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펜하이머 (영화)
![]() Oppenheimer | |
---|---|
![]() (오펜하이머 메인 포스터) | |
감독 | 크리스토퍼 놀런 |
각본 | 크리스토퍼 놀런 |
제작 | 크리스토퍼 놀런 찰스 로븐 에마 토머스 |
원작 | |
출연 | 킬리언 머피 에밀리 블런트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맷 데이먼 플로렌스 퓨 베니 사프디 라미 말렉 조시 하트넷 데인 드한 |
촬영 | 호이터 판호이테마 |
편집 | 제니퍼 레임 |
음악 | 루드비그 예란손 |
제작사 | 신카피 애틀러스 엔터테인먼트 |
배급사 | 유니버설 스튜디오 |
개봉일 |
|
시간 | 180분 |
국가 | ![]() ![]() |
언어 | 영어 |
제작비 | 1억 달러[2] |
《오펜하이머》(영어: Oppenheimer)는 2023년 개봉한 서사, 전기, 스릴러 영화이다. 크리스토퍼 놀런이 감독과 각본을 맡았다. 핵물리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를 다룬 작품이며, 배우 킬리언 머피가 오펜하이머 역을 맡았다.
《오펜하이머》는 미국에서 2023년 7월 21일에, 대한민국에서는 같은 해 8월 15일(광복절)에 개봉했다.[1] 영화의 대한민국 국내 배급을 맡은 UPI 코리아의 관계자는 《중앙일보》의 질문에 "가장 많은 사람이 볼 수 있는 징검다리 연휴를 택했을 뿐"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중앙일보》는 같은 기사에서 미국 영화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 이후로 대한민국 영화 《밀수》, 《더 문》, 《콘크리트 유토피아》로 이어지는 대한민국 국내 IMAX 상영관의 영화 상영 일정이 고려됐다는 후문도 전했다.[1]
줄거리[편집]
"Now I am become Death, the destroyer of worlds."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다."
세상을 구하기 위해 세상을 파괴할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천재 과학자의 핵개발 프로젝트를 다룬 작품이다. 원자폭탄의 아버지라는 미국의 물리학자‘J.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실제 전기를 다루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핵무기 개발을 위해 진행되었던 비밀 프로젝트 ‘맨해튼 프로젝트’를 주도하며 원자폭탄을 개발한 역사적 내용이 담겨져있다. 핵폭발 장면과 함께 Prometheus stole fire from the gods and gave it to man. For this he was chained to a rock and tortured for eternity.라는 문구가 뜨면서 영화가 시작된다. 오펜하이머의 생애가 광물을 수집하는 취미가 핵개발의 영감을 얻었던 경험과 맨해튼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는 청년시절, 원자력 협회에서 벌어졌던 오펜하이머 청문회, 루이스 스트로스 제독의 인사청문회 이렇게 세 개의 시간대로 영화가 진행된다. 또한 오펜하이머의 이야기 파트는 관점의 차이를 보여주는 컬러파트(핵분열)와 흑백 파트(핵융합)로 나뉘어 핵분열은 원자폭탄의 원리로, 핵융합은 수소폭탄의 원리로 교차되며 영화가 진행된다. 핵무기 회의론자가 되어 매카시즘(McCarthyism), 미국 원자력위원회 의장 루이스 스트로스의 희생양이 되었던 그를 둘러싼 편견과 불공정에 몰락해가는 과정을 그린다.
출연진[편집]
- 킬리언 머피 - J. 로버트 오펜하이머 역
- 에밀리 블런트 - 캐서린 "키티" 오펜하이머 역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루이스 스트로스 역
- 맷 데이먼 - 레슬리 그로브스 대령 역
- 플로렌스 퓨 - 진 태틀록 역
- 조시 하트넷 - 어니스트 로런스 역
- 케이시 애플렉 - 보리스 패시 역
- 라미 말렉 - 데이비드 힐 역
- 케네스 브래나 - 닐스 보어 역
- 베니 사프디 - 에드워드 텔러 역
- 제이슨 클라크 - 로저 로브 역
- 딜런 아널드 - 프랭크 오펜하이머 역
- 데인 더한 - 케네스 니컬스 중령 역
- 잭 퀘이드 - 리처드 파인만 역
- 톰 콘티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역
- 제임스 다시 - 패트릭 블래킷 역
- 데이비드 더스트몰치언 - 윌리엄 보든 역
- 올든 에런라이크 - 스트로스 보좌관 역
- 토니 골드윈 - 고든 그레이 역
- 제퍼슨 홀 - 호콘 슈발리에 역
- 데이비드 크럼홀츠 - 이지도어 "이지" 라비 역
- 매슈 모딘 - 버니바 부시 역
- 스콧 그라임스 - 스트로스 보좌관 역
- 커트 켈러 - 토머스 A. 모건 역
- 조지 가원스 - 워드 V. 에번스 역
- 메이컨 블레어 - 로이드 K. 개리슨 역
- 해리 그레이너 - 게일 W. 맥기 상원의원 역
- 그레고리 지바라 - 워런 매그너슨 상원의원 역
- 팀 디케이 - 존 패스토어 상원의원 역
- 마티아스 슈바이크회퍼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역
- 알렉스 울프 - 루이스 월터 앨버레즈 역
- 조시 저커먼 - 조반니 로시 로마니츠 역
- 로리 킨 - 하틀런드 스나이더 역
- 마이클 안가라노 - 로버트 서버 역
- 에마 듀몬트 - 재키 오펜하이머 역
- 가이 버넷 - 조지 엘턴튼 역
- 루이즈 롬바드 - 루스 톨먼 역
- 올리 하스키비 - 에드워드 콘던 역
- 도널드 리스달 - 도널드 호니그 역
- 조시 펙 - 케네스 베인브리지 역
- 잭 퀘이드 - 리처드 파인먼 역
- 구스타프 스카르스고르드 - 한스 베테 역
- 제임스 어배니액 - 쿠르트 괴델 역
- 트론 페우사 - 조지 키스티어카우스키 역
- 데번 보스틱 - 세스 네더마이어 역
- 대니 데페라리 - 엔리코 페르미 역
- 크리스토퍼 데넘 - 클라우스 푹스 역
- 제시카 에린 마틴 - 샬럿 서버 역
- 로널드 오거스트 - J. 어니스트 윌킨스 주니어 역
- 마테 하우만 - 레오 실라르드 역
- 올리비아 설비 - 릴리 호니그 역
- 잭 커트모어스콧 - 라이얼 존슨
- 해리슨 길버트슨 - 필립 모리슨 역
- 제임스 리마 - 헨리 L. 스팀슨 역
- 윌 로버츠 - 조지 C. 마셜 역
- 팻 스키퍼 - 제임스 L. 번스 역
- 게리 올드먼 - 해리 S. 트루먼 대통령 역
- 햅 로런스 - 린든 B. 존슨 대통령 역
각주[편집]
- ↑ 가 나 다 권근영 (2023년 8월 27일). “미국은 원폭실험일, 한국은 광복절…‘오펜하이머’ 개봉일의 정치학”. 《중앙일보》 (중앙일보사). 2023년 8월 28일에 확인함.
- ↑ Keegan, Rebecca (2023년 7월 14일). “"This Can't Be Safe. It's Got to Have Bite": Christopher Nolan and Cast Unleash Oppenheimer”. 《The Hollywood Reporter》. 2023년 7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7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2023년 영화
- 영어 영화 작품
- 미국의 서사 영화
- 미국의 역사 드라마 영화
- 미국의 전기 드라마 영화
- 미국의 전쟁 드라마 영화
- 미국의 흑백 영화
- 미국의 스릴러 드라마 영화
- 영국의 서사 영화
- 영국의 역사 드라마 영화
- 영국의 전기 드라마 영화
- 영국의 전쟁 드라마 영화
- 영국의 흑백 영화
- 영국의 스릴러 드라마 영화
- 전쟁 서사 영화
- 과학자 전기 영화
- 제2차 세계 대전 영화
- 아이맥스 영화
- 실화에 바탕한 영화
- 전기 문학을 바탕으로 한 영화
- 물리학자를 소재로 한 영화
-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를 소재로 한 영화
- 맨해튼 계획을 소재로 한 영화
- 공산주의를 소재로 한 영화
- 핵무기를 소재로 한 영화
- 캘리포니아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뉴멕시코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뉴저지주에서 촬영한 영화
- 뉴멕시코주에서 촬영한 영화
- 캘리포니아주에서 촬영한 영화
-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영화
- 크리스토퍼 놀란 각본 영화
- 크리스토퍼 놀란 제작 영화
- 에마 토머스 제작 영화
- 루드비그 예란손 영화 음악
- 신카피 영화
- 유니버설 픽처스 영화
- 힌두교 관련 논쟁
- 로버트 오펜하이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