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미사일사령부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미국에 대해서는 미사일사령부 (미국)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육군미사일사령부 | |
---|---|
陸軍미사일司令部 | |
활동 기간 | 2006년 9월 28일 ~ 현재 |
국가 | ![]() |
소속 | ![]() |
병과 | 포병 |
종류 | 사령부 |
역할 | 전략억지 |
규모 | 기밀 |
명령 체계 | 육군본부 |
본부 | 강원도 원주시 |
별명 | 무극부대 |
장비 | 현무 1/2/3 MGM-140 ATACMS |
지휘관 | |
지휘관 | 소장 이정수 (육사 44기) |
육군미사일사령부 무극부대(陸軍미사일司令部, 영어: Army Missile Command)는 대한민국 육군본부의 직할 사령부이다. 본부는 강원도 원주시에 주둔하고 있다.
역사[편집]
국방개혁 2020 계획에 따라 2006년 9월 28일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창설되었다. 북한의 대도시와 주요 목표에 대한 타격, 탄도유도탄에 대응하여 전략무기인 유도탄과 로켓포를 효과적으로 지휘통제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유도탄사령부에서 로켓포와 유도탄을 운용하고 하위 제대에서는 전술유도탄을 운용한다.[1][2]
2014년 4월 1일, 국방부는 유도탄사령부에서 미사일사령부로 개편한 뒤 4월 5일에 언론에 보도하였다. 날이 갈 수록 발전하는 북한의 기술력에 대응하여, 미사일 개발 및 보유할 필요를 느꼈으며,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제(KAMD)와 핵미사일 탐지 체계인 킬 체인을 구축하기 위해서 개편하였다고 설명하였다.[3][4]
2019년 6월, 미사일사령부는 강원도 원주시로 이전하였다.
장비[편집]
계보[편집]
- 2006년 9월 28일 - 육군유도탄사령부
- 2014년 4월 1일 - 육군미사일사령부
같이 보기[편집]
참조[편집]
- ↑ 박영민 (2006년 9월 28일). “유도탄사령부 중부지역에 창설”. 국방일보. 2011년 7월 9일에 확인함.
- ↑ 김민석 (2006년 9월 28일). “북 미사일에 대응 유도탄사령부 뜬다”. 중앙일보. 2020년 8월 31일에 확인함.
- ↑ 황해경 (2014년 4월 5일). “군, 미사일사령부 창설”. YTN. 2014년 4월 5일에 확인함.
- ↑ 정용수 (2014년 4월 5일). “미사일사령부 창설 … '사거리 800' 개발 나섰다”. 중앙일보. 2014년 4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영어) 글로벌시큐리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