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초제
오염 |
대기 오염 |
산성비 • 대기질 지수 • 대기분산모델 • 할로알케인 • 글로벌 디밍 • 지구 온난화 • 안개 • 실내공기환경 • 오존층 감소 • 미세먼지 • 스모그 |
수질 오염 |
부영양화 • 산소결핍 • 해양 오염 • 해양 산성화 • 기름 유출 • 선박 오염 • 표면유수 • 열 오염 • 생활하수 • 수인성 전염 • 수질 • 물 정체 |
토양 오염 |
생물학적교정 • 제초제 • 농약 • 살충제 • 토양지침값 (SGVs) • 사막화 |
방사능 오염 |
악티늄족과 환경 • 환경방사능 • 핵분열생성물 • 낙진 • 플루토늄과 환경 • 방사능 중독 • 라듐과 환경 • 우라늄과 환경 |
기타 오염 |
침입종 • 광공해 • 소음 공해 • 전자파 스펙트럼 오염 • 시각 공해 • 멸종 |
국제 협약 |
몬트리올 의정서 • 교토 의정서 •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에 관한 협약 |
환경단체 목록 |
지구대기감시 • 그린피스 • 녹색연합 • 환경운동연합 |
관련 항목 |
환경 과학 • 자연 환경 |
제초제(除草劑, 문화어: 풀약)는 원하지 않는 식물을 죽이는 데 쓰이는 물질이다. 제초제는 일반적으로 수확 예정인 농산물에 상대적으로 해를 입히지 않으면서 대상이 되는 식물(잡초)만을 죽이는 선택성 제초제와 모든 식물(작물과 잡초 포함)을 죽이는 비선택성 제초제가 있다
제초제는 농업과 잔디 관리에 널리 이용된다. 미국에서는 약 70%가 농약으로 이용하고 있다.[1]
오늘날 쓰이는 제초제[편집]
오늘날 쓰이는 제초제는 이를테면 다음과 같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제초제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