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입술꿀박쥐
![]() | ||||||||||||||||||||
보전 상태 | ||||||||||||||||||||
---|---|---|---|---|---|---|---|---|---|---|---|---|---|---|---|---|---|---|---|---|
![]() 정보부족(DD),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Anoura fistulata Muchhala, Mena-Valenzuela & Albuja, 2005 |
관입술꿀박쥐(Anoura fistulata)는 주걱박쥐과(신세계잎코박쥐류)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2005년 처음 기재되었다.[2] 종소명 fistulata은 "관"(tube)을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 "피스툴라"(fistula)에서 유래했다. 박쥐의 아랫 입술이 윗 입술보다 3.3~4.8mm 이상 연장되어 깔때기 형태로 말려 있다. 관입술의 정확한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다. 어떤 포유류의 체형에 비해 가장 긴 혀(8.5cm)를 갖고 있다. 전체 몸길이의 150% 크기이다. 수렴 진화에 의해, 천산갑와 큰개미핥기(Myrmecophaga tridactyla) 그리고 관입술꿀박쥐 모두 설골에서 분리된 긴 혀를 갖고 있으며, 흉곽 깊이 인두를 지나 확장된다.[3]
각주[편집]
- ↑ “Anoura fistulat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2월 18일에 확인함.
- ↑ Muchhala, Nathan; Patricio Mena; Luis Albuja (2005). “A New Species of Anoura (Chiroptera: Phyllostomidae) from the Ecuadorian Andes” (PDF). 《Journal of Mammalogy》 86 (3): 457–461. doi:10.1644/1545-1542(2005)86[457:ANSOAC]2.0.CO;2. ISSN 1545-1542. 2015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 (PDF, Reprint)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Muchhala, Nathan (2006). “Nectar bat stows huge tongue in its rib cage”. 《Nature》 444 (7120): 701–2. doi:10.1038/444701a. PMID 17151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