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비멜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비멜린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2R,2R)-2'-Methylspiro[4-azabicyclo[2.2.2]octane-2,5'-[1,3]oxathiolane]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107233-08-9
ATC 코드 N07AX03
PubChem 83898
드러그뱅크 DB00185
ChemSpider 75707
화학적 성질
화학식 C10H17NOS 
분자량 ?
SMILES eMolecules & PubChem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
단백질 결합 <20%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
생물학적 반감기 ?
배출 ?
처방 주의사항
임부투여안전성 C
법적 상태
  • In general: ℞ (Prescription only)
투여 방법 경구 투여 (캡슐 형태)

세비멜린(Cevimeline)은 상품명 에복삭(Evoxac)으로 판매되는 약물로, 자연 알칼로이드인 무스카린의 합성 유사물질이다.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중에서도 M1M3 수용체에 특히 강하게 결합하여, 작용제로서의 효과를 낸다. 구강건조증쇼그렌 증후군의 치료에 이용된다.

의학적 사용[편집]

세비멜린은 구강건조증[1][2]쇼그렌 증후군의 치료에 사용한다.[1] 타액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2]

부작용[편집]

현재까지 알려진 부작용에는 구역질, 구토, 설사, 발한 증가, 발진, 두통, 콧물, 기침, 졸림, 피부 홍조, 시야흐림, 불면증 등이 있다.[3]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거나 베타 차단제를 복용하는 환자에게는 세비멜린을 사용해서는 안된다.[4]

작용 기전[편집]

세비멜린은 콜린성 작용제이다.[2] 특히 무스카린 수용체 중에서도 M1과 M3 수용체에 강하게 결합한다.[2] 부교감신경계에 속하는 M3 수용체가 활성화되면서 침샘의 분비량이 증가하여 구강건조증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M2 수용체는 자극하지 않으므로 필로카핀에 비해 부작용이 비교적 적다.[4]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1. Ono M, Takamura E, Shinozaki K, Tsumura T, Hamano T, Yagi Y, Tsubota K (July 2004). “Therapeutic effect of cevimeline on dry eye in patients with Sjögren's syndrome: a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study”.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138 (1): 6–17. doi:10.1016/j.ajo.2004.02.010. PMID 15234277. 
  2. Fox RI, Fox CM (2019). 〈Management of Sjögren's〉. 《Dubois' Lupus Erythematosus and Related Syndromes》 (영어) 9판. Elsevier. 745–758쪽. doi:10.1016/B978-0-323-47927-1.00060-8. ISBN 978-0-323-47927-1. 
  3. “Cevimeline”. 《MedicineNet》. 2007년 10월 12일에 확인함. 
  4. Kwon, Hyun-Keun; Lee, Jin-Choon; Lee, Byung-Joo (2020). “Xerostomia”. 《Journal of Clinical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31 (1): 11–17. doi:10.35420/jcohns.2020.31.1.11. ISSN 2713-833X.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