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펜하이머 (영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펜하이머
Oppenheimer
(오펜하이머 메인 포스터)
감독크리스토퍼 놀런
각본크리스토퍼 놀런
제작크리스토퍼 놀런
찰스 로븐
에마 토머스
원작
출연킬리언 머피
에밀리 블런트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맷 데이먼
플로렌스 퓨
베니 사프디
라미 말렉
조시 하트넷
데인 드한
촬영호이터 판호이테마
편집제니퍼 레임
음악루드비그 예란손
제작사신카피
애틀러스 엔터테인먼트
배급사유니버설 스튜디오
개봉일
  • 2023년 7월 21일 (2023-07-21)(미국)
  • 2023년 8월 15일 (2023-08-15)(대한민국)
[1]
시간180분
국가미국의 기 미국
영국의 기 영국
언어영어
제작비1억 달러[2]

오펜하이머》(영어: Oppenheimer)는 2023년 개봉한 서사, 전기, 스릴러 영화이다. 크리스토퍼 놀런이 감독과 각본을 맡았다. 핵물리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를 다룬 작품이며, 배우 킬리언 머피가 오펜하이머 역을 맡았다.

《오펜하이머》는 미국에서 2023년 7월 21일에, 대한민국에서는 같은 해 8월 15일(광복절)에 개봉했다.[1] 영화의 대한민국 국내 배급을 맡은 UPI 코리아의 관계자는 《중앙일보》의 질문에 "가장 많은 사람이 볼 수 있는 징검다리 연휴를 택했을 뿐"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중앙일보》는 같은 기사에서 미국 영화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 이후로 대한민국 영화 《밀수》, 《더 문》, 《콘크리트 유토피아》로 이어지는 대한민국 국내 IMAX 상영관의 영화 상영 일정이 고려됐다는 후문도 전했다.[1]

줄거리[편집]

"Now I am become Death, the destroyer of worlds."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다."

세상을 구하기 위해 세상을 파괴할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천재 과학자의 핵개발 프로젝트를 다룬 작품이다. 원자폭탄의 아버지라는 미국의 물리학자‘J.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실제 전기를 다루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핵무기 개발을 위해 진행되었던 비밀 프로젝트 ‘맨해튼 프로젝트’를 주도하며 원자폭탄을 개발한 역사적 내용이 담겨져있다. 핵폭발 장면과 함께 Prometheus stole fire from the gods and gave it to man. For this he was chained to a rock and tortured for eternity.라는 문구가 뜨면서 영화가 시작된다. 오펜하이머의 생애가 광물을 수집하는 취미가 핵개발의 영감을 얻었던 경험과 맨해튼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는 청년시절, 원자력 협회에서 벌어졌던 오펜하이머 청문회, 루이스 스트로스 제독의 인사청문회 이렇게 세 개의 시간대로 영화가 진행된다. 또한 오펜하이머의 이야기 파트는 관점의 차이를 보여주는 컬러파트(핵분열)와 흑백 파트(핵융합)로 나뉘어 핵분열은 원자폭탄의 원리로, 핵융합은 수소폭탄의 원리로 교차되며 영화가 진행된다. 핵무기 회의론자가 되어 매카시즘(McCarthyism), 미국 원자력위원회 의장 루이스 스트로스의 희생양이 되었던 그를 둘러싼 편견과 불공정에 몰락해가는 과정을 그린다.

출연진[편집]

각주[편집]

  1. 권근영 (2023년 8월 27일). “미국은 원폭실험일, 한국은 광복절…‘오펜하이머’ 개봉일의 정치학”. 《중앙일보》 (중앙일보사). 2023년 8월 28일에 확인함. 
  2. Keegan, Rebecca (2023년 7월 14일). "This Can't Be Safe. It's Got to Have Bite": Christopher Nolan and Cast Unleash Oppenheimer. 《The Hollywood Reporter》. 2023년 7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7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