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슐리펜박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슐리펜박쥐속에서 넘어옴)

슐리펜박쥐
슐리펜박쥐
슐리펜박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박쥐목
아목: 양박쥐아목
과: 애기박쥐과
아과: 애기박쥐아과
속: 슐리펜박쥐속
(Nycticeinops)
Hill and Harrison, 1987
종: 슐리펜박쥐
(N. schlieffenii)
학명
Nycticeinops schlieffenii
Peters, 1859

학명이명

Nycticeius schlieffeni (Peters, 1859)
Scoteinus schlieffeni (Peters, 1859)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슐리펜박쥐(Nycticeinops schlieffenii)는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아프리카에서 발견되며, 1859년 처음 기술된 이후 여러 수많은 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형태학과 유전학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슐리펜박쥐속(Nycticeinops)의 유일종임이 확인되었다.[2][3] 통용명과 학명은 슐리펜(Wilhelm von Schlieffen-Schlieffiennburg)의 이름에서 유래했다.[4]

특징

[편집]

슐리펜박쥐는 비정상적으로 작은 박쥐로 몸길이는 4~5cm, 몸무게는 3.7~5g이다. 털 색깔이 일부 범위에 걸쳐 변화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엷은 회색을 띤 갈색을 보이며, 하체는 흰색을 띤다. 두개골은 넓고 납작하며, 주둥이는 짧고 넓으며 부분적으로 털이 나 있다. 귀는 둥글고, 뭉툭하고 볼록한 이주를 갖고 있다.[4]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애기박쥐아과의 계통 분류이다.[5]

애기박쥐아과

알렌큰귀박쥐속

토끼박쥐속

바르바스텔레박쥐속

흰세점박이박쥐속

사막긴귀박쥐속

혹코박쥐속

털꼬리박쥐족

노랑박쥐속

흰배박쥐족

알렌노랑박쥐속

아메리카노랑박쥐속

반겔더박쥐속

흰배박쥐속

동부집박쥐속

서부집박쥐속

문둥이박쥐족

할리퀸박쥐속

문둥이박쥐속

저녁박쥐족

저녁박쥐속

나비박쥐속

은색털박쥐속

아리엘룰루스속

아프리카긴귀박쥐속

아프리카문둥이박쥐속

슐리펜박쥐속

아이젠트라우트집박쥐

검은집박쥐속

숲박쥐속

아랫볏박쥐속

대나무박쥐속

애기박쥐족

애기박쥐속

작은집박쥐속

집박쥐속

멧박쥐속

각주

[편집]
  1. “Nycticeinops schlieffen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12년 7월 14일에 확인함. 
  2. Hill, J.E. & Harrison, D.L. (1987). “The baculum in the Vespertilioninae (Chiroptera: Vespertilioninae) with a systematic review. A synopsis of Pipistrellus and Eptesicus, and the descriptions of a new genus and subgenus”. 《Bulletin of the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Zoology》 52 (7): 225–305. 
  3. Ruedas, L.A.; 외. (1990). “Chromosomes of five species of vespertilionid bats from Africa”. 《Journal of Mammalogy》 71 (1): 94–100. doi:10.2307/1381324. JSTOR 1381324. 
  4. Johnston, D.S. (2006). “Nycticeinops schlieffeni”. 《Mammalian Species》: Number 798: pp. 1–4. doi:10.1644/798.1. 
  5. Roehrs, Z.P.; Lack, J.B.; Van Den Bussche, R.A. (2010). “Tribal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Vespertilioninae (Chiroptera: Vespertilionidae)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sequence data”. 《Journal of Mammalogy》 91 (5): 1073–1092. doi:10.1644/09-MAMM-A-325.1.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