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아메리카물밭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북아메리카물밭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쥐목
아목: 쥐아목
상과: 쥐상과
과: 비단털쥐과
아과: 물밭쥐아과
족: 물밭쥐족
속: 밭쥐속
종: 북아메리카물밭쥐
(M. richardsoni)
학명
Microtus richardsoni
(De Kay, 1842)[1]
북아메리카물밭쥐의 분포

북아메리카물밭쥐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2]

북아메리카물밭쥐 또는 물밭쥐(Microtus richardsoni)는 비단털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1]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되는 가장 큰 밭쥐이다. 미국 북서부와 캐나다 서부의 남쪽 일부에서 발견된다. 역사적으로 물밭쥐속(Arvicola)에 속하는 종으로 간주되었지만 분자생물학 연구를 통해 북아메리카 밭쥐류의 근연종으로 밝혀졌다.[3] 아주 작은 개체수가 유지되고 있고 필요한 서식지가 감소 추세를 보여서 우려가 높기 때문에 아메리카물밭쥐는 미국 농무부 산림 서비스 지역 2 민감 종 목록에 올라 있다.[4]

회색-갈색 또는 적색-갈색 털을 갖고 있으며, 배 쪽은 회색이다. 뒷발이 커서 헤엄을 잘 칠 수 있으며, 물 근처 고산지대 또는 준고산지대 목초지에서 발견된다. 먹이는 풀과 잎, 뿌리, 씨앗이고, 작은 무척추동물을 먹기도 한다. 물길이 연결되는 땅 아래에 굴을 파며, 준수생 동물로 간주된다.[5]

연중 활동적이며, 겨울 동안 눈 속에 터널을 만든다. 물 가장자리 또는 물 아래에 굴 입구를 만들기도 하며,[5] 보통 물길을 따라 8~40마리의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6]

각주[편집]

  1.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94–153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2. Microtus richardson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9.2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10년 2월 4일에 확인함. 
  3. Conroy, C. J. & Cook, J. A. (2000). “Molecular systematics of a Holarctic rodent (Microtus: Muridae)” (PDF). 《Journal of Mammalogy》 81 (2): 344–359. doi:10.1644/1545-1542(2000)081<0344:MSOAHR>2.0.CO;2. 
  4. Klaus, M., Moore, R., & Vyse, E. (2001, July). Microgeographic variation in allozymes and mitochondrial DNA of Microtus richardsoni, the water vole, in the Beartooth Mountains of Montana and Wyoming, U.S.A. Canadian Journal of Zoology, 79(7), 1286-1295. doi 10.1139/z01-082
  5. Ludwig, D. (1984, November 14). Microtus richardsoni. Mammalian Species, 223, 1-6. Retrieved March 20, 2015, from http://www.science.smith.edu/msi/ Archived 2012년 11월 24일 - 웨이백 머신
  6. Ludwig, D. (1988). Reproduction and population dynamics of the water vole, Microtus richardsoni. Journal of Mammalogy, 69(3), 532-541. Retrieved March 20, 2015, from https://www.jstor.org/stable/1381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