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한민국 제22대 국회 전반기 상임위원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제22대 국회 전반기[A] 상임위원장 명단(2024. 6.~)
순번[B] 위원회종류[B] 위원회명 성명(정당) 임기 비고 시계열표
2024. 6. 10.~[1][2]
성명(정당)
2024. 6. 17.~[C]
1 상임위원회 국회운영위원회 박찬대 2024. 6. 10.~ 박찬대
2 상임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정청래 2024. 6. 10.~ 정청래
3 상임위원회 정무위원회 미결정
4 상임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미결정
5 상임위원회 교육위원회 김영호 2024. 6. 10.~ 김영호
6 상임위원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최민희 2024. 6. 10.~ 최민희
7 상임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 미결정
8 상임위원회 국방위원회 미결정
9 상임위원회 행정안전위원회 신정훈 2024. 6. 10.~ 신정훈
10 상임위원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재수 2024. 6. 10.~ 전재수
11 상임위원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어기구 2024. 6. 10.~ 어기구
12 상임위원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미결정
13 상임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주민 2024. 6. 10.~ 박주민
14 상임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 안호영 2024. 6. 10.~ 안호영
15 상임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맹성규 2024. 6. 10.~ 맹성규
16 상임위원회 정보위원회 미결정
17 상임위원회 여성가족위원회 미결정
18 상임특별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박정 2024. 6. 10.~ 박정

비고

  • 17개 상임위원회, 1개 상임특별위원회[B]
  • 상임위원장 임기는 2년이다. 전반기 임기는 선임된 날부터 개시하여 '의원의 임기 개시 후 2년이 되는 날까지'이다.[6]
  • 정당 범례: 더불어민주당

각주[편집]

내용

  1. 전반기(2024. 5. 29.~2026. 5. 29.) =대한민국 제22대 국회 임기(2024. 5.29.~ 2028. 5. 29.)를 절반으로 나눈 것 중 앞쪽 기간.
  2. 표의 순번과 위원회종류 표시는 대한민국 국회 홈페이지 위원회현황을 따랐다.[5]
  3. 2024년 6월 13일, 나머지 7개 상임위 위원장 선출, 원 구성을 마칠 이었으나,[1][2] 무산되었다.[3] 6월 14일, 더불어민주당은 6월 17일 본회의를 열어서 원 구성을 완료해야 한다고 밝혔다.[4]

출처

  1. 김지은; 조재완; 최영서; 한재혁 (2024년 6월 10일). “민주, 11개 상임위원장 단독 선출…여 불참에 '반쪽 국회' 파행(종합)”. 《뉴시스》. 네이버 뉴스(보존) (서울). 2024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6월 10일에 확인함. 
  2. 손우성; 박용하 (2024년 6월 10일). “야, 단독 본회의 열어 11석 상임위원장 선출…‘반쪽 원구성’”. 《경향신문》. 네이버 뉴스(보존). 2024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6월 10일에 확인함. 
  3. 나세웅 (2024년 6월 13일). “오늘 국회 본회의 무산‥남은 7곳 상임위원장 다음주 선출 전망”. 《MBC뉴스》. 네이버 뉴스. 2024년 6월 14일에 확인함. 
  4. 김지현; 신나리 (2024년 6월 14일). “민주 “17일 원구성 완료” vs 국힘 “전면 백지화해야 협상 재개””. 《동아일보》. 네이버 뉴스. 2024년 6월 14일에 확인함. 
  5. u.a. 2024년 6월 10일 확인함. 위원회>위원회현황. 대한민국 국회.
  6. 법률제20372호 국회법 제40조, 제41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