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이나이트로톨루엔
보이기
| |||
이름 | |||
---|---|---|---|
우선명 (PIN)
2,4,6-Trinitrotoluene | |||
별칭
2,4,6-Trinitromethylbenzene
2,4,6-Trinitrotoluol 2-Methyl-1,3,5-trinitrobenzene TNT, Tolite, Trilite, Trinitrotoluol, Trinol, Tritolo, Tritolol, Triton, Tritone, Trotol, Trotyl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약어 | TNT | ||
ChEMBL | |||
ChemSpider | |||
DrugBank | |||
ECHA InfoCard | 100.003.900 | ||
EC 번호 |
| ||
KEGG | |||
PubChem CID
|
|||
RTECS 번호 |
| ||
UNII | |||
UN 번호 | 0209 – Dry or wetted with < 30% water 0388, 0389 – Mixtures with trinitrobenzene, hexanitrostilbene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7H5N3O6 | |||
몰 질량 | 227.132 g·mol−1 | ||
겉보기 | Pale yellow solid. Loose "needles", flakes or prills before melt-casting. A solid block after being poured into a casing. | ||
밀도 | 1.654 g/cm3 | ||
녹는점 | 80.35 °C (176.63 °F; 353.50 K) | ||
끓는점 | 240.0 °C (464.0 °F; 513.1 K) (decomposes)[1] | ||
0.13 g/L (20 °C) | |||
ether, 아세톤, 벤젠, 피리딘에서의 용해도 | soluble | ||
증기 압력 | 0.0002 mmHg (20°C)[2] | ||
폭발물 자료 | |||
충격감도 | Insensitive | ||
마찰감도 | Insensitive to 353 N | ||
폭발속도 | 6900 m/s | ||
RE 계수 | 1.00 | ||
위험 | |||
물질 안전 보건 자료 | ICSC 0967 | ||
GHS 그림문자 | |||
신호어 | 위험 | ||
H201, H301, H311, H331, H373, H411 | |||
P210, P273, P309+311, P370+380, P373, P501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LD50 (median dose)
|
795 mg/kg (rat, oral) 660 (mouse, oral)[3] | ||
LDLo (lowest published)
|
500 mg/kg (rabbit, oral) 1850 mg/kg (cat, oral)[3] | ||
NIOSH (미국 건강 노출 한계): | |||
PEL (허용)
|
TWA 1.5 mg/m3 [skin][2] | ||
REL (권장)
|
TWA 0.5 mg/m3 [skin][2] | ||
IDLH (직접적 위험)
|
500 mg/m3[2] | ||
관련 화합물 | |||
관련 화합물
|
picric acid hexanitrobenzene 2,4-Dinitrotoluene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트라이나이트로톨루엔(영어: trinitrotoluene 트라이나이트로우탈류인[*], IPA: [trainàitroutɑ́ljuìːn], TNT) 또는 문화어: 뜨로찔[5](러시아어: троти́л)은 폭발성의 화학 물질로 화학식은 C7H5N3O6이다. TNT는 1863년 독일 화학자 요제프 빌브란트(Joseph Wilbrand)가 최초로 제조하였으며, 1891년 독일에서 최초로 대량 생산을 시작하였다. TNT의 폭발력은 폭탄이나 기타 폭발물의 폭발력에 대한 기준으로 사용된다.[6] RE 계수는 1.00이다.
연소의 화학식
[편집]- 2 C7H5N3O6 → 3 N2 + 5 H2O + 7 CO + 7 C
제조법
[편집]제조법은 1, 2, 3 단계와 연속법이 있다.
- 1단계는 반응이 격렬하고 위험하기 때문에 많이 쓰이지 않는다.
- 2단계는 작은 규모의 설비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실험 등에서 적은 양을 제조하는 데 이용한다. 황산과 질산, 혼합산을 사용하여 톨루엔을 2단계로 니트로화(nitro化)한다.
- 3단계, 연속법은 제품 순도를 높일 수 있어 취급이 쉬워지므로 공업에서 대량 생산에 쓰인다.
역사
[편집]- 1863년: 요제프 빌브란트(Joseph Wilbrand)가 톨루엔을 높은 온도에서 니트로화함으로써 처음으로 합성에 성공하였다.
- 1891년: 독일에서 공업적인 규모로 대량 생산을 시작하였다.
- 1901년: 피크르산(picric acid)을 대신하여 주요한 폭약이 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2,4,6-Trinitrotoluene. inchem.org
- ↑ 가 나 다 라 NIOSH Pocket Guide to Chemical Hazards. “#0641”. 미국 국립 직업안전위생연구소 (NIOSH).
- ↑ 가 나 “2,4,6-Trinitrotoluene”. 《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and Health Concentrations (IDL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 ↑ “연천에서 첫 사상자 낸 목함지뢰는 어떤 지뢰?”. 조선일보. 2010년 8월 1일. 2010년 8월 1일에 확인함.
- ↑ 조선인민군에서는 러시아제 PMD-57 목함지뢰를 일컫는 용어로 사용하기도 한다.[4]
- ↑ TNT 당량 참조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트라이나이트로톨루엔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이 글은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화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