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운센드밭쥐
타운센드밭쥐 | |
---|---|
타운센드밭쥐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아목: | 쥐아목 |
상과: | 쥐상과 |
과: | 비단털쥐과 |
아과: | 물밭쥐아과 |
족: | 물밭쥐족 |
속: | 밭쥐속 |
종: | 타운센드밭쥐 (M. townsendii) |
학명 | |
Microtus townsendii | |
(Bachman, 1839)[1] | |
학명이명 | |
M. cowani Guiguet, 1955 | |
타운센드밭쥐의 분포 | |
타운센드밭쥐의 분포 지역 | |
보전상태 | |
|
타운센드밭쥐(Microtus townsendii)는 비단털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3] 회색꼬리밭쥐(M. canicaudus)의 자매종이다.[4]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온대 초원과 미국 워싱턴주와 오리건주에서 발견된다.[5] 속명 "미크로투스(Microtus)"는 "작은 귀"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에서 유래했다.[5] 종소명과 일반명은 1835년 모식 표본을 수집한 미국 박물학자 겸 작가인 타운센드(John Kirk Townsend)의 이름에서 유래했다.[6][7]
특징
[편집]타운센드밭쥐는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밭쥐의 하나로[8] 꼬리 길이 48~70mm를 포함하여 전체 몸길이가 169~225mm까지 자라며, 몸무게 범위는 48~73g이다.[1][4][9] 가늘고 거친 털 밖으로 귀가 완전히 드러나 보일 정도로 귀가 넓고 두드러진다. 등 쪽 털은 짙은 갈색을 띠며 조모가 많고 털 끝이 검으며, 배 쪽 털은 연한 색을 띤다. 발은 청회색-회색이고, 꼬리는 윗면이 거무스레하고 아랫면은 짙은 갈색이다. 보통 새끼가 어른보다 털 색이 진하고, 배 쪽은 짙은 회색을 띠며 꼬리와 발은 검다.[6]
분포 및 서식지
[편집]타운센드밭쥐는 북아메리카 극서부 지역에서 발견된다. 분포 지역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섬부터 남쪽으로 미국 워싱턴주와 오리건주를 거쳐 캘리포니아주 훔볼트 만까지이다. 해수면부터 올림픽산맥의 해발 1,830m와 캐스케이드산맥의 915m 고도까지 발견된다.[2] 일반적으로 습초지와 습지, 범람원, 울창한 초목이 자라는 습지대, 염습지 등에서 서식한다.[6] 개체수가 극도로 많아질 수 있어서 다른 종에게 영향을 미치거나 배제시킨다. 타운센드밭쥐의 번식률은 많은 종의 좋은 식량 공급원이 된다.[5]
생태
[편집]타운센드밭쥐는 굴을 파서 생활하며, 서식지 식물 사이에 통로를 만든다. 통로는 여러 세대의 밭쥐가 이어서 연중 사용되고 약 2.5~5cm 깊이로 만들어진다. 여름에 밭쥐는 식물이 만들어내는 더 울창한 차폐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통로에 배설물을 쌓여 있고, 종종 교차로에 대소변이 크게 쌓이는 장소가 형성되기도 한다.[6] 가로와 세로 18cm x 8cm와 높이 최대 13cm까지 쌓여 있는 대소변이 보고되기도 한다. 땅 표면이나 작은 언덕 위에 둥지를 만들기 때문에 굴이 때로는 물 속에 있게 되는 계절성 범람 지역에서 생활하게 된다. 땅 아래와 표면의 둥지 모두 풀 속에 만든다.[6]
타운센드밭쥐는 골풀과 사초, 풀, 툴레 나무, 속새류, 토끼풀, 자주개자리, 자주등심붓꽃 등과 같은 부드러운 식물을 먹는다. 박하의 땅속줄기를 저장하기도 하며, 즙이 풍부한 녹색 식물을 이용할 수 있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겨울에 박하를 소비한다.[6]
2월과 10월 사이에 번식을 한다. 임신 기간은 약 23일이고, 한마리부터 9마리까지 평균 4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대개 큰 암컷이 많은 새끼를 낳는다. 새끼들은 태어난 지 약 16일이 지나면 젖을 뗀다.[6]
보전 상태
[편집]타운센드밭쥐는 분포 지역이 넓고, 개체수 변동이 크다. 장기적으로 개체수가 안정적인 것으로 보이며, 일부 지역에서 아주 풍부하여 헥타르 당 800마리까지 최고 밀도를 기록하기도 한다.[5] 알려진 특별한 멸종 위협 요인이 없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이 보전 등급을 "관심대상종"으로 분류하고 있다.[2]
참고 자료
[편집]- Bachman, J (1839). “Description of several new species of American quadrupeds”. 《Journal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 8, part 1: 57–60. 2014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Cornely, John E.; Verts, B. J. (1988). “Microtus townsendii” (PDF). 《Mammalian Species》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325: 1–9. doi:10.2307/3504129. JSTOR 3504129.
- Kays, Roland W.; Wilson, Don E. (2010). 《Mammals of North America》 (Print) Seco판.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4쪽. ISBN 1-4008-3350-7.
- Wilson, Don E.; Reeder, DeeAnn M. (editors) (2005). 《Microtus (Mynomes) townsendii》. 《Wilson and Reeder’s Mammal Species of the World —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Print) Thi판 (Baltimore, Marylan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Bucknell University). 1018–1019쪽. ISBN 978-0-8018-8221-0. 2014년 10월 21일에 확인함.
각주
[편집]- ↑ 가 나 Bachman 1839.
- ↑ 가 나 다 “Microtus townsendi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4.2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14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가 나 Wilson & Reeder 2005.
- ↑ 가 나 다 라 《Microtus townsendii Townsend's Vole》. 국립 자연사 박물관. 2014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Cornely & Verts 1988, 1–9쪽.
- ↑ Beolens, B.; Watkins, M.; Grayson, M. (2009년 9월 28일). 《The Eponym Dictionary of Mammal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16쪽. ISBN 978-0801893049. OCLC 270129903.
- ↑ “Townsend's Vole Microtus townsendii”. enature.com. 2016년 9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 Kays & Wilson 2010, 134쪽.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타운센드밭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위키생물종에 Microtus townsendii 관련 자료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