퉁화시

약자: 吉E | |
![]() | |
행정 단위 | 지급시 |
---|---|
청사소재지 | 둥창구 |
면적 | 15,698km2 |
인구 (2020년) 인구밀도 |
1,302,778명 /km2 |
지역전화 | 0435 |
우편번호 | 134001 |
시차 | UTC+8 |
웹사이트: th.jl.gov.cn |
퉁화시(중국어 간체자: 通化, 병음: Tōnghuà)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지급시(市)이다. 면적은 약 15,600,km2, 인구는 2020년 기준 약 130만 명이다.
지리[편집]
동남부는 압록강을 경계로 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자강도, 서남부는 요녕성 북부는 지린성 랴오위안 시, 지린 시, 바이산 시와 접한다. 시역은 주로 산악과 구릉지로 이루어져 있고 남쪽으로는 압록강, 북쪽으로 혼강이 흐른다.
기후[편집]
Tonghua (1971−2000)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최고 기온 기록 °C (°F) | 3.4 (38.1) |
12.6 (54.7) |
18.2 (64.8) |
28.7 (83.7) |
32.3 (90.1) |
34.3 (93.7) |
35.6 (96.1) |
35.3 (95.5) |
30.6 (87.1) |
26.4 (79.5) |
17.7 (63.9) |
8.9 (48.0) |
35.6 (96.1) |
평균 최고 기온 °C (°F) | −7.1 (19.2) |
−3.0 (26.6) |
4.4 (39.9) |
14.3 (57.7) |
20.7 (69.3) |
24.8 (76.6) |
27.1 (80.8) |
26.6 (79.9) |
21.2 (70.2) |
14.0 (57.2) |
3.8 (38.8) |
−4.3 (24.3) |
11.9 (53.4) |
일 평균 기온 °C (°F) | −14.2 (6.4) |
−10.0 (14.0) |
−1.3 (29.7) |
7.8 (46.0) |
14.2 (57.6) |
19.0 (66.2) |
22.3 (72.1) |
21.1 (70.0) |
14.3 (57.7) |
6.9 (44.4) |
−2.2 (28.0) |
−10.7 (12.7) |
5.6 (42.1) |
평균 최저 기온 °C (°F) | −20.1 (−4.2) |
−15.9 (3.4) |
−6.7 (19.9) |
1.8 (35.2) |
8.1 (46.6) |
14.0 (57.2) |
18.4 (65.1) |
17.2 (63.0) |
9.5 (49.1) |
1.3 (34.3) |
−7.0 (19.4) |
−15.9 (3.4) |
0.4 (32.7) |
최저 기온 기록 °C (°F) | −33.1 (−27.6) |
−31.8 (−25.2) |
−27.6 (−17.7) |
−12.8 (9.0) |
−3.8 (25.2) |
5.2 (41.4) |
10.3 (50.5) |
5.0 (41.0) |
−2.8 (27.0) |
−11.5 (11.3) |
−25.3 (−13.5) |
−32.1 (−25.8) |
−33.1 (−27.6)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9.7 (0.38) |
9.5 (0.37) |
18.9 (0.74) |
50.3 (1.98) |
78.4 (3.09) |
116.4 (4.58) |
218.0 (8.58) |
203.8 (8.02) |
75.2 (2.96) |
46.9 (1.85) |
30.6 (1.20) |
14.0 (0.55) |
871.7 (34.3)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7.8 | 6.7 | 8.2 | 9.7 | 13.1 | 14.6 | 16.9 | 14.4 | 11.5 | 9.4 | 9.6 | 8.3 | 130.2 |
출처: Weather China[1] |
역사[편집]
고구려의 수도가 있었다. 구한말 신흥무관학교가 류허현에 세워졌다.
1954년, 통화 전구(通化專區)가 설치되어 옛 랴오닝성 관할의 퉁화(通化), 류허(柳河), 하이룽(海龙), 휘난(辉南), 징우(靖宇), 우쑹(抚松), 창바이(长白), 린장(临江), 지안(集安)의 9현을 관할했다. 1970년에 통화 지구(通化地区)로 개칭했다.
1985년 행정 개혁으로 통화 지구를 폐지하고, 현급시인 통화 시 (1958년 성 직할로 이관)를 지급시로 승격해 통화 현, 집안 현을 관할했고, 혼강(백산) 시도 지급시로 승격해 무송, 정우 두 현과 장백 조선족 자치현을 관할, 해룡 현도 지급시인 매하구 시로 개편되어 휘남 과 류하 두 현을 관할했다. 그러나 같은 해 말에 매하구 현급시로 강등되어 통화 시로 편입되었다.
경제[편집]
풍부한 삼림자원 외에도, 조선 인삼 등의 한방재가 특산품으로 생산되며, 한약재의 거래를 하는 제약 관련 기업이 다수 활동하고 있다. 또 퉁화산 와인은 중국 최고급으로 여겨진다.
행정 구역[편집]
2개의 시할구, 2개의 현급시, 3개의 현이 있다.
교육[편집]
대학: 통화사법학원 중학교: 통화시 제일 중학교, 통화시 정우 중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