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양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임양군
臨陽君
군(君)
가덕대부(嘉德大夫)
현록대부(顯祿大夫)
이름
이환
李桓
별호 자(字)는 무숙(武叔)
신상정보
출생일 1656년 3월 3일
출생지 조선 경기도 가평 청평군 사저
사망일 1715년 4월 5일(60세)
사망지 조선 한성부 낙선군 가통 사저
국적 조선 조선
왕조 조선 왕조
가문 조선 왕조 전주 이씨
배우자 군부인 해주 정씨
자녀 슬하 2남 3녀
종교 유교(성리학)

임양군 이환(臨陽君 李桓, 1656년 3월 3일 ~ 1715년 4월 5일)은 조선왕족 종실이다. 본래는 선조의 서9남 경평군 주의 증손자였으나, 인조의 서차남 낙선군 숙의 양자가 되었다.

생애[편집]

선조의 서9남 경평군 주의 손자 청평군 이전(淸平君 李洤)의 슬하 3남 1녀 중 차남(次男)으로 출생한 그는 7세 때였던 1662년 인조의 서자(庶子)인 낙선군 이숙(樂善君 李潚)에게 양자(養子)로 출계되었다.

그는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워낙 성리학 학구를 좋아하여 유교 성리학자로서의 그릇이 매우 넓었으며 1666년 서원수(西原守)에 봉해지고 후에 서원군(西原君)으로 진봉되었다가 낙천군의 양자가 되면서 임양군(臨陽君)에 개봉되었다. 흥록대부에 이르렀다.

특히 그는 숙종 때 도총관, 사옹원, 종부시 제조 등을 역임하였다. 묘는 경기도 양주군 청송면(현, 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유좌(酉坐)에 매장되었다. 이후 인근지역인 양주 청송 건좌에는 아들 해풍군, 손자 여천군의 묘가 조성되었다.

사후 영조 때 손자 여선군 이학(驪善君 李壆)의 일에 연좌되어 파양, 본종인 경평군파로 보내졌다가 고종 때 신원되어 다시 낙선군의 양자로 복적되었다. 또한 고종의 명으로 인흥군의 후손 정언 증 영의정 상원의 아들 소구를 여천군 증의 양자로 하여 가계를 잇게 했다.

가족 관계[편집]

  • 아들 : 해풍군 수
    • 손자 : 여천군 증
    • 손자 : 여선군 학
  • 서자 : 해릉군 이관(海陵君 李爟)
  • 서자 : 해은군 이당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