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리눅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타이틀

Welcome to Linux Portal

리눅스 포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리눅스(Linux)는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하는 운영 체제입니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운영체제이고 컴퓨터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공유기같은 기기들도 리눅스를 사용합니다."

오늘의 배포판

CentOS 6.0 기본 GNOME 데스크톱

CentOS(The Community ENTerprise Operating System)는 리눅스운영 체제 가운데 하나다.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의 소스 코드를 그대로 가져와 빌드해 내놓으며 이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변형은 레드햇의 상표가 잘리고 그 자리에 CentOS의 상표가 붙는(상표권 분쟁을 피하기 위해) 정도뿐이다. 판수 또한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의 판수를 그대로 가져오며(소수점 아래 숫자는 업데이트 차수를 가리킨다) 오늘날에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의 행보를 가장 잘 따라가는 운영 체제라고 알려져 있다.

사용하는 꾸러미 형식은 RPM이며, 현재 최신판은 2012년 7월 9일에 출시된 6.3이다.

오늘의 명령

PackageKit is now the default package manager on Fedora

Yum은 Yellow dog Updater, Modified의 약자로 RPM 기반의 시스템을 위한 자동 업데이터 겸 패키지 설치/제거 도구이다. 듀크 대학교의 Linux@DUKE 프로젝트의 일부분으로 개발되었다. yumex 같은 GUI 기반 확장 도구도 있다.

Yum 이전에 있었던 Yellowdog Updater (YUP) 도구를 대체하며, 듀크 대학교 물리학부에서 사용되었던 레드햇 리눅스 시스템 관리를 위해서 등장하였다. 그 이후로 페도라, CentOS 등 많은 RPM 기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었다. 레드햇의 패키지 관리자 up2date에서도 Yum 저장소에 접근할 수 있다.

현재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버전 2 이상으로 사용 가능하다.

알고 계십니까

  • 리눅스 커널은 C로 짜여 있습니다.
  • 최초의 리눅스 커널은 미닉스에 만족하지 못한 리누스 토발즈 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 초창기 코드의 크기는 1만줄 정도로 되어있었는데 2016년에는 그 크기가 1960만줄로 불어났습니다.
  • 윈도우, 리눅스를 제외한 유닉스 등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운영체제가 리눅스 커널이 기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