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핀과 제이크의 어드벤처 타임: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6번째 줄: 36번째 줄:
===구상 및 창작===
===구상 및 창작===
{{참고|어드벤처 타임 (파일럿)}}
{{참고|어드벤처 타임 (파일럿)}}
[[파일:Pendleton Ward at the Tomorrow Show.jpg|thumb|200px|left|alt=갈색 머리와 수염이 있고 빨간 물방울 무늬 셔츠와 하얀 바지를 입은 남자가 마이크를 잡고 있다.|이 작품은 [[펜들턴 워드]]가 제작했다.]]
[[파일:Pendleton Ward at the Tomorrow Show.jpg|thumb|200px|left|alt=[[펜들턴 워드]]가 마이크를 잡고 있다.|이 작품은 [[펜들턴 워드]]가 제작했다.]]
제작자 [[펜들턴 워드]]에 따르면 자신이 [[캘리포니아 예술 학교]]에 다닐 때와 《[[이상한 바다의 플랩잭]]》의 스토리보드 작가로 일한 경험이 작품의 전반적인 형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그는 이를테면 [[미야자키 하야오]]의 《[[이웃집 토토로]]》에 나오는 아름다운 순간을 작품에 담는 시도를 했다.<ref name=awn/> 《어드벤처 타임》은 7분의 러닝타임을 가진 [[단편 영화|단편]] 애니메이션으로 처음 시작했다. 워드는 작품의 거의 전체를 혼자서 만들었고, 2006년 봄에 제작을 마쳤다.<ref name=anotherera/> 이 파일럿은 2007년 1월에 [[닉툰스 (미국)|닉툰스]]에서 첫 방영이 되었고<ref name=anotherera/>, 2008년 12월 7일에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의 《[[랜덤! 카툰스]]》의 하나로 다시 방영되었다.<ref name=anotherera/><ref name=awn/> 그 후 [[인터넷]]상에서 큰 화제를 모았고<ref name=awn/>,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는 《어드벤처 타임》의 정식 시리즈를 만들기로 하여 이를 [[닉툰스 (미국)|닉툰스 네트워크]]에 홍보했지만 두 번이나 거절당했다.<ref name=enchiridion/> 그 후 [[카툰 네트워크]]에 접선을 시도했고, 카툰 네트워크에서는 만약 펜들턴 워드가 파일럿의 기본 요소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면 시리즈 제작에 흔쾌히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f name=begin/>
제작자 [[펜들턴 워드]]에 따르면 자신이 [[캘리포니아 예술 학교]]에 다닐 때와 《[[이상한 바다의 플랩잭]]》의 스토리보드 작가로 일한 경험이 작품의 전반적인 형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그는 이를테면 [[미야자키 하야오]]의 《[[이웃집 토토로]]》에 나오는 아름다운 순간을 작품에 담는 시도를 했다.<ref name=awn/> 《어드벤처 타임》은 7분의 러닝타임을 가진 [[단편 영화|단편]] 애니메이션으로 처음 시작했다. 워드는 작품의 거의 전체를 혼자서 만들었고, 2006년 봄에 제작을 마쳤다.<ref name=anotherera/> 이 파일럿은 2007년 1월에 [[닉툰스 (미국)|닉툰스]]에서 첫 방영이 되었고<ref name=anotherera/>, 2008년 12월 7일에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의 《[[랜덤! 카툰스]]》의 하나로 다시 방영되었다.<ref name=anotherera/><ref name=awn/> 그 후 [[인터넷]]상에서 큰 화제를 모았고<ref name=awn/>,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는 《어드벤처 타임》의 정식 시리즈를 만들기로 하여 이를 [[닉툰스 (미국)|닉툰스 네트워크]]에 홍보했지만 두 번이나 거절당했다.<ref name=enchiridion/> 그 후 [[카툰 네트워크]]에 접선을 시도했고, 카툰 네트워크에서는 만약 펜들턴 워드가 파일럿의 기본 요소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면 시리즈 제작에 흔쾌히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f name=begin/>


55번째 줄: 55번째 줄:


===출연진===
===출연진===
{{여러그림|크기=180|그림1=John DiMaggio by Gage Skidmore 2.jpg|그림2=JeremyShadaCrop.jpg|alt1=갈색 머리와 수염이 있고, 검은색 셔츠를 입은 중년의 남자가 정면을 바라보고 있다.|alt2=검은 재킷을 입은 젊은 남자가 마이크 앞에 앉아 인터뷰를 하고 있다.|꼬리말=주인공 제이크 역의 [[존 디마지오]]<span style="font-size:85%;">(왼쪽)</span>과 핀 역의 [[제레미 샤다]]<span style="font-size:85%;">(오른쪽)</span>.}}
{{여러그림|크기=180|그림1=John DiMaggio by Gage Skidmore 2.jpg|그림2=JeremyShadaCrop.jpg|alt1=[[존 디마지오]]가 인터뷰를 하고 있다.|alt2=[[제레미 샤다]]가 인터뷰를 하고 있다.|꼬리말=주인공 제이크 역의 [[존 디마지오]]<span style="font-size:85%;">(왼쪽)</span>과 핀 역의 [[제레미 샤다]]<span style="font-size:85%;">(오른쪽)</span>.}}
작품에 참여한 전문 성우에는 [[존 디마지오]](제이크 역), [[톰 케니]](얼음대왕 역), [[힌든 월치]](버블검 공주 역)가 있다. 주인공 핀은 [[제레미 샤다]]가 맡았고, [[올리비아 올슨]]은 마르셀린 역을 맡았다. 제작자 워드는 직접 여러 등장인물을 맡았는데, 대표적으로 울룩불룩 공주가 있다. 전 스토리보드 작가인 [[니키 양]]은 핀과 제이크의 비디오 게임기인 비모와 제이크의 여자친구 무지개콘 역할을 맡았다.<ref name=voiceactors/> 워드의 어머니 베티 워드(Bettie Ward)의 친구인 폴리 루 리빙스턴(Polly Lou Livingston)은 코가손 역할을 맡았다.<ref name=pollylou/><ref name=bettie/> 성우들의 더빙은 등장인물들 간에 더욱더 자연스러운 더빙을 위해서 모든 성우가 함께 모여 동시에 이루어진다. 힌든 월치는 이러한 녹음 형태에 대해 “실제 작품 속에서 연극을 하기 위해 대본을 낭독하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ref name=Cast/> 또한 주요 등장인물 외 조연으로 잠시 나오는 등장인물들의 게스트 성우를 자주 사용한다.<ref>{{웹 인용|언어=en|성=Mumford|이름=Gwilym|제목=Is Adventure Time the Weirdest Kids' TV Show Ever?|url=http://www.theguardian.com/tv-and-radio/2012/sep/07/adventure-time-weirdest-show-ever|확인날짜=2013-01-22|웹사이트=[[가디언]]|출판사=[[가디언 미디어 그룹]]|날짜=2012-09-07|보존url=https://archive.today/wz1fB|보존날짜=2014-06-26|깨진링크=no}}</ref> 제작진들은 《어드벤처 타임》에 관심있는 사람들을 캐스팅하기도 한다. 또한 애덤 무토와 [[켄트 오즈본]]은 《[[스타 트렉: 더 넥스트 제너레이션]]》이나 《[[오피스 (미국 시트콤)|오피스]]》의 출연진들의 섭외를 시도하고 있다고 밝혔다.<ref>{{웹 인용|언어=en|제목=Adventure Time (2014): Adam Muto & Kent Osborne Interview|url=http://www.youtube.com/watch?v=mYhjZHc9_ms|출판사=[[유튜브]]|웹사이트=HappyCool|확인날짜=2014-08-04|날짜=2014-07-25|깨진링크=no}}</ref>
작품에 참여한 전문 성우에는 [[존 디마지오]](제이크 역), [[톰 케니]](얼음대왕 역), [[힌든 월치]](버블검 공주 역)가 있다. 주인공 핀은 [[제레미 샤다]]가 맡았고, [[올리비아 올슨]]은 마르셀린 역을 맡았다. 제작자 워드는 직접 여러 등장인물을 맡았는데, 대표적으로 울룩불룩 공주가 있다. 전 스토리보드 작가인 [[니키 양]]은 핀과 제이크의 비디오 게임기인 비모와 제이크의 여자친구 무지개콘 역할을 맡았다.<ref name=voiceactors/> 워드의 어머니 베티 워드(Bettie Ward)의 친구인 폴리 루 리빙스턴(Polly Lou Livingston)은 코가손 역할을 맡았다.<ref name=pollylou/><ref name=bettie/> 성우들의 더빙은 등장인물들 간에 더욱더 자연스러운 더빙을 위해서 모든 성우가 함께 모여 동시에 이루어진다. 힌든 월치는 이러한 녹음 형태에 대해 “실제 작품 속에서 연극을 하기 위해 대본을 낭독하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ref name=Cast/> 또한 주요 등장인물 외 조연으로 잠시 나오는 등장인물들의 게스트 성우를 자주 사용한다.<ref>{{웹 인용|언어=en|성=Mumford|이름=Gwilym|제목=Is Adventure Time the Weirdest Kids' TV Show Ever?|url=http://www.theguardian.com/tv-and-radio/2012/sep/07/adventure-time-weirdest-show-ever|확인날짜=2013-01-22|웹사이트=[[가디언]]|출판사=[[가디언 미디어 그룹]]|날짜=2012-09-07|보존url=https://archive.today/wz1fB|보존날짜=2014-06-26|깨진링크=no}}</ref> 제작진들은 《어드벤처 타임》에 관심있는 사람들을 캐스팅하기도 한다. 또한 애덤 무토와 [[켄트 오즈본]]은 《[[스타 트렉: 더 넥스트 제너레이션]]》이나 《[[오피스 (미국 시트콤)|오피스]]》의 출연진들의 섭외를 시도하고 있다고 밝혔다.<ref>{{웹 인용|언어=en|제목=Adventure Time (2014): Adam Muto & Kent Osborne Interview|url=http://www.youtube.com/watch?v=mYhjZHc9_ms|출판사=[[유튜브]]|웹사이트=HappyCool|확인날짜=2014-08-04|날짜=2014-07-25|깨진링크=no}}</ref>



2015년 4월 5일 (일) 23:31 판

어드벤처 타임
Adventure Time
장르 코미디, 판타지, 모험[1]
TV 애니메이션
기획 펜들턴 워드
감독 래리 레이클리터
프로듀서 켈리 크루스(Kelly Crews)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펜들턴 워드
프레드 세이버트
데릭 드라이먼(시즌 1)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패트릭 맥헤일
콜 산체스
애덤 무토
네이트 캐시
성우 제레미 샤다
존 디마지오
힌든 월치
니키 양
톰 케니
올리비아 올슨
디 브래들리 베이커
펜들턴 워드
폴리 루 리빙스턴
제시카 디시코
마리아 뱀퍼드
오프닝 곡 "Adventure Time" - 펜들턴 워드
엔딩 곡 "The Island Song" - 애슐리 에릭손
음악 케이시 제임스 베이시커스
팀 커피어
제작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
카툰 네트워크 스튜디오
방송사 파일럿: 닉툰스
정식: 카툰 네트워크
방영 기간 파일럿: 2007년 1월
정식: 2010년 4월 5일~현재
화수 187화 (에피소드 목록)
- 토론

어드벤처 타임》(영어: Adventure Time)은 펜들턴 워드가 기획하고 카툰 네트워크에서 방영하는 미국의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주인공인 인간 소년 ‘핀’과, 마법의 힘으로 몸의 크기와 모양을 자유자재로 변화할 수 있는 개 ‘제이크’의 모험을 다루고 있다. 둘은 종말 이후의 세상인 ‘우 랜드’에서 살고 있다.

이 시리즈의 파일럿닉툰스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가 제작한 단편 애니메이션 소개 프로그램인 《랜덤! 카툰스》를 위해 처음 만들어졌다. 인터넷상에서 큰 화제를 모은 후 카툰 네트워크가 장편 시리즈로 만들어 2010년 3월 11일에 선공개 한 후, 그 해 4월 5일 첫 공식 방영을 시작했다. 스토리보드 과정을 통해 8분 길이의 한 화를 제작하는데 대략 엳아홉 달이 걸린다. 자연스러운 더빙을 위해 성우들은 동시에 녹음을 하며, 배우들이 조연 등장인물의 게스트 성우를 맡는 경우도 있다. 총 다섯 개의 시즌이 방영되었으며, 현재는 여섯 번째 시즌이 방영 중이다. 일곱 번째 시즌이 계획되어 있으며, 특별 미니시리즈와 장편 영화 또한 제작 중이다.

첫 방영 이후 주당 약 200~300만 명의 시청자 수를 기록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청소년과 성인 층 사이에서 두터운 팬덤을 형성하는데 성공하였다. 《어드벤처 타임》은 각각 두 번의 애니상프라임타임 에미상, 영국 아카데미 어린이상과 한 번의 모션 픽쳐 사운드 에디터상을 수상했다. 스핀오프 버전인 코믹스는 아이스너상과 두 번의 하비상을 받았다. 또한 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 한 여러 비디오 게임이나 코믹스, 각종 상품들이 출시되기도 하였다.

요약

이 작품은 종말 이후의 세상인 우 랜드에서 살고 있는 인간 소년 핀과, 마법의 힘으로 몸의 크기와 모양을 자유자재로 변화할 수 있는 강아지 제이크의 모험을 다루고 있다. 워드는 핀을 ‘높은 도덕성을 가진 용맹한 어린 아이’라고 표현했고, 제이크는 영화 《미트볼》에서 빌 머리가 맡은 역할인 트리퍼 해리슨(Tripper Harrison)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했다.[2] 그 외 등장인물로는 캔디 왕국의 통치자인 버블검 공주, 악당이자 어딘가 이상한 얼음대왕, 록 음악을 좋아하는 뱀파이어 여왕 마르셀린 등이 있다.[3][4]

개발

구상 및 창작

펜들턴 워드가 마이크를 잡고 있다.
이 작품은 펜들턴 워드가 제작했다.

제작자 펜들턴 워드에 따르면 자신이 캘리포니아 예술 학교에 다닐 때와 《이상한 바다의 플랩잭》의 스토리보드 작가로 일한 경험이 작품의 전반적인 형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그는 이를테면 미야자키 하야오의 《이웃집 토토로》에 나오는 아름다운 순간을 작품에 담는 시도를 했다.[2] 《어드벤처 타임》은 7분의 러닝타임을 가진 단편 애니메이션으로 처음 시작했다. 워드는 작품의 거의 전체를 혼자서 만들었고, 2006년 봄에 제작을 마쳤다.[5] 이 파일럿은 2007년 1월에 닉툰스에서 첫 방영이 되었고[5], 2008년 12월 7일에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의 《랜덤! 카툰스》의 하나로 다시 방영되었다.[5][2] 그 후 인터넷상에서 큰 화제를 모았고[2],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는 《어드벤처 타임》의 정식 시리즈를 만들기로 하여 이를 닉툰스 네트워크에 홍보했지만 두 번이나 거절당했다.[6] 그 후 카툰 네트워크에 접선을 시도했고, 카툰 네트워크에서는 만약 펜들턴 워드가 파일럿의 기본 요소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면 시리즈 제작에 흔쾌히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7]

워드는 곧 작품의 콘셉트를 바꿨고, 더불어서 파일럿은 학생의 작품 느낌이 났지만 곧 만들어질 시리즈는 더 완벽하게 되기를 원했다.[2] 파일럿과 비교해서 가장 크게 바뀐 점으로는 배경 그림에 큰 강조를 두었다는 것이다. 아티스트인 댄 "고스트쉬림프" 제임스(Dan "Ghostshrimp" James)는 배경을 구체화하는 작업을 맡았는데, 핀과 제이크의 나무집이나 캔디 왕국, 얼음 왕국과 같은 주요 장면을 디자인했다.[2][8] 워드는 패트릭 맥헤일(Patrick McHale)과 애덤 무토의 도움으로 핀과 버블검 공주가 함께 스파게티 식사를 하러 가는 내용의 개략적인 스토리보드를 제출했다.[6] 그러나 카툰 네트워크 측에서는 스토리보드에 만족하지 못했고 다른 스토리보드를 원했다. 펜들턴 워드는 에피소드 "The Enchiridion"의 초기 스토리보드를 파일럿의 스타일과 비슷하게끔 하여 다시 제출했다. 그 결과, 카툰 네트워크는 2008년 9월에 첫 번째 시즌을 방영하는 것을 허락했고, 이 때문에 "The Enchiridion"은 첫 번째로 제작된 에피소드가 되었다.[6][7][9][10] 이 시리즈의 원제는 《핀과 제이크의 어드벤처 타임》(Adventure Time with Finn & Jake)이었다.[11] 이는 초기에 제작자들이 자신들이 원하는 《어드벤처 타임》으로 제목을 정할 수 있을지 확신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후에 그들은 더 짧은 이름을 사용하는 것을 허락받았고, 결국 공식 방영명이 《어드벤처 타임》으로 바뀌게 되었다.[12]

제작

대부분 애니메이션 제작에 있어서 방영되는 방송국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카툰 네트워크는 《어드벤처 타임》 제작진에게 ‘그들 스스로의 유기적인 팀을 세우는 것’을 허용하고, 스토리보드와 애니매틱스[주 1]를 통해 서로 소통하기로 했다.[13] 카툰 네트워크의 콘텐츠 수집 최고 경영자(Chief Content Officer)인 롭 솔쳐(Rob Sorcher)는 회사가 이를 허용한 이유를를 스토리보드를 사용함으로써 무엇보다도 애니메이터들을 쉽게 다룰 수 있고, 작가와 애니메이터들이 직접 어떠한 일을 함으로써 배우고 자라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13] 제작에 참여한 작가나 스토리보드 아티스트들 대부분이 인디 만화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워드는 세 번째 시즌 제작 중에 그들을 작품 속에 더욱더 기괴하고 어떤 정신적인 부분을 끼워넣는 ‘똑똑하고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라고 표현했다.[14]

디 A.V. 클럽》과의 인터뷰에서 워드는 이야기가 만들어지는 과정이 작가들이 지난 주에 무얼 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에서 부터 시작한다고 말했다. 또한 “만약 이야기 도중에 막히는 일이 생기면 우리는 흔히 쓸모 없는 이야기들을 되는대로 지껄이기 시작한다. 그러면 누군가가 이야기를 듣고 최악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이러한 것들이 작가들에게 보다 좋은 생각을 불러오고 일을 시작하게 만든다.”라고 말했다.[15] 또한 작품의 대부분의 영감을 판타지 테이블 롤플레잉 게임인 《던전 앤 드래곤》에서 얻었다고 했다. 《어드벤처 타임》이 방영되기 이전에는 많은 작가들이 게임의 빠져 살았지만, 방영이 시작된 후 바쁜 제작 과정으로 인해 게임을 할 시간이 줄게 되었다. 워드는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작품에 “《던전 앤 드래곤》을 플레이하고 싶은 마음이 담기게” 되었다고 했다.[15] 가끔씩은 작가들이 함께 모여 여러 놀이들을 즐기기도 한다.[16] 한 예로 우아한 시체라고 불리는 놀이를 하는데, 한 작가가 종이 위에 어떤 이야기를 시작하면 다른 작가에게 종이를 넘겨 이야기를 어떻게든 끝마쳐야 하는 것이다.[16][17] 그러나 워드는 “그 이야기는 보통 형편없다.”라고 말했다.[17] 그렇지만 스토리보드 작가 콜 산체스는 에피소드의 대본이 이런 게임을 하며 좋은 생각을 넓혀가며 만들어지거나 또는 스토리보드 작가의 생각으로도 만들어진다고도 했다.[16]

《어드벤처 타임》은 스토리보드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데, 스토리보드 틀(사진)을 이용하여 대화와 장면을 함께 나타낸다.

작가들이 이야기를 정하고 나면 에피소드의 주요 아이디어들은 ‘중요한 부분’을 포함한 두세 쪽의 밑그림으로 만들어진다.[18] 그 후 스토리보드 작가에게 넘겨져 몇 주간 행동, 대화, 유머 등의 세부적인 부분을 만든다.[18][19] 워드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들은 스토리보드를 검토한 후 자신들의 의견을 밝힌다. 스토리보드는 다시 작가들에게 넘겨져 의견을 반영하고 에피소드를 전반적으로 다듬는다.[19] 스토리보드 작성과 수정은 대략 한 달간 소요된다. 수정이 끝나면, 목소리 녹음을 한 뒤 애니매틱스를 만들어 방영 시간인 11분에 맞추는 편집을 한다. 세세한 물체나 등장인물, 배경 디자이너들은 그 후 디자인을 만들어 정리한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 본격적인 애니메이션 제작이 시작된다.[20][21] 에피소드의 제작 및 채색은 캘리포니아 주버뱅크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대한민국러프 드래프트 코리아에서도 담당한다.[21][22]

한 에피소드를 만드는데 실질적으로 약 세 달에서 다섯 달 가량이 소요된다.[20][21] 이 기간 동안 재녹음과 음악 작곡, 소리 등이 완성된다.[20] 애니메이션이 완성되고 나면, 미국으로 되돌려져 실수 혹은 ‘의도치 않은 뭔가’가 없는지 검토를 한다.[21] 한국에서 이런 문제들이 해결되어 한 편의 에피소드가 완성이 된다.[21] 하나의 에피소드가 최종적으로 완성되는데 여덟 달에서 아홉 달이 걸리며, 여러 개의 에피소드가 동시에 제작된다.[15][20][21] 그림 대다수는 손으로 직접 그려진다.[23] 전 캐릭터 디자이너인 필 린다(Phil Rynda)에 의하면, 대부분의 사전 제작은 포토샵을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그 후 종이에 손으로 그리고 컴퓨터로 합성한다.[23][24] 손으로 그려지지 않은 에피소드에는 두 번째 시즌의 "Guardians of Sunshine"이 있다. 이 에피소드는 부분적으로 3D 비디오 게임 형식을 빌렸다.[23] 해당 부분은 애니메이터인 케 지앙(Ke Jiang)이 단독으로 제작했다.[25] 다섯 번째 시즌의 "A Glitch is a Glitch"는 아일랜드의 영화 제작자인 데이비드 오라일리(David O'Reilly)가 3D 애니메이션을 이용하여 제작했다.[26] 일곱 번째 시즌에서는 컬스틴 레포어(Kirsten Lepore)가 스톱 모션 에피소드를 제작할 예정이다.[27]

펜들턴 워드는 《어드벤처 타임》이 다크 코미디와 같다고 하면서, “다크 코미디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장르이다. 그 이유는 행복과 공포를 동시에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바로 모순되는 감정의 감각이고, 우리 작품 안에 그러한 요소가 많이 들어있다고 생각된다.”라고 언급했다.[28]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의 설립자인 프레드 세이버트는 작품의 스타일을 《펠릭스 더 캣》과 맥스 플라이셔의 작품들에 비유하였고, 또한 작중의 세계가 《던전 앤 드래곤》과 그 비디오 게임의 영향도 또한 받았다고 말했다.[29] 작중의 세계가 이야기 속에 마법이 존재하지만 ‘만화적인 슬랩스틱’ 대신 일정한 물리적인 논리를 갖도록 의도했고, 또한 작가들은 등장인물들이 작중의 세계와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내적인 일관성을 만들려고 노력한다고 말했다.[2][29] 미국에서 《어드벤처 타임》은 TV-PG 등급을 받았다.[30] 이에 대해 워드는 자신이 해당 등급을 받는 것을 전혀 원하지 않았다고 했으며, “그런 등급을 받을 거라고는 생각도 못했다. 우리는 상스러운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귀엽거나 멋진 것들이 좋다.”라고 말했다.[19]

오프닝 카드에서 감독자를 나타내는 표현인 ‘directed by’는 에피소드 "All Your Fault"를 이후로 없어졌다.[31] 그 다음 화인 "Little Dude"에서는 애덤 무토가 수퍼바이징 디렉터(supervising Director)로, 닉 제닝스(Nick Jennings)가 아트 디렉터(art director)로 표기되었다.[32] 무토는 이에 대해 다섯 번째 이후로는 어떤 한 사람에게 단독으로 ‘감독’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33] 덧붙여서 이전 에피소드에서 무토와 네이트 캐시(Nate Cash)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reative director)로 표기되었지만, 이를 수퍼바이징 디렉터라는 이름으로 대체하기로 하였다고 전했다.[33] 그러나 바로 뒤 에피소드인 "Bad Little Boy"에서는 여전히 ‘directed by’ 표기가 쓰였는데[34], 이는 해당 에피소드가 "Little Dude" 이전에 제작되었으나 방영이 늦게 되었기 때문이다.[35] 다섯 번째 시즌의 초기에는 무토와 네이트 캐시가 매 에피소드마다 각각 수퍼바이징 디렉터로 표기되었다.[32][36] 그러나 "Shh!"부터는 첫 번째 시즌의 스토리보드 아티스트였던 엘리자베스 이토(Elizabeth Ito)가 무토를 대신하여 수퍼바이징 디렉터를 담당했다.[37] 무토는 후에 수퍼바이징 프로듀서로 승진하였고[38], 후에는 공동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co-executive producer)가 되었다.[39] 워드는 《롤링 스톤》과의 인터뷰에서, 다섯 번째 시즌 도중에 자신이 쇼러너 자리에서 물러났다고 밝혔다. 현재 쇼러너는 애덤 무토가 맡고 있다.[40]

출연진

존 디마지오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제레미 샤다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주인공 제이크 역의 존 디마지오(왼쪽)과 핀 역의 제레미 샤다(오른쪽).

작품에 참여한 전문 성우에는 존 디마지오(제이크 역), 톰 케니(얼음대왕 역), 힌든 월치(버블검 공주 역)가 있다. 주인공 핀은 제레미 샤다가 맡았고, 올리비아 올슨은 마르셀린 역을 맡았다. 제작자 워드는 직접 여러 등장인물을 맡았는데, 대표적으로 울룩불룩 공주가 있다. 전 스토리보드 작가인 니키 양은 핀과 제이크의 비디오 게임기인 비모와 제이크의 여자친구 무지개콘 역할을 맡았다.[41] 워드의 어머니 베티 워드(Bettie Ward)의 친구인 폴리 루 리빙스턴(Polly Lou Livingston)은 코가손 역할을 맡았다.[42][43] 성우들의 더빙은 등장인물들 간에 더욱더 자연스러운 더빙을 위해서 모든 성우가 함께 모여 동시에 이루어진다. 힌든 월치는 이러한 녹음 형태에 대해 “실제 작품 속에서 연극을 하기 위해 대본을 낭독하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44] 또한 주요 등장인물 외 조연으로 잠시 나오는 등장인물들의 게스트 성우를 자주 사용한다.[45] 제작진들은 《어드벤처 타임》에 관심있는 사람들을 캐스팅하기도 한다. 또한 애덤 무토와 켄트 오즈본은 《스타 트렉: 더 넥스트 제너레이션》이나 《오피스》의 출연진들의 섭외를 시도하고 있다고 밝혔다.[46]

설정과 신화

작품의 배경은 가상의 대륙인 우 랜드(Land of Ooo)이며[47], 핵무기 대학살로 추정되는 버섯 전쟁(Great Mushroom War)이 끝나고 천 년 가량이 지난 종말 이후의 세상이다. 워드는 ‘폭탄이 떨어진 후 마법이 세계에 되돌아온 시기’라고 설명했다.[48] 작품이 완전히 만들어지기 전에, 우 랜드에 대한 워드의 의도는 단지 ‘신비하게’(magical) 되는 것이었다. 호수에서 사람들이 갇혀있는 빙하가 떠오른 이야기를 담은 "Business Time"이 방영된 이후 부터 《어드벤처 타임》은 갑자기 종말물이 되었고, 펜들턴 워드는 제작진들에게 “이런 식으로 가자”(just ran with it)라고 말했다.[28] 후에 그는 작품의 무대를 “캔디랜드는 표면에 있고, 어둠은 그 지하에 있다.”라고 묘사했다.[13] 워드는 사실 버섯 전쟁이나 종말 후의 세계와 같은 배경이 작품 내에서 그렇게 큰 영역을 차지할 것이라고는 생각지 못했다고 말했다.[49] 또한 그런 배경이 영화 《매드 맥스》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28] 케니는 그런 요소를 줄거리로 바꾸는 것이 “설문지의 빈칸을 메우는 것과 같다.”라고 했으며, 디마지오는 “처음부터 우 랜드는 (그러한 설정으로 인해) 문제가 많았고, 잘못 다룬다면 순식간에 망칠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49]

또한 《어드벤처 타임》에는 여러 에피소드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야기인 신화가 존재한다.[50][51] 이런 이야기에는 크게는 버섯 전쟁부터 시작하여, 주된 악당인 리치와 다른 등장인물들인 얼음대왕, 마르셀린, 버블검 공주의 과거 등이 있다.[50][51][52] 워드는 버섯 전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밝힐 생각이 없냐는 질문에 “그 이야기는 상당히 말할 가치가 있다.”라고 말했지만, 아직은 밝히지 않을 예정이라고 했다.[53]

음악

처음 오프닝을 제작할 당시, 초고는 빠른 장면과 짤막한 등장인물들의 모습으로 만들어졌다. 핀과 제이크가 온갖 종류의 괴물들을 무찌르고,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마지막에는 핵폭탄이 터지는 장면으로 이루어졌다. 워드는 스스로 ‘정말로 유치한’ 오프닝이라고 말하며, 작품의 별난 모험이라는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그런 장면을 넣었다고 밝혔다.[19] 이 초고를 카툰 네트워크에 보냈지만 거절당했고, 카툰 네트워크에서는 《더 브래디 번치》의 오프닝과 같이 좀 더 그래픽적인 것을 원했다. 후에 워드는 《심슨 가족》과 《피위의 플레이하우스》에서 영감을 받아 점점 커지는 음악과 함께 우 랜드 전체를 빠르게 둘러보는 형식의 새로운 오프닝을 만들었다. 패트릭 맥헤일(Patrick McHale)은 얼음대왕의 웃는 모습을 그렸고, 다른 작가들은 마르셀린의 그림자를 그리는데 특히 고생하였다고 전했다.[19] 그 장면 후에는 주제가와 함께 핀과 제이크가 모험을 떠나는 장면이 나오는데, 워드는 영화 《슈퍼배드》의 한 장면에서 그 구성을 따왔다고 밝혔다. 단색 배경 위에서, ‘개 제이크’(Jake the Dog) 와 ‘인간 핀’(Finn the Human)이라는 글자가 등장인물 머리 옆에 뜨는 장면이었다.[19] 오프닝 제작은 첫 방송이 있기 바로 직전에 제작이 완료되었다.[19]

"어드벤처 타임"이라는 제목의 주제가는 워드가 직접 우쿨렐레를 연주하여 만들었다. 초기 파일럿에서는 기타를 이용하여 연주하였지만, 워드의 높은 음역대와 맞지 않아 바꾸게 되었다.[19] 원래 오프닝에 쓰인 주제가는 템프 트랙[주 2]이었다. 워드는 “나는 오프닝에 쓰일 가사를 내 화실에서 아주 작고 형편없는 마이크로 녹음했고, 그 결과를 방송사에 보냈다. 후에 재녹음을 하려고 해보았으나, 맨 처음 부른 것을 빼고는 아무것도 마음에 들지 않았다.”라고 말했다.[19] 음악 작곡에는 캐이시 제임스 배이시커스(Casey James Basichis)와 팀 커피어(Tim Kiefer)가 참여하고 있다.[54][55]

작품에는 성우들이 직접 부른 노래들이 많이 등장한다.[44][56][57] 노래를 통해 극중 등장인물들의 감정을 표현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마르셀린의 "I'm Just Your Problem"이나 핀의 "All Gummed Up Inside" 등이 있다.[58][59] 작곡가인 배이시커스와 커피어 외에도 스토리보드 작가가 작곡한 곡도 있다.[60] 예를 들어 "Fry Song"은 레베카 슈거가 만들었다. 해당 곡이 삽입된 "It Came from the Nightosphere"는 슈거가 처음으로 제작한 에피소드였다. 해당 에피소드에 대한 심사를 카툰 네트워크에서 받을 때, 펜들턴 워드와 레베카 슈거는 "Fry Song"을 직접 불렀다. 카툰 네트워크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레베카 슈거는 후에 그 경험을 “정말로 겁이 났었다.”라고 표현했다.[61]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는 해당 곡의 데모와 전체 버전을 공개하기도 했다.[62][63]

《어드벤처 타임》에는 가끔 대중음악이 등장하기도 한다. 조니 캐시의 "A Boy Named Sue"(1969)가 세 번째 시즌 "Dad's Dungeon"에서 나왔고[64], 《치어스》의 주제가로 유명한 게리 포트노이의 "Where Everybody Knows Your Name"(1982)이 다섯 번째 시즌 "Simon & Marcy"에 삽입되기도 하였다.[52] 같은 시즌 "Bad Timing"에서는 코가손이 프랭크 로에저의 "(I'd Like to Get You on a) Slow Boat to China"(1948)를 불렀고[65], 프랭크 자파의 앨범 《Apostrophe (')》가 나왔다.[66] 여섯 번째 시즌의 첫 에피소드인 "Wake Up"과 "Escape from the Citadel"의 TV 광고에서는 해리 채핀의 "Cat's in the Cradle"이 삽입되었다.[67]

에피소드

《어드벤처 타임》의 에피소드는 약 11분의 길이로 구성된다. 가끔씩 에피소드 두 편을 묶어서 30분 분량의 프로그램 슬롯을 맞추기 위해 방송되기도 한다.[68] 현재 네 개의 시즌이 각 26개의 에피소드, 다섯 번째 시즌은 52개의 에피소드로 방영이 완료되었고, 현재는 여섯 번째 시즌이 방영 중이다. 2010년 3월 11일에 시범 방송을 하고, 2010년 4월 5일에 첫 정식 방영을 했다.[69] 2015년 2월 18일, 카툰 네트워크는 《어드벤처 타임》의 특별 미니시리즈를 일곱 번째 시즌의 일부로 방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70][71]

현재까지 네 번째 시즌까지의 DVD와 블루레이 디스크가 출시되었다.[72][73][74][75] 2013년 3월 30일에는 넷플릭스가 첫 번째 시즌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며[76], 2014년 3월 30일부터는 두 번째 시즌을 제공하기 시작했으나[77] 2015년 3월 30일자로 서비스를 종료하였다.[78]


시즌 회수 방송 날짜
시즌 시작 시즌 종료
파일럿 2007년 1월 11일 (2007-01-11)
1 26 2010년 4월 5일 (2010-04-05) 2010년 9월 27일 (2010-09-27)
2 26 2010년 10월 11일 (2010-10-11) 2011년 5월 9일 (2011-05-09)
3 26 2011년 7월 11일 (2011-07-11) 2012년 2월 13일 (2012-02-13)
4 26 2012년 4월 2일 (2012-04-02) 2012년 10월 22일 (2012-10-22)
5 52 2012년 11월 12일 (2012-11-12) 2014년 3월 17일 (2014-03-17)
6 43 2014년 4월 21일 (2014-04-21) 2015년 6월 5일 (2015-06-05)
7 26 2015년 11월 2일 (2015-11-02) 2016년 3월 19일 (2016-03-19)
8 27 2016년 3월 26일 (2016-03-26) 2017년 2월 2일 (2017-02-02)
9 14 2017년 4월 21일 (2017-04-21) 2017년 7월 21일 (2017-07-21)
10 16 2017년 9월 17일 (2017-09-17) 2018년 9월 3일 (2018-09-03)
단편 2012년 7월 10일 (2012-07-10) 2016년 9월 2일 (2016-09-02)
특별 2018년 7월 20일 (2018-07-20)

반응

시청자 수

《어드벤처 타임》은 방영 이후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0년 4월 5일 방영된 첫 에피소드 "Slumber Party Panic"과 "Trouble in Lumpy Space"는 250만 명의 시청자 수를 기록했다.[79] 카툰 네트워크에 의해 발표된 자료를 보면 동일한 시간대의 작년 방영 프로그램보다 세자릿 수 가량의 퍼센트 증가를 보였다. 그 예시로 2~11세의 어린이 166만 1천 명이 시청하여, 작년에 비해 110%의 상승을 기록했다. 9~14세의 어린이 조사에서는 837,000명이 시청했고, 무려 239%의 상승을 기록했다.[80] 두 번째 시즌의 첫 에피소드인 "It Came From the Nightosphere"는 200만 1천 명을 기록했다. 첫 번째 시즌 마지막 에피소드에 비해 감소한 것이지만, 첫 방영 때와 비교하면 증가한 것이다.[81][82][79] 방영이 계속되면서 시청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였고, 시즌이 거듭됨에 따라 꾸준히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다 여섯 번째 시즌에는 332만 1천명을 기록했다.[83][84] 2013년 3월에는 한 편당 2~300만여 명이 시청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85] 닐슨 시청률에 따르면 《어드벤처 타임》은 동일 시간대의 2~14세 남자 시청률 1위를 기록하였다.[13]

평가

“《어드벤처 타임》은 내가 다시 어린 아이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도록 만든다. 그럴 수 있다면 지금 《어드벤처 타임》을 보고 있는 아이들과 같이 멋지게 자라날 수 있기 때문이다.”

대런 프래니치(Darren Franich), 《엔터테인먼트 위클리[86]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으며, 다양한 연령대로부터 팬덤을 형성하는데 성공했다. 《디 A.V. 클럽》의 노엘 머레이(Noel Murray)는 이러한 팬덤을 ‘우스꽝스러운 유머와 창의적인 이야기, 수많은 등장인물에 끌리는 사람들’이라고 불렀다.[15] 텔레비전 평론가인 로버트 로이드(Robert Lloyd)는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글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어드벤처 타임》은 카툰 네트워크의 현재 방영중인 《냠냠 차우더》와 《이상한 바다의 플랩잭》과 같은 인상을 주었다. 매 에피소드가 이상하고 약간 불안한 사람들로 가득한 기이한 세상에서 펼쳐진다. 그 중심에는 어린 남자아이나 사람을 닮은 것들이 있는데, 특이하고 항상 믿음직스럽지 않은 조력자의 도움으로 살아간다.” 이어서 말하기를 “우리가 잘 알듯이 분위기가 더욱 어둡고, 이상하고, 세상과 단절되어 있지만, 카툰 네트워크의 이전 애니메이션인 《상상 속 친구들의 모험》과 다르지 않다.”라고 했다. 또한 《어드벤처 타임》을 “비록 어떤 점에서는 내가 어리고 힘들 적에 보았던 기쁨을 주던 만화와 비슷하지만, 내가 어릴 때 그들이 만들던 만화와는 다른 종류이다.”라고 언급했다.[11]슬레이트》의 마이크 르슈발리에(Mike LeChevallier)는 세 번째, 네 번째 시즌에 대해 별 다섯 개 중 네 개를 주었다.[87][88] 세 번째 시즌의 리뷰에서는 “이야기 전개나 삽화, 음악, 목소리 연기 그리고 다채로운 놀라움을 11분 안에 실현시켰다는 점에서 큰 점수를 주었다.”라고 말했다.[87] 또한 “이목을 끄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전혀 없는 것 같이 보인다.”라고 했으며, 짧은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시리즈에서는 불가피한 점이라고 언급하며 “ 짧은 길이가 여전히 아쉬움을 남긴다.”라고 말했다.[87] 네 번째 시즌의 리뷰에서는 《어드벤처 타임》이 작품 속 주인공과 더불어 성장하고 있다면서, “작품의 이야기는 현재 방영중인 애니메이션 중 최고이다.”라고 평했다.[88] 《디 A.V. 클럽》의 잭 핸들런(Zack Handlen)은 “복잡성(즉 기이함)과 전통적인 바보짓 그 둘을 모두 만족시키는 방식으로 어린이와 성인 그 사이의 중첩 지대를 완벽하게 소화해 냈다.”라고 칭했다.[89] 덧붙여 “12살 된 아이들에게 만화를 만들어 달라고 한다면 《어드벤처 타임》과 같은 결과가 나올 것이다. 마치 그 자신들이 엄청난 재능을 갖고 있거나 몇몇은 스탠 리잭 커비, 마르크스 형제가 된 것처럼 말이다.”라고 언급했다.[89]

《덴 오브 긱》(Den of Geek)의 로버트 맥러플린(Robert Mclaughlin)은 《어드벤처 타임》은 “오랜 기간 동안 순순한 상상력을 담아낸 최초의 만화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대중문화에 의존하지 않는 모습과 대략적인 정망이 밝고 재미있다.”라고 칭찬했다.[90] 《인디와이어》(IndieWire)의 에릭 콘(Eric Kohn)은 작품이 현시대에 있어 “(만화라는) 매체의 진보를 나타낸다.”라고 말했다. 또한 단지 ‘무작위하고, 사랑스럽고 감정이 흘러 넘치는’ 면을 다룰 뿐만 아니라, ‘매우 슬픈 함의(含意)’를 품고 있다는 점에서 좋다고 밝혔다.[91]엔터테인먼트 위클리》는 ‘최고의 애니메이션 시리즈 25’에서 《어드벤처 타임》을 20위에 올렸다.[86][92] 평론가 대런 프래니치(Darren Franich)는 ‘A’ 등급을 주면서 “SF·판타지·호러·뮤지컬·동화를 모두 섞은 것 같으며, 이는 《캘빈과 홉스》, 《파이널 판타지》, 《괴물들이 사는 나라》나 미야자키 하야오리처드 링클레이터의 작품을 떠올리게 만든다.”라고 말했다.[93] 또한 작품의 성숙성과 더불어‘꾸준한 창의성’이 드러나는 줄거리와 ‘생생한 배경’을 칭찬하였다.[93]

팬덤

방영 이래로 《어드벤처 타임》은 꾸준히 팬덤을 형성하고 있다. 청소년과 성인 연령대를 위주로 ‘열성 팬’을 모으는데 성공한 것으로 평가되며[40][94], 《인디 와이어》(Indiewire)의 에릭 콘(Eric Kohn)은 “근래 10년 이내 가장 큰 팬덤 현상 중 하나로 생각된다.”라고 하였다.[95] 《어드벤처 타임》은 특히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내셔널과 같은 팬 행사에서 유명하다.[95] 리포터 엠마 리 모스는 자신의 기사에서 “에피소드 상영과 성우들과의 인터뷰 그리고 코스프레 등이 준비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올해(2014년) 코믹콘의 일정은 《어드벤처 타임》의 성공을 반영하는 것 같다.”라고 언급했다.[96]

또한 코스플레이어행위 예술가에게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모스는 코믹콘 현장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어드벤처 타임》의 코스튬을 입고 등장인물들을 흉내내고 있었다고 말했다.[96] 올리비아 올슨은 한 인터뷰에서 “정말 말 그대로, 어디를 가든 적어도 두 명 이상의 사람이 핀 복장을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겁니다. 정말 열광적이죠.”라고 말했다.[97]

수상 내역

텔레비전

연도 수상 부문 후보 결과
2007 애니상 Best Animated Short Subject[98] "어드벤처 타임" 단편 후보
2010 프라임타임 에미상 Outstanding Short-Format Animated Program[99] "My Two Favorite People" 후보
2011 애니상 Best Animated Television Production for Children[100] 《어드벤처 타임》 후보
프라임타임 에미상 Outstanding Short-Format Animated Program[99] "It Came from the Nightosphere" 후보
2012 애니상 Best Animated Special Production[101] "Thank You" 후보
Best Storyboarding in a Television Production[101] 레베카 슈거 후보
크리틱스 초이스 텔레비전상 Best Animated Series[102] 《어드벤처 타임》 후보
프라임타임 에미상 Outstanding Short-Format Animated Program[99] "Too Young" 후보
2013 애니상 Best Animated Television Production for Children[103] "Princess Cookie" 후보
Design in an Animated Television/Broadcast Production[104] "The Hard Easy" 후보
Storyboarding in an Animated Television/Broadcast Production[105] "Goliad" 후보
Storyboarding in an Animated Television/Broadcast Production[105] "Lady & Peebles" 후보
선댄스 영화제 Animated Short Film[106] "Thank You" 후보
골든 릴 어워즈 Sound Effects, Foley, Dialogue, and ADR Animation In Television[107] "Card Wars" 수상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TV series[108] "Princess Cookie" 후보
크리틱스 초이스 텔레비전상 Best Animated Series[109] 《어드벤처 타임》 후보
틴 초이스 어워드 Choice Animated Series[110] 《어드벤처 타임》 후보
프라임타임 에미상 Outstanding Individual Achievement In Animation[111] 앤디 리스타이노 수상
Outstanding Short-Format Animated Program[112] "Simon & Marcy" 후보
영국 아카데미 어린이상 International[113] 《어드벤처 타임》 수상
2014 애니상 Best Animated TV/Broadcast Production For Children’s Audience[114] 《어드벤처 타임》 수상
Outstanding Achievement, Production Design in an Animated TV/Broadcast Production[115] 닉 제닝스(Nick Jennings) 외 후보
Outstanding Achievement, Voice Acting in an Animated TV/Broadcast Production[114] 톰 케니 수상
Outstanding Achievement, Editorial in an Animated TV/Broadcast Production[115] 폴 더글러스(Paul Douglas) 후보
홀 오브 게임 어워즈 Most Valuable Cartoon[116] 《어드벤처 타임》 수상
니켈로디언 키즈 초이스 어워드 Favorite Cartoon[117] 《어드벤처 타임》 후보
크리틱스 초이스 텔레비전상 Best Animated Series[118] 《어드벤처 타임》 후보
프라임타임 에미상 Outstanding Individual Achievement In Animation[119] 닉 제닝스(Nick Jennings) 수상
Outstanding Short-Format Animated Program[120] "Be More" 후보
틴 초이스 어워드 Choice Animated Series[121] 《어드벤처 타임》 후보
키즈 초이스 어워드 콜롬비아 Favorite Animated Series[122] 《어드벤처 타임》 후보
키즈 초이스 어워드 멕시코 Favorite Animated Series[123] 《어드벤처 타임》 후보
영국 아카데미 어린이상 International[124] 《어드벤처 타임》 수상
애니상 Outstanding Achievement, Directing in an Animated TV/Broadcast Production[125] 유아사 마사아키, 최은영 후보
Best Animated TV/Broadcast Production For Children’s Audience[125] 《어드벤처 타임》 후보
2015 픽셀상 Best Television Website[126] Finn and Jake's Big Adventure 미결정
키즈 초이스 어워드 Favorite Cartoon[127] 《어드벤처 타임》 미결정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TV Series[128] "Food Chain" 미결정

만화

연도 수상 부문 후보 결과
2013 아이스너상 Best Publication for Kids[129] 《어드벤처 타임》 만화 수상
하비상 Best Original Graphic Publication for Younger Readers[130] 《어드벤처 타임》 만화 수상
Special Award for Humor in Comics[130] 라이언 노스 수상
2014 아이스너상 Best Lettering[131] 브릿 윌슨(Britt Wilson) 후보

관련 미디어

만화책

2011년 11월 19일, 카붐! 스튜디오스(KaBOOM! Studios)는 웹코믹 작가인 라이언 노스가 《어드벤처 타임》 만화책을 만들 예정이라고 발표했다.[132][133] 2012년 2월 8일 첫 시리즈가 나왔다. 셸리 패럴라인(Shelli Paroline)과 브래든 램(Braden Lamb)이 그림을 맡았다.[134][135] 2014년 10월에는 노스가 각본 제작을 그만 두고 크리스토퍼 헤이스팅스가 대신할 것으로 알려졌다.[136]

초기 만화책의 성공에 힘입어 여러 스핀 오프 미니시리즈가 출시되었다. 2012년 7월에는 메러디스 그랜(Meredith Gran)이 제작한 《어드벤처 타임: 마르셀린 앤드 더 스크림 퀸스》(Adventure Time: Marceline and the Scream Queens)가 공개되었다. 총 6호가 제작되었으며, 버블검 공주가 마르셀린의 밴드에 들어와 우 랜드를 여행하면서 생기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137] 2013년 1월에는 에피소드 "Fionna and Cake"를 바탕으로 한 《어드벤처 타임 위드 피오나 & 케이크》(Adventure Time with Fionna & Cake)가 발매되었다. 총 6호 분량이며, 《어드벤처 타임》 캐릭터 디자이너이자 스토리보드 수정자인 나타샤 알레그리(Natasha Allegri)가 그림을 맡았다.[138] 그 외 다른 작가들과 아티스트들에 의해 여러 스핀 오프 작품이 출시되기도 했다.[139][140] 다니엘 코르세토(Danielle Corsetto) 각본, 잭 스털링(Zack Sterling) 그림의 160쪽 분량 그래픽 노블인 《어드벤처 타임: 플레잉 위드 파이어》(Adventure Time: Playing with Fire)가 2013년 4월 발매되었다. 핀과 제이크와 함께 불꽃 공주가 벌이는 모험에 대해 다루었다.[141] 11월에는 속편인 《어드벤처 타임: 픽셀 프린세스》(Adventure Time: Pixel Princesses)가 발매되었다.[142] 2014년 3월에는 케이트 레스(Kate Leth)가 각본을 맡은 《어드벤처 타임: 시잉 레드》(Adventure Time: Seeing Red)가 출시되었다.[143]

비디오 게임

펜들턴 워드가 자신의 트위터 글에서 비디오 게임이 출시될 예정이라고 알렸었다.[144] 웨이포워드 테크놀로지가 개발하고 D3 퍼블리셔가 발매한 닌텐도 DS, 닌텐도 3DS용 게임 《어드벤처 타임: 이봐 얼음대왕! 왜 우리 쓰레기를 훔쳐가는 거야?!!》가 2012년 11월에 발매되었다.[145][146] 2013년 11월에는 《어드벤처 타임: 던전을 탐험하자 왜냐하면 나도 몰라!》가 발매되었다. 전작과 동일한 개발사·배급사이며, 닌텐도 3DS를 포함하여 플레이스테이션 3, 엑스박스 360, Wii U 등 다양한 매체로 출시되었다.[147] 2014년 4월에는 스팀을 통하여 《핀과 제이크의 퀘스트》(Finn & Jake's Quest)가 발매되었다.[148] 카툰 네트워크는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MOBA 게임인 《어드벤처 타임: 배틀 파티》를 공개했다.[149] 동년 11월에는 핀과 제이크가 우 랜드의 미지의 땅을 찾아 나서는 《어드벤처 타임: 이름 없는 왕국의 비밀》이 발매되었다.[150] 그 외에도 여러 게임들이 iOS와 안드로이드 용으로 출시되었다.[151]

영화

2015년 2월 27일에는 워너 브라더스와 카툰 네트워크가 《어드벤처 타임》의 장편 영화 버전을 제작 중이라고 전해졌다. 펜들턴 워드와 크리스 맥케이(Chris McKay)와 로이 리가 제작에 참여한다.[152][153]

기타 상품

2011년, 재즈웨어(Jazwares)는 다양한 크기의 액션 피겨와 24인치 핀의 칼 등을 라이선스 하에 발매하였다.[154] 또한 핫 토픽(Hot Topic), 위 러브 파인(We Love Fine), 스레들리스(Threadless) 등의 의류 사이트를 통해 그래픽 티셔츠가 판매되고 있다.[155][156][157] 펜들턴 워드는 위 러브 파인과 스레들리스에서 직접 티셔츠 디자인 대회를 열기도 했다.[157][158] 기타 다른 셔츠들은 카툰 네트워크의 공식 쇼핑몰에서 판매 중이다.[159] 네 번째 시즌에서 등장한 트레이딩 카드 게임인 《카드 워즈》(Card Wars) 또한 실물로 출시되었다.[160]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지역코드 1
DVD 제목 시즌 화면비 에피소드 수 전체 시간 발매 일자
My Two Favorite People[161] 1, 2 16:9 12 137분 2011년 9월 27일
It Came from the Nightosphere[92] 1, 2, 3 16:9 16 176분 2012년 3월 6일
The Complete First Season[72] 1 16:9 26 286분 2012년 7월 10일
Jake vs. Me-Mow[162] 1, 2, 3, 4 16:9 16 176분 2012년 10월 2일
Fionna and Cake[163] 2, 3, 4 16:9 16 176분 2013년 2월 19일
The Complete Second Season[73] 2 16:9 26 286분 2013년 6월 4일
Jake the Dad[164] 4, 5 16:9 16 176분 2013년 9월 17일
The Complete Third Season[74] 3 16:9 26 286분 2014년 2월 25일
The Suitor[165] 1, 2, 3, 4, 5 16:9 16 176분 2014년 5월 6일
Princess Day[166] 2, 3, 4, 5, 6 16:9 16 176분 2014년 7월 29일
The Complete Fourth Season[75] 4 16:9 26 286분 2014년 10월 7일
Adventure Time and Friends[167] 1, 2, 3, 4 16:9 8 88분 2014년 10월 7일
Finn the Human[168] 3, 4, 5, 6 16:9 16 176분 2014년 11월 25일
Frost & Fire[169] 1, 3, 4, 5, 6 16:9 16 176분 2015년 3월 3일
지역코드 2
DVD 제목 시즌 화면비 에피소드 수 전체 시간 발매 일자
Season 1: Volume 1[170] 1 16:9 10 (에피소드 1~10) 109분 2011년 10월 5일
Season 1: Volume 2[171] 1 16:9 8 (에피소드 11~18) 87분 2011년 10월 5일
Season 1: Volume 3[172] 1 16:9 8 (에피소드 19~26) 88분 2011년 10월 5일
Season 1[173] 1 16:9 26 286분 2013년 12월 9일
Season 2[주 3][174] 2 16:9 22 242분 2014년 10월 20일
지역코드 A
블루레이 제목 시즌 화면비 에피소드 수 전체 시간 발매 일자
The Complete First Season[73] 1 16:9 26 286분 2013년 6월 4일
The Complete Second Season[73] 2 16:9 26 286분 2013년 6월 4일
The Complete Third Season[74] 3 16:9 26 286분 2014년 2월 25일
The Complete Fourth Season[75] 4 16:9 26 286분 2014년 10월 7일

각주

내용주
  1. animatics. 스토리보드를 대략적으로 영상화한 것.
  2. temp track. 영화 제작 과정 중 쓰이는 음악이나 음향 효과로, 정식 곡이 만들어지기 전 분위기나 형식 등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3. 이 DVD는 시즌 2의 모든 에피소드를 포함하고 있지 않음. "It Came from the Nightosphere", "Death in Bloom", "Mortal Folly", "Mortal Recoil"가 빠짐.[174]
참조주
  1. “Amazon.com: Adventure Time Volume 4: Amazon Instant Video” (영어). 2015년 3월 9일에 확인함. 
  2. DeMott, Rick (2010년 4월 25일). “Time for Some Adventure with Pendleton Ward” (영어). 애니메이션 월드 네트워크. 2014년 8월 6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14일에 확인함. 
  3. “Pendleton Ward, Part 2: More From the Adventure Time Creator”. 《뉴사라마》 (영어). 펄츠. 2012년 2월 14일. 2012년 3월 12일에 확인함. 
  4. Anders, Charlie Jane (2012년 3월 2일). “Pendleton Ward Explains How He’s Keeping Adventure Time Weird”. 《io9》 (영어). 거커 미디어. 2012년 7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11일에 확인함. 
  5. Seibert, Fred (2012년 10월 9일). “From Another Era, it Seems Like” (영어).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 2012년 10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20일에 확인함. 
  6. "The Enchiridion" Storyboards” (영어).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 2010년 4월 22일. 2010년 8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14일에 확인함. 
  7. 'Adventure Time' Background Development Art” (영어).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 2008년 11월 11일. 2012년 7월 30일에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22일에 확인함. 
  8. Ghostshrimp. “As Seen On Television” (영어). Ghostshrimp.net. 2015년 3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20일에 확인함. 
  9. Amidi, Amid (2008년 8월 29일). “Cartoon Network Acquires Adventure Time”. 《CartoonBrew》 (영어). Cartoon Brew LLC. 2014년 8월 6일에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22일에 확인함. 
  10. 'Enchiridion' Props in Color” (영어).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 2009년 7월 6일. 2012년 7월 30일에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30일에 확인함. 
  11. Lloyd, Robert (2010년 4월 5일). 'Adventure Time With Finn & Jake' enters a wild new world”.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영어). 트리뷴 퍼블리싱. 2013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14일에 확인함. 
  12. Muto, Adam (2014년 1월). “[애덤 무토가 제목이 바뀐 이유를 설명한 글]”. 스프링닷미. 2014년 1월 13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6일에 확인함. 
  13. Clark, Noelene (2012년 11월 14일). “‘Adventure Time’: Post-Apocalyptic ‘Candyland’ Attracts Adult Fans”.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영어). 2013년 2월 16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14일에 확인함. 
  14. Webb, Charles (2011년 4월 28일). “It's 'Adventure Time' with Series Creator Pendleton Ward”. 《MTV》 (영어). 바이어컴 미디어 네트웍스. 2011년 6월 21일에 확인함. 
  15. Murray, Noel (2012년 3월 21일). “Adventure Time creator Pendleton Ward”. 《디 A.V. 클럽》 (영어). 디 어니언. 2013년 1월 21일에 확인함. 
  16. Sanchez, Cole (2013년 3월 19일). "Adventure Time" Cartoon Networks story process” (영어). 유튜브. 2013년 7월 9일에 확인함. 
  17. Graham, Bill (2012년 7월 16일). “Comic-Con: Adventure Time Panel Features Live Radio Play With Audio; A Brief Look At New Flame Princess Episode” (영어). Collider. 2014년 8월 3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4일에 확인함. 
  18. McKendry, David (2013년 1월 3일). “Q&A: 'Adventure Time' Writer Dick Grunert”. 《Fangoria》 (영어). The Brooklyn Company. 2014년 10월 6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24일에 확인함. 
  19. Ulloa, Alexander (2010). “Adventure Time (2010)”. 《Art of the Title》 (영어). Art of the Title, LLC. 2013년 1월 17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6일에 확인함. 
  20. Ristaino, Andy (2012년 2월 14일). “[앤디 리스타이노가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을 설명한 글]” (영어). 스프링닷미. 2013년 3월 20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3일에 확인함. 
  21. Goldstein, Rich (2013년 12월 19일). “This Is How an Episode of Cartoon Network’s ‘Adventure Time’ Is Made”. 《더 데일리 비스트》 (영어). 2013년 12월 23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23일에 확인함. 
  22. “러프드래프트코리아(주) 포트폴리오” (영어). 러프 드래프트 코리아. 2014년 8월 3일에 확인함. 
  23. Ristaino, Andy (2013년 1월 11일). “[앤디 리스타니오가 제작 과정을 설명한 글]” (영어). 스프링닷미. 2013년 3월 16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1일에 확인함. 
  24. Rynda, Phil (2014년 10월 14일). “[필 린다가 작품 제작 과정을 설명한 글]” (영어). 트위터. 2014년 10월 14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14일에 확인함. 
  25. Amidi, Amid (2011년 2월 21일). “Tonight: Computer-Animated 'Adventure Time' by Ke Jiang”. 《Cartoon Brew》 (영어). Cartoon Brew, LLC. 2013년 2월 15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6일에 확인함. 
  26. Anders, Charlie (2012년 10월 12일). “Neil Patrick Harris teams up with Donald Glover for Adventure Time's next gender-swapped adventure!”. 《io9》 (영어). 거커 미디어. 2014년 8월 6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6일에 확인함. 
  27. Lepore, Kirsten (2014년 10월 29일). “[컬스틴 레포어가 자신의 참여를 알린 글]” (영어). 트위터. 2014년 10월 29일에 확인함. 
  28. Smith, Zack (2012년 11월 1일). 'Adventure Time' creator talks '80s”. 《USA 투데이》 (영어). 개닛. 2013년 2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7일에 확인함. 
  29. Zahed, Ramin (2010년 2월 5일). “And Now for Something Entirely Brilliant!”. 《애니메이션 매거진》 (영어). 2014년 8월 6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14일에 확인함. 
  30. “TV Parental Control” (영어). 카툰 네트워크. 2014년 8월 6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6일에 확인함. 
  31. "All Your Fault". 래리 레이클리터 (감독); 스티브 울프하드, 톰 허피치 (작가). 《어드벤처 타임》. 카툰 네트워크. 2013년 1월 28일. 시즌 5. 9화.
  32. "Little Dude". 애덤 무토 (수퍼바이징 디렉터); 닉 제닝스(아트 디렉터); 콜 산체스, 미카엘 데포지(작가). 《어드벤처 타임》. 카툰 네트워크. 2013년 2월 24일. 시즌 5. 10화.
  33. Muto, Adam (2013년 2월 5일). “[애덤 무토가 ‘감독’이라는 표현이 없어진 이유에 대해 설명한 글]” (영어). 스프링닷미. 2013년 3월 17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5일에 확인함. 
  34. 래리 레이클리터 (감독); 콜 산체스, 레베카 슈거 (작가) (2013년 2월 9일; 2013년 2월 18일). "Bad Little Boy". 《어드벤처 타임》. 시즌 5. 11화. 카툰 네트워크.
  35. Seibert, Fred (2012년 11월 2일). “On the Verge of Season Five Hey, sports fans....” (영어).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 2012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3일에 확인함. 
  36. 네이트 캐시 (수퍼바이징 디렉터); 닉 제닝스 (아트 디렉터); 제시 모이니한, 아코 카스투에라 (작가) (2013년 3월 4일). "The Great Birdman". 《어드벤처 타임》 시즌 5. 13화. 카툰 네트워크.
  37. Muto, Adam (2013년 5월 15일). “[애덤 무토가 엘리자베스 이토가 작품에 다시 돌아올 것을 알린 글]” (영어). 스프링닷미. 2013년 7월 10일에 확인함. 
  38. 엘리자베스 이토 (수퍼바이징 디렉터); 닉 제닝스 (아트 디렉터); 그레이엄 폴크 (작가) (2013년 5월 13일). "Shh!". 《어드벤처 타임》. 시즌 5. 20화. 카툰 네트워크.
  39. Clark, Noelene (2014년 2월 25일). 'Adventure Time' Exclusive Clip”.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영어) (트리뷴 퍼블리싱). 2014년 4월 27일에 확인함. 
  40. Strauss, Neil (2014년 10월 2일). 'Adventure Time': The Trippiest Show on Television”. 《롤링 스톤》 (영어). Wenner Media LLC. 2014년 10월 2일에 확인함. 
  41. “Adventure Time” (영어). Behind the Voice Actors. 2014년 8월 2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9일에 확인함. 
  42. Livingston, Polly Lou. 2012. "Tree Trunks" [코멘터리 트랙], 'Adventure Time Season One' [DVD], 로스앤젤레스, 카툰 네트워크.
  43. Ward, Bettie. 2012. "Tree Trunks" [코멘터리 트랙], 'Adventure Time Season One' [DVD], 로스앤젤레스, 카툰 네트워크.
  44. Orange, B. Alan. “SDCC 2011 EXCLUSIVE: 'Adventure Time' Cast Interviews”. 《Movie Web》 (영어). 2013년 1월 3일에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20일에 확인함. 
  45. Mumford, Gwilym (2012년 9월 7일). “Is Adventure Time the Weirdest Kids' TV Show Ever?”. 《가디언》 (영어). 가디언 미디어 그룹. 2014년 6월 26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2일에 확인함. 
  46. “Adventure Time (2014): Adam Muto & Kent Osborne Interview”. 《HappyCool》 (영어). 유튜브. 2014년 7월 25일. 2014년 8월 4일에 확인함. 
  47. Ward, Pendleton (2010년 7월 23일). “[우 랜드가 대륙임을 밝힌 워드의 글]” (영어). 폼스프링. 2012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13일에 확인함. 
  48. “Pendleton Ward Interview” (영어). Wizards of the Coast LLC. 2011년 4월 8일. 2013년 1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16일에 확인함. 
  49. Lamar, Cyriaque (2012년 7월 17일). “We Talk With the Minds Behind Adventure Time About the Sunshiny Post-Apocalypse”. 《io9》 (영어). 거커 미디어. 2014년 10월 4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22일에 확인함. 
  50. Kohn, Eric (2013년 3월 26일). “Why 'Adventure Time' Is the Best Sci-Fi Show on TV Right Now”. 《IndieWire》 (영어). Snagfilms. 2013년 6월 15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15일에 확인함. 
  51. Anders, Charlie Jane (2012년 11월 13일). “How Does Adventure Time Blend Intense Mythology with Laugh-Out-Loud Comedy?”. 《io9》 (영어). 거커 미디어. 2013년 6월 15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2일에 확인함. 
  52. Sava, Oliver (2013년 3월 25일). “Adventure Time: “Simon And Marcy””. 《디 A.V. 클럽》 (영어). 디 어니언. 2014년 10월 4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26일에 확인함. 
  53. Ewalt, David (2011년 11월 15일). “It's Adventure Time! Pendleton Ward Talks About His Hit Cartoon”. 《포브스》 (영어). Forbes, Inc. 2013년 1월 23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2일에 확인함. 
  54. Seibert, Fred (2010년 9월 30일). “Manlerette Party Song” (영어).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 2013년 2월 16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6일에 확인함. 
  55. Basichis, Casey James (작곡가). 2012. "Adventure Time Music With Time + Casey", 'Adventure Time Season One' [DVD], 로스앤젤레스, 카툰 네트워크.
  56. Clark, Noelene (2012년 11월 18일). 'Adventure Time': Finn Actor Jeremy Shada is 'Constantly Surprised'.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영어). 트리뷴 퍼블리싱. 2013년 2월 16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2일에 확인함. 
  57. Whittaker, Richard (2012년 4월 30일). “Singing with the Ice King”. 《The Austin Chronicle》 (영어). Austin Chronicle Corp. 2013년 1월 27일에 확인함. 
  58. Sugar, Rebecca (2011년 9월 28일). “I'm Just Your Problem – Demo Track” (영어). 텀블러. 2013년 1월 9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8일에 확인함. 
  59. Sugar, Rebecca (2012년 2월 14일). “All Gummed Up Inside” (영어). 텀블러. 2013년 1월 9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7일에 확인함. 
  60. Moynihan, Jesse (2012년 12월 11일). “Adventure Time : Marceline’s Closet” (영어). JesseMoynihan.com. 2013년 2월 16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7일에 확인함. 
  61. Homan, Eric (2010년 10월 11일). “Rebecca Sugar’s First Board (Nightosphere)” (영어).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 2013년 1월 23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19일에 확인함. 
  62. Seibert, Fred (2010년 10월 12일). “The Original Nightosphere Song by Rebecca Sugar” (영어).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 2013년 2월 16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7일에 확인함. 
  63. Seibert, Fred (2010년 10월 13일). 'Fry Song' (영어).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 2013년 1월 23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7일에 확인함. 
  64. Seibert, Fred (2012년 2월 13일). 'Dads Dungeon' Storyboard” (영어). 스크리브드. 2014년 11월 12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26일에 확인함. 
  65. Adventure Time staff (2014년 3월 21일). “AT 160 Bad Timing - final storyboard” (영어). 스크리브드. 2014년 11월 13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5일에 확인함. 
  66. Zappa, Moon (2014년 3월 4일). “[문 자파(Moon Zappa)가 《어드벤처 타임》 제작진에게 감사를 표한 글]” (영어). 트위터. 2014년 3월 28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28일에 확인함. 
  67. Anders, Charlie (2014년 4월 4일). “This Adventure Time Promo Is The Perfect Surrealism/Folk Rock Blend”. 《io9》 (영어). 거커 미디어. 2014년 4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5일에 확인함. 
  68. Seibert, Fred (2010년 9월 28일). “Tells Us What You Think” (영어).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 2013년 1월 26일에 확인함. 
  69. “Cartoon Network Premieres Adventure Time with Finn & Jake”. 《Apnadesi.net》 (영어). 2010년 3월 1일. 2011년 4월 22일에 확인함. 
  70. Team, Deadline (2015년 2월 19일). "Cartoon Network Unveils Upfront Slate For 2015-2016" (영어). Deadline.com. 2015년 2월 20일에 확인함. 
  71. Muto, Adam (2015년 4월 3일). “[애덤 무토가 미니시리즈가 일곱 번째 시즌의 일부가 될 것이라고 밝힌 글]” (영어). 스프링닷미. 2015년 4월 3일에 확인함. 
  72. “Adventure Time DVD news: Press Release for Adventure Time – The Complete 1st Season” (영어). TVShowsOnDVD.com. 2012년 4월 11일에 확인함. 
  73. “Adventure Time – 'The Complete 2nd Season' on DVD and Blu-ray... Plus '1st Season' Blu!” (영어). TVShowsOnDVD.com. 2013년 2월 9일. 2013년 2월 10일에 확인함. 
  74. “Adventure Time: The Complete Third Season” (영어). 아마존닷컴. 2013년 11월 17일에 확인함. 
  75. “Adventure Time: The Complete Fourth Season [Blu-ray]” (영어). 아마존닷컴. 2014년 6월 27일. 2014년 8월 6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6일에 확인함. 
  76. Kurp, Josh (2013년 1월 14일). “A Bunch Of Great Animated And Adult Swim Shows (And ‘Dallas’!) Will Soon Be Added To Netflix” (영어). Uproxx. 2013년 3월 28일에 확인함. 
  77. Cruz, Gilbert (2014년 3월 4일). “What’s New on Netflix Streaming This Month: March 2014”. 《벌처》 (영어). New York Media, LLC. 2014년 3월 28일에 확인함. 
  78. Rackham, Casey (2015년 2월 24일). “Netflix's March 2015: 'Glee' Season 5 and 'Mad Men' Season 7 Coming, 'Adventure Time' Going”. 《잽투잇》 (영어). 트리뷴 미디어. 2015년 4월 1일에 확인함. 
  79. Seidman, Robert (2010년 4월 6일). “Monday Cable: Pawning & Picking Good for History; "Damages " & "Nurse Jackie" Damaged”. 《티브이 바이 더 넘버》 (영어). 잽투잇. 2013년 11월 4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24일에 확인함. 
  80. Seidman, Robert (2010년 4월 6일). “Cartoon Network's 'Adventure Time' Premieres Big; 13 Additional Episodes Ordered”. 《티브이 바이 더 넘버》 (영어). 잽투잇. 2013년 1월 14일에 확인함. 
  81. “Monday's Cable Ratings: 'MNF' a Ratings Juggernaut” (영어). The Futon Critic. 2010년 9월 28일. 2013년 2월 16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11일에 확인함. 
  82. Gorman, Bill (2010년 10월 12일). “Monday Cable Ratings: Monday Night Football Up; ‘Real Housewives of Atlanta,’ ‘American Pickers’ Slip, MLB Playoffs & More”. 《티브이 바이 더 넘버》 (영어). 잽투잇. 2012년 12월 9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10월 12일에 확인함. 
  83. “Cartoon Network's 'Adventure Time' Season 4 Premiere Tops Monday Ratings”. 《티브이 바이 더 넘버》 (영어). 잽투잇. 2012년 4월 4일. 2012년 4월 4일에 확인함. 
  84. Kondolojy, Amanda (2014년 4월 22일). “Monday Cable Ratings: NBA Playoffs Lead Night + WWE Raw, 'Basketball Wives', 'Blank Ink Crew' & More”. 《티브이 바이 더 넘버》 (영어). 잽투잇. 2014년 11월 22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22일에 확인함. 
  85. Feeney, Nolan (2013년 3월 29일). “The Weird World of Adventure Time Comes Full Circle”. 《타임》 (영어). 타임. 2013년 3월 29일에 확인함. 
  86. “The 25 Greatest Animated TV Series: You Ranked 'Em!”.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영어). 타임. 2011년 6월 15일. 2012년 6월 3일에 확인함. 
  87. LeChevallier, Mike (2011년 8월 3일). “Adventure Time: Season Three”. 《슬레이트》 (영어). Graham Holdings Company. 2013년 1월 26일에 확인함. 
  88. LeChevallier, Mike (2012년 5월 13일). “Adventure Time: Season Four”. 《슬레이트》 (영어). Graham Holdings Company. 2013년 1월 26일에 확인함. 
  89. Handlen, Zack (2012년 6월 4일). 'Goliad' | Adventure Time | TV Club | TV”. 《디 A.V. 클럽》 (영어). 디 어니언. 2012년 11월 7일에 확인함. 
  90. Mclaughlin, Robert (2011년 4월 13일). “The Geek Appeal of Pendleton Ward's Adventure Time”. 《Den of Geek》 (영어). Dennis Publishing. 2013년 1월 26일에 확인함. 
  91. Kohn, Eric (2012년 11월 13일). “Why 'Adventure Time,' Now In Its Fifth Season, Is More Groundbreaking Than You May Realize”. 《IndieWire》 (영어). Snagfilms. 2013년 1월 26일에 확인함. 
  92. Lambert, David. “Adventure Time with Finn and Jake – Press Release, Box for 'It Came From the Nightosphere'. 《TVShowsOnDVD.com》 (영어). 2011년 12월 4일에 확인함. 
  93. Franich, Darren (2013년 2월 21일). “Adventure Time Review”.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영어). 타임. 2013년 2월 22일에 확인함. 
  94. Sims, David (2014년 3월 18일). “MAR 18, 2014 11:30AM ET 'Adventure Time' Just Finished One of the Most Ambitious Seasons of Television Ever”. 《The Wire》 (영어). Atlantic Media. 2014년 10월 28일에 확인함. 
  95. Kohn, Eric (2013년 10월 17일). “Does the Obsessive 'Adventure Time' Fandom Overlook the Depths of Pendleton Ward's Cartoon Network Hit?”. 《Indiewire》 (영어). Snagfilms. 2014년 10월 7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28일에 확인함. 
  96. Moss, Emma-Lee (2014년 7월 27일). “Oh my Glob! Adventure Time's Upbeat Imagination Inspires Devotees”. 《가디언》 (영어). 가디언 미디어 그룹. 2014년 10월 28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28일에 확인함. 
  97. Chevat, Zoe (2013년 8월 2일). “The Mary Sue Interview: Olivia Olson, Voice of Marceline the Vampire Queen” (영어). The Mary Sue. 2014년 10월 28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17일에 확인함. 
  98. “34th Annie Awards”. 《AnnieAwards.org》 (영어). ASIFA-Hollywood. 2013년 2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4일에 확인함. 
  99. “Adventure Time”. 《Emmys.com》 (영어). Academy of Television Arts & Sciences. 2014년 10월 4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3일에 확인함. 
  100. Seibert, Fred (2010년 12월 6일). “Adventure Time Nominated for an Annie” (영어).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 2013년 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01. Beck, Jerry (2011년 12월 5일). “Annie Award Nominations 2011”. 《Cartoon Brew》 (영어). Cartoon Brew LLC. 2013년 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3일에 확인함. 
  102. Kate Goodacre (2012년 6월 19일). “Critics Choice Television Awards 2012: The Winners in Full”. 《디지털 스파이》 (영어). 허스트 코퍼레이션. 2013년 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15일에 확인함. 
  103. Busis, Hillary (2012년 12월 3일). “2012 Annie Award Nominees, Honoring the Best in Animation, Announced”.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영어). 타임. 2013년 1월 23일에 확인함. 
  104. “Annie Award Nominations Unveiled” (영어). Deadline.com. 2012년 12월 3일. 2014년 10월 4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3일에 확인함. 
  105. King, Susan (2012년 12월 3일). 'Brave,' 'Wreck-It Ralph' among nominees for the Annie Awards”.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영어). 트리뷴 퍼블리싱. 2013년 2월 16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3일에 확인함. 
  106. “Thank You”. 《Sundance.org》 (영어). Sundance Institute. 2013년 4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3일에 확인함. 
  107. “The 60th MPSE Golden Reel Awards Winners and Nominees” (영어). 트리뷴 퍼블리싱. 2013년 1월 17일. 2014년 10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24일에 확인함. 
  108. “Annecy 2013 > Festival > Official Selection” (영어).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2014년 4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26일에 확인함. 
  109. Nordyke, Kimberley; Wilson, Stacey (2013년 6월 10일). “Critics' Choice Television Awards: Complete Winners List”. 《더 할리우드 리포터》 (영어). 프로메테우스 글로벌 미디어. 2013년 6월 15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2일에 확인함. 
  110. “Teen Choice Awards Nominations Announced! Who Made The Cut This Year?” (영어). 2014년 6월 18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5일에 확인함. 
  111. Weisman, Jon (2013년 8월 14일). “Emmy Wins Come Early for ‘Adventure Time,’ ‘Portlandia,’ ‘Simpsons’”. 《버라이어티》 (영어). Penske Business Media. 2013년 8월 14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14일에 확인함. 
  112. “Emmys 2013: Complete List of Nominees”.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영어). 트리뷴 퍼블리싱. 2013년 7월 18일. 2014년 11월 13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19일에 확인함. 
  113. “Children's | International in 2013”. 《BAFTA.org》 (영어). 영국 영화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 2013년 11월 17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25일에 확인함. 
  114. Patton, Dominic (2014년 2월 1일). “Annie Awards: ‘Frozen’ Wins Big Including Best Feature; Miyazaki Gets Best Writing; Spielberg Honored; ‘Futurama’ & ‘Sofia’ Top TV; ‘Get A Horse!’ Best Short”. 《Deadline.com》 (영어). Penske Media Corporation. 2014년 10월 4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2일에 확인함. 
  115. “41st Annual Annie Awards Categories”. 《AnnieAwards.org》 (영어). 국제애니메이션영화협회. 2014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5일에 확인함. 
  116. “Cartoon Network Announces Winners of 2014 Hall of Game Awards” (영어). BroadwayWorld.com. 2014년 2월 16일. 2014년 10월 4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18일에 확인함. 
  117. “Kids Choice Awards 2014” (영어). Nick.com. 2014년 10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9일에 확인함. 
  118. “Critics’ Choice Television Awards Nomination Thanks to the advent” (영어).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 2014년 6월 17일. 2014년 6월 17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7일에 확인함. 
  119. Bolden, Juliana (2014년 7월 31일). “Governors Award to Casting Icon Marion Dougherty”. 《Emmys.com》 (영어). Academy of Television Arts & Sciences. 2014년 8월 4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1일에 확인함. 
  120. “66th Emmy Nomination List” (PDF). 《Emmys.com》 (영어). Academy of Television Arts & Sciences. 2014년 10월 4일에 확인함. 
  121. “First Wave of 'Teen Choice 2014' Nominees Announced” (영어). TeenChoiceAwards.com. 2014년 8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122. “Votacion – Kids Choice Awards Colombia” (스페인어).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123. “otacion – Kids Choice Awards Mexico” (스페인어).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124. “Children's in 2014”. 《BAFTA.org》 (영어). 영국 영화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 2014년 11월 15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3일에 확인함. 
  125. “41st Annual Annie Awards Categories”. 《AnnieAwards.org》 (영어). 국제애니메이션영화협회. 2015년 2월 7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12월 3일에 확인함. 
  126. “Television (Web)” (영어). PixelAwards.com. 2015년 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4일에 확인함. 
  127. Macatee, Rebecca (2015년 2월 20일). “2015 Nickelodeon's Kids' Choice Awards Honor Nick Jonas, Meryl Streep: See the Complete List of Nominees!” (영어). E!. 2015년 2월 20일에 확인함. 
  128. “Adventure Time 'Food Chain' (영어).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2015년 3월 31일에 확인함. 
  129. Cockrell, Garon (2013년 7월 29일). “BOOM! Studios wins Eisner Award for "Best Publication: "Adventure Time". 《The Pratt Tribune》 (영어). GateHouse Media. 2013년 8월 27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7일에 확인함. 
  130. Cavna, Michael (2013년 9월 9일). “COMICS OF THE YEAR: From Saga to Adventure Time, who pulled off the Eisner/Harvey award sweep?”. 《워싱턴 포스트》 (영어). Graham Holdings Company. 2013년 9월 14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14일에 확인함. 
  131. “2014 Eisner Awards Nominations” (영어). Comic-Con.org. 2014. 2014년 5월 4일에 확인함. 
  132. Burlingame, Russ (2011년 12월 27일). “It’s ADVENTURE TIME at Boom! in February”. 《Comicbook.com》 (영어). 2012년 6월 3일에 확인함. 
  133. Goellner, Caleb (2011년 11월 19일). 'Adventure Time' Comic Series Coming From Boom! in February”. 《Comics Alliance》 (영어). 2011년 11월 21일에 확인함. 
  134. Terror, Jude (2010년 12월 21일). “Adventure Time Goes KABOOM! This February!”. 《Theouthousers.com》 (영어). 2012년 6월 3일에 확인함. 
  135. Sims, Chris (2010년 12월 21일). “Ryan North Talks 'Adventure Time' Comic: "The Zombies Represent Friendship" [Interview]”. 《Theouthousers.com》 (영어). 2012년 6월 3일에 확인함. 
  136. Sims, Chris (2014년 10월 22일). “Ryan North Leaves ‘Adventure Time’ Comic After Three Years, Will Be Replaced By Christopher Hastings”. 《Comics Alliance》. Townsquare Media. 2014년 10월 24일에 확인함. 
  137. Polo, Susana (2012년 4월 17일). “Adventure Time Marceline spin-off comic announced”. 《TheMarySue.com》 (영어). The Mary Sue, LLC. 2012년 6월 3일에 확인함. 
  138. “Adventure Time: Fionna and Cake #01” (영어). KaBOOM! Studios. 2013년 1월 27일에 확인함. 
  139. “Series: Adventure Time: Candy Capers” (영어). KaBOOM! Studios. 2014년 1월 23일에 확인함. 
  140. Pitts, Lan (2014년 1월 2일). “Adventure Time Goes 'Freaky Friday' in Boom's Flip-Side Mini Series”. 《뉴사라마》 (영어). 펄츠. 2014년 1월 23일에 확인함. 
  141. Goellner, Caleb (2013년 1월 7일). 'Adventure Time' Vol. 1 OGN To Take Finn, Jake And Flame Princess Manga-Sized This April”. 《Comics Alliance》 (영어). AOL.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142. “Series: Adventure Time: Pixel Princesses” (영어). Boom! Studios. 2013년 9월 24일에 확인함. 
  143. Sims, Chris (2013년 12월 11일). “‘Adventure Time: Seeing Red’ Writer Kate Leth On Marceline And Jake’s Quest For The Axe”. 《ComicsAlliance》 (영어). Townsquare Media. 2014년 1월 23일에 확인함. 
  144. Ward, Pendleton. “[펜들턴 워드가 첫 번째 게임 출시를 예고한 글]”. 《Twitpic.com》 (영어). 2012년 6월 3일에 확인함. 
  145. “Adventure Time Heading to Nintendo DS Later This Year – News”. 《Nintendo World Report》 (영어). 2012년 3월 23일. 2012년 6월 3일에 확인함. 
  146. Seibert, Fred (2012년 5월 8일). “Adventure Time Art” (영어). 프레더레이터 스튜디오. 2012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47. Drake, Audrey (2013년 5월 14일). “New Adventure Time Game Announced”. 《IGN》 (영어). 뉴스 코퍼레이션. 2013년 6월 12일에 확인함. 
  148. Parrish, Peter (2014년 4월 11일). “Adventure Time game Finn and Jake’s Epic Quest appears on Steam” (영어). IncGamers.com. 2014년 5월 17일에 확인함. 
  149. “Play 'Adventure Time' Battle Party” (영어). 카툰 네트워크. 2014년 7월 24일에 확인함. 
  150. “Adventure Time: The Secret of the Nameless Kingdom”. 《IGN》 (영어). j2 Global. 2014년 7월 24일에 확인함. 
  151. “Mobile Games” (영어). 카툰 네트워크. 2013년 3월 31일에 확인함. 
  152. Busch, Anita (2015년 2월 27일). “Cartoon Network’s ‘Adventure Time’ Heads To Big Screen At Warner Bros.”. 《Deadline.com》 (영어). 2015년 2월 28일에 확인함. 
  153. “The Fun Will Never End, Adventure Time Film in Development!”. 《ComingSoon.net》 (영어). CraveOnline. 2015년 2월 27일. 2015년 2월 27일에 확인함. 
  154. Goellner, Caleb (2011년 8월 16일). “Jazwares Rolls Out 'Adventure Time' Toy Images” (영어). Comicsalliance.com. 2011년 9월 5일에 확인함. 
  155. “Adventure Time Shirts” (영어). Hot Topic. 2013년 1월 27일에 확인함. 
  156. “Adventure Time” (영어). We Love Fine. 2013년 1월 27일에 확인함. 
  157. “Adventure Time T-Shirt Design Challenge” (영어). Threadless. 2013년 1월 27일에 확인함. 
  158. “Adventure Time Design Contest” (영어). We Love Fine. 2013년 1월 27일에 확인함. 
  159. “Shirts – Adventure Time” (영어). CartoonNetworkShop.com. 2013년 1월 27일에 확인함. 
  160. “Adventure Time Card Wars Princess Bubblegum vs. Lumpy Space Princess” (영어). Cryptozoic Entertainment. 2014년 8월 4일에 확인함. 
  161. “Adventure Time: My Two Favorite People DVD on September 27th” (영어). Toon Barn. 2011년 6월 27일. 2011년 7월 5일에 확인함. 
  162. “Adventure Time: Jake Vs Me-Mow” (영어). 아마존닷컴. ASIN B008OTTU2S. 2013년 6월 27일에 확인함. 
  163. “Fionna and Cake 4” (영어). 아마존닷컴. ASIN B009Z5BPWS. 2013년 6월 27일에 확인함. 
  164. “Adventure Time: Jake the Dad (DVD + Jake Hat)” (영어). 월마트. 2013년 7월 9일에 확인함. 
  165. Lambert, David (2014년 2월 27일). “Adventure Time – DVD for 'Volume 6: The Suitor': Date, Cost, Box Art and More!” (영어). TVShowsOnDVD.com. 2014년 2월 27일에 확인함. 
  166. Lambert, David (2014년 4월 9일). “Adventure Time – Summertime Release for 'Volume 7: Princess Day' on DVD” (영어). TVShowsOnDVD.com. 2014년 4월 10일에 확인함. 
  167. “Cartoon Network: Adventure Time and Friends (DVD)” (영어). 아마존닷컴. 2015년 4월 1일에 확인함. 
  168. “Adventure Time: Finn the Human 8” (영어). 아마존닷컴. 2014년 11월 25일. 2014년 9월 22일에 확인함. 
  169. Lambert, David (2014년 12월 22일). “Adventure Time - Warner/CN Gets Hot and Cold with 'Volume 9: Frost and Fire' (영어). TVShowsOnDVD.com. 2014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70. “Adventure Time: Säsong 1 – Vol. 1 – DVD – Film” (영어). CDON.COM. 2011년 12월 19일에 확인함. 
  171. “Adventure Time: Säsong 1 – Vol. 2 – DVD – Film” (영어). CDON.COM. 2011년 12월 9일에 확인함. 
  172. “Adventure Time: Säsong 1 – Vol. 3 – DVD – Film” (영어). CDON.COM. 2011년 12월 9일에 확인함. 
  173. “Adventure Time – Season 1 [DVD]” (영어). Amazon.co.uk. 2013년 6월 27일에 확인함. 
  174. “Adventure Time – Season 2 [DVD] [2014]” (영어). Amazon.co.uk. 2014년 10월 2일에 확인함. 

인용 오류: <references> 안에 정의된 "finalegut"이라는 이름을 가진 <ref> 태그가 위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인용 오류: <references> 안에 정의된 "finalemortal"이라는 이름을 가진 <ref> 태그가 위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인용 오류: <references> 안에 정의된 "conquestofcuteratings"이라는 이름을 가진 <ref> 태그가 위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인용 오류: <references> 안에 정의된 "hottothetouchratings"이라는 이름을 가진 <ref> 태그가 위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인용 오류: <references> 안에 정의된 "lichratings"이라는 이름을 가진 <ref> 태그가 위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바깥 고리

틀:카툰 네트워크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