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숙

![]() | |
---|---|
작가 정보
| |
출생 | 1947년 11월 26일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 | (75세)
직업 | 작가, 교수 |
등단 | 1981년 《지다위》 |
활동기간 | 1981년 ~ 현재 |
장르 | 텔레비전 드라마, 동화, 소설 |
박진숙(朴眞淑, 1947년 11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이다. 1981년 여성동아 복간기념 제14회 고료 5백만원 여류 장편소설 공모에서 《지다위》로 당선되면서 작가로 데뷔하였다.[1][2][3]
학력[편집]
경력[편집]
생애[편집]
대학 졸업 후 경북 김천에서 국어교사를 한 뒤 1981년 장편소설 공모전에 당선되면서 작가로 등단했다.[4]
2005년 조선대학교 문예창작과 조교수로 특별 채용되었다.[5]
집필 작품[편집]
텔레비전 드라마[편집]
연도 | 제목 | 방송사 | 유형 | 연출 | 비고 |
---|---|---|---|---|---|
2007 | 그대의 풍경 | KBS1 | 아침 | 한정희 | |
TV문학관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공 | 단막 | 김형일 | |||
2004 | 소풍가는 여자 | SBS | 일일 | 정을영 | |
2003 | 도토리묵 | 특집 | 허웅 | ||
2001 | 아버지와 아들 | 주말 | 김한영 | ||
2000 | 아버님 전상서 | MBC | 특집 | 문석봉 | |
1999 | 사람의 집 | KBS1 | 일일 | 김현준 표민수 → 김현준 배경수 |
|
1997-1998 | 방울이 | MBC | 일일 | 장수봉 | |
1997 | 베스트극장 - 마른 꽃 | 단막 | |||
1997 | 황금 깃털 | 특집 | |||
1996 | 동기간 | 주말 | |||
1994-1995 | 여울목 | 박철 | |||
1992-1993 | 아들과 딸 | 장수봉 | |||
1992 | 나목 | 특집 | |||
1991 | 산너머 저쪽 | 주말 | |||
1990 | 그 여자 | 수목 | 박철 | ||
1990 | 마당 깊은 집 | 월화 | 장수봉 | ||
1988 | 베스트셀러극장 - 커피와 할머니 | 단막 | |||
1987 | TV문학관 - 점 점 점… | KBS1 | 단막 | 원작, 극본 |
연극[편집]
- 2013년 《급매! 행복아파트 1004호》 - 각본[6]
뮤지컬[편집]
- 2013년 《징》 - 각본[7]
도서[편집]
- 《바람그림자》(1984)
- 《파출부》(1984)
- 《껍질》(1984)
- 《울지 않는 아이》(1985)
- 《그 여자》(1990)[3][8]
- 《젊은 날의 일기》(대림기획, 1991) - 13명의 작가 작품 모음집[9]
- 《하나와 두리》(청동거울, 2003)
- 《필드》(청동거울, 2006) - 원작 소설이 있는 각색 드라마 모음집
수상 경력[편집]
- 1981년 제14회 여성동아 복간기념 여류 장편소설 공모 당선 - 지다위[1]
- 1990년 백상예술대상 TV부문 극본상 - 마당 깊은 집
- 1990년 MBC 방송연기상 작가부문 특별상
- 1993년 한국방송대상 TV부문 극본상 - 아들과 딸
- 2007년 제20회 경희문학상 - 필드[10]
각주[편집]
- ↑ 가 나 “女性東亞(여성동아) 장편소설 當選作(당선작)시상”. 동아일보. 1981년 11월 10일.
- ↑ “當選作(당선작) 지다위 朴眞淑作(박진숙작) 女性東亞(여성동아) 5百萬(백만)원稿料(고료) 女流長篇小說(여유장편소설) 公募(공모)”. 동아일보. 1981년 10월 28일.
- ↑ 가 나 “公募(공모)당선작 재출간”. 동아일보. 1.
- ↑ 신연수 (1990년 7월 20일). “MBC「그여자」의 작가 박진숙 진솔한 아낙의 삶 그리고 싶어”. 동아일보.
- ↑ 정대하 (2005년 9월 2일). “‘아들과 딸’ 작가 박진숙씨 조선대 문창과 교수 됐다”. 한겨레.
- ↑ 전남식) (2013년 12월 27일). “정 떨어진 20년차 부부 '사랑 되찾기'”. 인천일보.
- ↑ 최슬기 (2013년 5월 9일). “김천, 경북도민체전 맞춰 창작뮤지컬 '징' 제작 공연”. 경향신문.
- ↑ 1981년 당선작 《지다위》를 제목을 바꿔 펴냈다.
- ↑ “젊은 날의 일기”. 한겨레. 1991년 4월 25일.
- ↑ “경희문학상에 박이도·박진숙씨”. 한겨레. 2007년 11월 2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