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경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탁경현
卓庚鉉
출생일 1920년 6월 5일(1920-06-05)
출생지 일제강점기 조선 경상남도 사천군 서포면 외구리 (現 대한민국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외구리)
사망일 1945년 5월 11일(1945-05-11)(24세)
사망지 일본 오키나와 주변 해상
학력 리쓰메이칸중학교
교토약학전문학교
복무 일본 제국 일본 제국 육군 제6항공군 제51진무대
최종계급 대위 대위(大尉)[1]

탁경현(卓庚鉉, 1920년 6월 5일 ~ 1945년 5월 11일)은 일본 제국 육군군인이며, 조선인 출신 가미카제 특공대원이다. 일본식 이름은 미쓰야마 후미히로(光山 文博(みつやま ふみひろ))이다.

생애[편집]

생애 초반[편집]

1920년, 경상남도 사천군 서포면 외구리에서 태어났다.[2] 1929년 부모님을 따라 일본으로 이주했으며, 도쿄부의 리쓰메이칸중학교와 교토약학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잠시 취직했으나 일본의 병역법 개정으로 인해 1943년 일본 제국 육군 특별조종견습사관 1기생으로 입대한다.

이후, 만주 등에서 1식 전투기 연승 훈련 후 가미카제 특공대원으로 차출되어 가고시마현지란정에 있는 다치아라이 육군비행학교 지란분교소에 부임한다.

가미카제 출격 전날 밤에는 교육대 인근의 도미야 식당에서 도미야 도메에게 자신이 조선인임을 알리고, 고향의 땅 조선의 가요 아리랑을 불렀다.

생애 후반[편집]

1945년 5월 11일, 탁경현은 예정대로 250kg의 폭탄을 싣은 1식 전투기에 탑승하여 오키나와의 미군 주둔지를 향하여 출격하였고, 560km를 비행해 오키나와 해상에서 24살의 생을 마감했다.

사후[편집]

탁경현의 사진은 야스쿠니 신사 유취관에 걸려 있다.

탁경현 귀향기원비[편집]

일본 배우 구로다 후쿠미의 주도로 2008년 탁경현의 위령비(귀향기원비)를 그의 고향인 경상남도 사천에 건립하려는 사업이 사천시에 의해 추진되었다. 그러나 사천시의회를 비롯하여 광복회 경남지부, 사천진보연합 등 시민단체와 여론의 반발로 제막식이 무산되었다.[3][4] 사천에 세워지지 못한 탁경현 귀향기원비는 이듬해인 2009년 10월 26일 경기도 용인시 법륜사에 세워졌다.[5]

탁경현 귀향기원비 건립 문제에 대해 민족문제연구소는 2008년 5월 7일 "탁경현은 황민화교육과 침략전쟁의 희생자인 한편, 무고한 오키나와현민이나 연합군의 관점에서는 가해자인 측면도 부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6]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일본 제국 육군 소위였으나, 사망 후 2계급 특진으로 대위가 되었다.
  2. 이광표 (2007년 9월 27일). “꿈에 본 가미카제 조선 청년 16년간 눈에 밟혔어요”. 《사람속으로》 (동아일보). 2009년 9월 26일에 확인함. 
  3. 김영신 (2008년 5월 7일). “강제징용된 조선 청년 탁경현 위령비 논란”. 《경남도민일보》. 2023년 2월 8일에 확인함. 
  4. 지성호 (2008년 5월 10일). “경남 사천 시민단체 “가미카제 위령비 절대 안돼!””. 《한겨레》. 2023년 2월 8일에 확인함. 
  5. 김종경 (2021년 8월 9일). “‘자살출격’ 탁경현, 아직도 착륙을 못하다”. 《용인신문》. 2023년 2월 8일에 확인함. 
  6. “탁경현 위령비 건립에 대한 우리의 입장”. 《민족문제연구소》. 2008년 5월 8일. 2023년 2월 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