.2857, Bibcode:2011MNRAS.416.3108R, doi:10.1111/j.1365-2966.2011.19256.x. 
  24. Shatsky, N.; Tokovinin, A. (2002). “The mass ratio distribution of B-type visual binaries in the Sco OB2 associa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382: 92–103. arXiv:astro-ph/0109456. Bibcode:2002A&A...382...92S. doi:10.1051/0004-6361:20011542. 
  25. Eggleton, Peter; Tokovinin, A.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26. Mason, Brian D.; Wycoff, Gary L.; Hartkopf, William I.; Douglass, Geoffrey G.; Worley, Charles E. (2001).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The Astronomical Journal》 122 (6): 3466–3471. Bibcode:2001AJ....122.3466M. doi:10.1086/323920. 
  27. “Cassini raw image”. NASA/JPL/Space Science Institute. 2017년 10월 31일에 확인함. 
  28. Cassini "Kodak Moments" - Unmanned Spaceflight.com. Retrieved 2008-10-21
  29. “Astronomy of the Brazilian Flag”. FOTW Flags Of The World website. 

외부 링크[편집]

좌표: 하늘 지도 12h 26m 35.89522s, −63° 05′ 56.7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