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물밭쥐
![]() | ||||||||||||||||||||||
![]() 유럽물밭쥐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Arvicola amphibius (Linnaeus, 1758) | ||||||||||||||||||||||
이명 | ||||||||||||||||||||||
Arvicola terrestris |
유럽물밭쥐(Arvicola amphibius)는 반수생 설치류이다. 비공식적으로 물쥐로도 불리지만, 겉모습만 실제 들쥐를 닮았다.[3] 물밭쥐는 털로 덮인 꼬리와 발 그리고 귀를 가진 들쥐와 달리, 들쥐보다 더 둥근 귀와 진한 갈색 털, 통통한 얼굴, 짧은 보풀이 덮인 귀를 갖고 있다. 야생에서 평균적으로 물밭쥐는 겨우 약 5개월 정도 산다. 포획 상태에서 최대 수명은 2.5년이다.[4]
각주[편집]
- ↑ “Arvicola terrestri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1996. 2006년 5월 12일에 확인함.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94–153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Freeston, Helen (1997). “Tales of the Riverbank—How to spot 'Ratty' (previously "Water Volewatch 97")”. Lincolnshire Wildlife Trust. September 25, 200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8월 23일에 확인함.
- ↑ “The Mammal Society”. Mammal.org.uk. 2013년 2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