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경현
![]() 卓庚鉉 | |
![]() | |
출생일 | 1920년 6월 5일 |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경상남도 사천군 서포면 외구리 (現 대한민국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외구리) |
사망일 | 1945년 5월 11일 | (24세)
사망지 | 일본 오키나와 주변 해상 |
학력 | 리쓰메이칸중학교 교토약학전문학교 |
복무 | ![]() |
근무기간 | 1943년 - 1945년 |
최종계급 | ![]() |
주요 참전 | 태평양 전쟁 |
탁경현(卓庚鉉, 1920년 6월 5일 ~ 1945년 5월 11일)은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인이며, 조선인 출신 가미카제 특공대원이다. 일본식 이름은 미쓰야마 후미히로(
생애[편집]
생애 초반[편집]
1920년, 경상남도 사천군 서포면 외구리에서 태어났다[2].
1926년 부모님을 따라 일본으로 이주했으며, 도쿄부의 리쓰메이칸중학교와 교토약학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잠시 취직했으나 일본의 병역법 개정으로 인해 1943년 일본 제국 육군 특별조종견습사관 1기생으로 입대한다.
이후, 만주 등에서 1식 전투기 연승 훈련 후 가미카제 특공대원으로 차출되어 가고시마현의 지란정에 있는 다치아라이 육군비행학교 지란분교소에 부임한다.
가미카제 출격 전날 밤에는 교육대 인근의 도미야 식당에서 도미야 도메에게 자신이 조선인임을 알리고, 고향의 땅 조선의 가요 아리랑을 불렀다.
생애 후반[편집]
1945년 5월 11일, 탁경현은 예정대로 250kg의 폭탄을 싣은 1식 전투기에 탑승하여 오키나와의 미군 주둔지를 향하여 출격하였고, 560km를 비행해 오키나와 해상에서 24살의 생을 마감했다.
사후[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일본 제국 육군 소위였으나, 사망 후 2계급 특진으로 대위가 되었다.
- ↑ 이광표 (2007년 9월 27일). “꿈에 본 가미카제 조선 청년 16년간 눈에 밟혔어요”. 《사람속으로》 (동아일보). 2009년 9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