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호중 (외교관)
보이기
최호중
| |
---|---|
제30대 대한민국 상공부 차관 | |
임기 | 1984년 4월 25일~1985년 10월 18일 |
대통령 | 전두환 |
총리 | 진의종 국무총리 신병현 국무총리 권한대행 진의종 국무총리 노신영 국무총리 서리 노신영 국무총리 |
장관 | 금진호 상공부 장관 |
신상정보 | |
출생일 | 1930년 9월 22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경성부 |
사망일 | 2015년 2월 19일 | (84세)
사망지 | 대한민국 인천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학사 |
경력 | 외무부 장관 |
정당 | 무소속 |
배우자 | 김우명 |
최호중(崔浩中[1][2], 1930년 9월 22일~2015년 2월 19일)은 대한민국 전직 외무공무원이다. 노태우 정부 당시 북방외교의 한 주역이자 남북 기본합의서 채택 시에도 역할을 했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 학위 취득하여 고등고시 행정과에 합격한 뒤 1956년 외무부에 들어갔다. 국제경제국장, 통상국장, 주유엔 유럽사무소 및 제네바대표부 공사, 말레이시아·벨기에 대사 등을 역임했다. 1984년 상공부 차관을 지낸 뒤 사우디아라비아 대사 등을 거쳐 1988년 12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외무부 장관으로 재직했다. 1989년 2월 헝가리와의 수교 합의 의정서에 서명, 북방외교의 첫 성과를 대외에 알렸다. 1990년 9월 30일 유엔에서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당시 소련 외무부 장관과 '한·소 수교 공동성명서'에 서명했다. 재임 중 동구권 국가를 비롯해 18개국과 수교했다.[3] 1990년 12월부터 1992년 6월까지 부총리 겸 통일원 장관을 지냈다. 당시 남북은 1991년 9월에 유엔에 동시 가입했고, 잇단 고위급 회담을 통해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남북기본합의서)’에 합의했다. 이후 통일원 통일고문, 한국자유총연맹 총재, 한국외교협회 회장 등을 지냈다.
기타
[편집]- 노태우 정권 당시 북방외교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북방(北方) 장관’이라고 불리기도 했다.[4]
- 1992년 6월 부총리에서 물러나면서 기자들과 만나 “한소 수교의 발판 마련과 역사적인 남북합의서 채택이 공직 생활 중 가장 보람있는 일이었던 것으로 기억된다”고 말했다.
학력
[편집]각주
[편집]- ↑ 經濟에 밝은 직업外交官 崔浩中 - 매일경제, 1984년 4월 25일
- ↑ 崔浩中 외무장관 外務部서 잔뼈굵은 正統派 - 경향신문, 1988년 12월 5일
- ↑ [1], 한국일보 2015년 2월 20일, [부고]‘북방 장관’ 최호중 전 부총리 별세
- ↑ [2], 한국일보 2015년 2월 20일, [부고]‘북방 장관’ 최호중 전 부총리 별세
전임 최광수 |
제22대 외무부 장관 1988년 12월 5일~1990년 12월 27일 |
후임 이상옥 |
제16대 통일부총리 1990년 12월 27일~1992년 6월 25일 |
후임 최영철 |
전임 (국토통일원장관) 홍성철 |
제16대 부총리 겸 통일원장관 1990년 3월 19일~1990년 12월 26일 |
후임 최영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