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소시스트 (영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엑소시스트
The Exorcist
엑소시스트 계단
감독윌리엄 프리드킨
각본윌리엄 피터 블래티
제작윌리엄 피터 블래티
원작
윌리엄 피터 블래티
  • 소설
  • 엑소시스트
출연엘렌 버스틴
막스 폰 쉬도브
리 J. 콥
키티 윈
잭 맥고런
제이슨 밀러
린다 블레어
촬영오웬 로이즈만
편집노만 게이
음악마이크 올드필드
제작사호야 프로덕션
배급사워너 브라더스
개봉일
  • 1973년 12월 26일 (1973-12-26)(미국)
  • 2000년 9월 22일 (2000-09-22)(재공개)
시간121분[1]
133분(디렉터스 컷)
국가미국의 기 미국
언어영어
이탈리아어
라틴어
제작비미화 $1,200만[2]
흥행수익미화 $4억 270만 ~ 4억 4,413만[2][3]

엑소시스트》(영어: The Exorcist)는 윌리엄 프리드킨 감독, 린다 블레어 주연의 영화이다. 1973년에 제작되었다.[4] 동명의 베스트셀러 소설을 영화화하였다.[5] 대한민국에는 《무당》으로 소개되기도 하였다.[6]

줄거리[편집]

북부 이라크의 고대 유적 발굴에 참가한 노신부 메린(맥스 폰 시도우)은 아시리아의 마신상이 발견되자 악령 부활의 무서운 예감에 사로잡혀 미국으로 돌아온다. 한편, 미국의 대학도시 조지 타운에서는 남편과 별거중인 여배우 크리스 마크닐(엘렌 버스틴)이 외동딸 리건(린다 블레어)을 데리고 아담한 집에 살며 촬영에 분주했다. 그런데, 어느날 갑자기 리건이 악령에 씌이게 된다. 리건의 침대가 진동하고 리건의 몸은 꺾일듯이 휘어질 뿐만 아니라 입에서 거품이 아니라 퍼런 독즙을 내뿜고 목소리도 변하여 음산한 목소리가 된다. 현대 의학으로는 어쩔 수 없는 이 불가사의한 현상을 접하고 가까이에 사는 젊은 신부 카라스의 도움을 청하지만, 젊은 카라스 신부의 혼신을 다한 노력도 소용이 없자 예수회의 고위 신부에게 청원하여 악마 추방령의 허가를 받은 메린 신부가 찾아온다. 메린과 칼라스 두 신부가 리건의 몸에 깃들인 악령과 처절한 대결을 꾀하나 순식간에 불가사의한 차가운 기운이 온 방안을 휘감으며 온갖 괴기한 현상이 나타난다. 메린 노신부는 기력이 다하여 악령추방의 의식을 진행하던 중에 숨을 거둔다. 마지막 수단으로 젊은 칼라스 신부는 최후의 염력으로 악령을 자신의 몸 안에 불러들여 창문에서 밖으로 몸을 던짐으로써 자신과 함께 악령을 죽인다. 카라스 신부의 희생으로 겨우 악령의 세계에서 벗어난 리건은 그때까지의 일을 전혀 기억하지 못한 채 그 맑고도 청순한 옛 모습의 소녀로 돌아간다.[4]

출연[편집]

기타[편집]

  • 원작자: 윌리엄 피터 블래티
  • 협력프로듀서: 데이빗 샐븐
  • 조감독: 테렌스 A. 도넬리
  • 미술: 빌 멀리
  • 세트: 제리 운더리치
  • 특수분장: 딕 스미스

한국판 성우진[편집]

KBS (1993년 7월 10일)[편집]

[7]

SBS (2007년 4월 1일)[편집]

감상 및 평가[편집]

공포영화의 걸작으로 평가되며 엑소시즘 장르의 서막을 열었다고 평가받는다. 4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 작품과 비교될 만한 공포영화는 몇 나오지 않았다.[5]

수상[편집]

  • 1974년 아카데미 각본·음향상을 수상하였다.[5]
  • 1974년 골든 글러브 최우수작품·최우수감독·최우수각본·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6]

각주[편집]

  1. THE EXORCIST. 영국 영화 등급 분류 위원회. 1974년 1월 28일. 2016년 6월 16일에 확인함. 
  2. “The Exorcist (1973)”. The Numbers. 2016년 6월 16일에 확인함. 
  3. “The Exorcist”. Box Office Mojo. 2016년 6월 16일에 확인함. 
  4. 예술·스포츠·취미/영화/영화의 감상/미국영화의 감상/엑소시스트, 《글로벌 세계 대백과》
  5. '엑소시스트'(KBS1 오후11:00), 《경향신문》, 1999.7.17
  6. 「무당」네部門賞휩쓸어, 《동아일보》, 1974.1.29
  7. 토요명화 엑소시스트 방영1993.7.10 한겨레

외부 링크[편집]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