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파네마박쥐
![]() | ||
---|---|---|
![]() 이파네마박쥐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박쥐목 | |
과: | 주걱박쥐과 | |
아과: | 스테노데르마아과 | |
속: | 이파네마박쥐속 (Pygoderma) Peters, 1863 | |
종: | 이파네마박쥐 (P. bilabiatum) | |
학명 | ||
'Pygoderma bilabiatum' | ||
(Wagner, 1843) | ||
아종 | ||
| ||
이파네마박쥐의 분포 | ||
![]() 이파네마박쥐의 분포 지역 P. b. bilabiatum
P. b. magna
| ||
보전상태 | ||
이파네마박쥐(Pygoderma bilabiatum)는 주걱박쥐과에 속하는 남아메리카 박쥐의 일종이다.[2] 이파네마박쥐속(Pygoderma)의 유일종이다. 아르헨티나 북부와 볼리비아, 브라질 남동부 그리고 파라과이에서 발견된다.[1]
특징[편집]
작은 박쥐로 전완장이 36.2~41.4mm이고 발 길이가 13.7~15mm, 귀 길이가 17mm, 몸무게가 최대 22g이다.[3] 털이 길고 무성하며 부드럽다. 등 쪽 털은 짙은 갈색이고 각 어깨에 희끄무레한 작은 반점이 나 있다. 배 쪽은 회색빛 갈색이다. 잎코는 피침형으로 잘 발달해 있다. 핵형은 2n=30~31, FN=56이다.
생태[편집]
먹이는 곤충이다. 3월초와 7~8월에 파라과이에서 새끼를 밴 암컷이 포획된다.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분포 및 서식지[편집]
브라질 남동부 지역부터 아르헨티나 북부, 볼리비아 중부와 파라과이 동부 지역까지 남아메리카 중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열대와 아열대 습윤 숲과 조성된 숲에서 서식한다. 하지만 그란차코의 준건조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아종[편집]
2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2]
- P. b. bilabiatum (Wagner, 1843) - 브라질 남동부, 파라과이 동부, 아르헨티나 북동부
- P. b. magna (Owen & Webster, 1983) - 볼리비아 중부, 아르헨티나 북서부
각주[편집]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가 나 Barquez, R. & Diaz, M. 2015. Pygoderma bilabiatum.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5: e.T18945A22103088. https://dx.doi.org/10.2305/IUCN.UK.2015-4.RLTS.T18945A22103088.en. Downloaded on 28 January 2021.
- ↑ 가 나 Simmons, N.B. (2005). “SPECIES Pygoderma bilabiatum”.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312–529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A. M. Husson, The Bats of Suriname, in Zoologische Verhandelingen, vol. 58, 1962, pp. 1-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