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바나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3 ffffffffff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6번째 줄: 6번째 줄:


== 특징 ==
== 특징 ==
바나나 농사는 다 자란 바나나의 땅속 줄기에서 새순을 베어내는 데서 시작된다. 새순을 땅에 심고 3-4주가 지나면 똘똘 감긴 잎이 싹터 나오는데, 잎은 자라면서 펼쳐져 길이 4m, 폭 1m의 크고 번들거리는 넓은 타원형 잎몸을 이룬다. '헛줄기'로 불리는 바나나의 줄기는 단단하게 감긴 잎몸과 잎자루로 이루어져 있다. 바나나는 약 10개월 정도 자라면 굵은 땅속줄기의 끝부분에서 커다란 눈이 생겨 잎의 다발 위까지 자라 나온다. 눈에는 포(苞)라고 하는 작은 자주색 잎이 많이 달려 있다. 포가 달린 줄기가 식물체의 꼭대기까지 자라면 포가 말리면서 작은 꽃차례가 나타나며, 이 꽃들은 수정되어 녹색을 띠는 작은 바나나를 맺는다. 바나나 송이는 대개 바나나 10-20개로 이루어지는데, 한 식물체에 대략 다섯 송이가 열린다. 바나나가 커지면 줄기는 아래로 축 처지고 바나나는 위쪽으로 구부러지기 시작한다. 열매는 5-6개월 후에 익으며, 다 익으면 땅에 떨어진다. 익은 바나나는 바로 먹지 않으면 상하기 때문에 수출용 바나나는 완전히 익지 않아서 녹색일 때 수확한다. 종에 따라서는 익기 전까지 독을 지닌 것도 있다.


== 쓰임새 ==
== 쓰임새 ==

2024년 5월 28일 (화) 10:43 판

니거 랜드 니거 파티 니거들의 집합입니다. 니거 천국 니거들의 세상 이제부턴 우리 니@거 세상이다. 하하하ㅏ하하하하핳 niga Nigam nei niga

재배

외관

특징

쓰임새

분류

영양가

날 바나나
100 g (3.5 oz)당 영양가
에너지371 kJ (89 kcal)
22.84 g
당분12.23 g
식이 섬유2.6 g
0.33 g
1.09 g
비타민함량 %DV
티아민 (B1)
3%
0.031 mg
리보플라빈 (B2)
6%
0.073 mg
나이아신 (B3)
4%
0.665 mg
판토테산 (B5)
7%
0.334 mg
비타민 B6
31%
0.4 mg
엽산 (B9)
5%
20 μg
콜린
2%
9.8 mg
비타민 C
10%
8.7 mg
무기질함량 %DV
철분
2%
0.26 mg
마그네슘
8%
27 mg
망간
13%
0.27 mg
3%
22 mg
칼륨
8%
358 mg
나트륨
0%
1 mg
아연
2%
0.15 mg
기타 성분함량
수분74.91 g

Link to USDA Database entry values are for edible portion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껍질을 포함하지 않은 날 바나나는 75%가 수분 23%가 탄수화물, 1%가 단백질이며 무시할만한 수준의 지방이 포함되어 있다.

품종

무역

바나나 생산국 및 수출국 순위
순위 국가명 수량
(100만 )
비중
표 1: 생산량 (2013)
1 인도의 기 인도 27.6 25.8%
2 중국의 기 중국 12.1 11.6%
3 필리핀의 기 필리핀 8.6 8.1%
4 브라질의 기 브라질 6.9 6.5%
5 에콰도르의 기 에콰도르 6.0 5.6%
6 인도네시아의 기 인도네시아 5.4 5.0%
7 과테말라의 기 과테말라 3.2 3.0%
8 앙골라의 기 앙골라 3.1 2.9%
9 탄자니아의 기 탄자니아 2.7 2.5%
10 부룬디의 기 부룬디 2.2 2.1%
기타 28.7 26.9%
전 세계 106.7 100%
표 2: 수출량 (2012)
1 에콰도르의 기 에콰도르 5.2 26.9%
2 필리핀의 기 필리핀 2.6 13.7%
3 코스타리카의 기 코스타리카 1.9 9.8%
4 과테말라의 기 과테말라 1.9 9.7%
5 콜롬비아의 기 콜롬비아 1.7 9.0%
기타 6.0 30.9%
전 세계 19.3 100%
출처: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1]

바나나와 플랜틴은 개발도상국의 수백만 명의 사람들을 위한 주된 작물에 속한다. 대부분의 열대 지역 국가에서는 요리에 쓰이는 풀빛의 바나나가 주 경작 품종에 해당한다. 바나나는 감자와 비슷한 방법으로 요리한다. 둘 다 튀기거나 끓이거나 굽거나 빻을 수 있으며 대접할 때의 맛과 결은 비슷하다. 바나나 하나는 감자 하나와 거의 같은 열량을 제공한다.

2013년 기준으로 인도는 바나나 세계 생산에서 전 세계 작물의 약 26%를 차지할 만큼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거의 자국에서 소비된다. 수출량은 2012년 기준으로 에콰도르가 가장 높다.

이용

섬유

직물

바나나는 한동안 고품질의 직물을 위한 섬유의 원천이 되어왔다. 일본에서 의상과 가정을 위한 바나나 경작은 적어도 13세기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에서 잎과 싹을 식물에서 주기적으로 잘라내어 부드러움을 보증하였다. 전통적인 일본의 옷 제작 과정은 모두 수작업으로, 수많은 단계를 요구한다.[2]

종이

바나나 섬유는 바나나 종이를 만드는 데 쓸 수 있다. 바나나 종이는 두 가지 측면에서 쓰인다. 이를테면 주로 예술 목적 등을 위해 바나나 풀(바나나는 나무가 아니라 풀에서 나는 열매다. 나무처럼 보이지만 사실 나무가 아니라 여러해살이 풀이다.) 껍질로 종이를 만들거나, 줄기와 이용에 불필요한 과일로부터 산업화 과정을 통해 얻은 바나나 섬유로 종이를 만든다. 이러한 종이 자체는 손으로 직접 만들거나 산업 과정을 거쳐 만들 수 있다.

바나나의 멸종

파나마병

바나나 암으로 불릴 만큼 바나나에게는 치명적인 병으로, 파나마병을 일으키는 원인 균은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im oxysporum)이라는 곰팡이 균이다. 1903년 파나마에서 처음 발견됐으며 이 균은 바나나 잎, 뿌리를 통해 감염되어 잎이 갈색으로 변한 후 말라죽게 된다. 그로미셸 품종은 이 병에 저항성이 없기 때문에 집단 폐사했다. 이에 더 발전하게 된 ’변종 파나마병‘이 캐번디시 품종을 위협하고 있다.

파나마병에 걸린 바나나

해결책

변종 파나마병에 강한 품종으로 개량하는 것은 쉽지 않아 별다른 해결책이 없는 상황이다. 씨가 없는 바나나는 번식력이 없고 유전적 다양성이 없기 때문에 신종 파나마병에 저항성을 갖거나 새로운 품종을 찾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대체품

전 세계에는 캐번디시 품종 외에도 1000여 종의 바나나가 있지만 우리가 평소 알고 있는 바나나와는 많이 다르다. 그로미셸 또한 일부지역에서 소규모로 생산되고 있지만 현대인들의 입맛이나 품질에 있어서 우수하지 않다는 평이다. 이에 과학자들은 바나나를 지키기 위해 다른 품종을 개발 중이다.

같이 보기

각주

  1. “나라별 바나나 생산량”. UN 식량 농업 기구. 2013. 2016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23일에 확인함. 
  2. “보관된 사본”. 2006년 1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