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물밭쥐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Arvicola scherman Shaw, 1801 | ||||||||||||||||||||||
![]() 고산물밭쥐의 분포 지역 |
고산물밭쥐(Arvicola scherman)는 스페인 북부의 산악 지대부터 중부 유럽을 거쳐 동쪽으로 루마니아 중부 지역까지 유럽 전역에서 발견되는 들쥐의 일종이다.[2] 초기에 독립된 종으로 기대되었지만, 2000년 판텔르예프(Panteleyev)가 다시 별도의 종으로 재지정하기 전까지는 유럽물밭쥐(Arvicola amphibius)의 아종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각주[편집]
- ↑ “Arvicola scherman”.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3월 25일에 확인함. Database entry includes a brief justification of why this species is of least concern.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94–153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