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무기 금수 조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무기 금수 조치(Arms embargo)란 무기 혹은 이중 용도 기술에 적용되는 제한 또는 일련의 제재 조치를 뜻한다. 무기 금수 조치는 아래의 한 가지 이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활용한다.

  • 특정 세력의 행동에 대한 반대 의사 표시
  • 진행 중인 분쟁에서 중립 의사 표시
  • 무력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평화 과정의 한 부분인 평화 체계 구축[1]
  • 특정 세력이 타인에게 가하는 폭력 능력을 제한
  • 외국의 개입 전에 한 국가의 군사 능력 약화

역사적 예시[편집]

아르헨티나[편집]

미국의 대통령 지미 카터는 1997년 아르헨티나의 인권 침해에 대응해 아르헨티나 군부정권에 금수 조치를 가했다.[2]

1982년 아르헨티나가 남대서양의 영국령 제도 두 곳인 포클랜드 제도를 침공하자 일주일 만에 유럽 경제 공동체(EEC)가 여러 경제 제재와 함께 무기 금수 조치를 시행했다.[3] 유럽 국가는 포클랜드 전쟁이 끝나자 금수 조치를 해제했으며, 아르헨티나는 1989년 미국의 금수 조치가 해제될 때까지 서유럽과 이스라엘에 무기 공급을 요청했다.[2]

중화인민공화국[편집]

미국과 유럽연합은 1989년 천안문 사태의 폭력 진압 이후 무기 금수 조치를 시행했다. 2004년과 2005년에는 유럽 내에서 중국 무기 금수 조치 해제에 관한 논쟁이 있었다.[4] [5]

시행된 무기 금수 조치 목록[편집]

아래 목록에 포함된 국가로는 유엔 또는 기타 국제기구(유럽연합,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등), 기타 국가가 취하고 있는 무기 금수 조치이다. 경우에 따라 무기 금수 조치를 일반적인 무역 금수 조치, 기타 경제 제재나 특정인에 대한 여행 금지 조치로 보완한다. 무기 금수 조치는 보통 해당 국가에 거주하거나 설립된 모든 단체 혹은 개인에 적용되지만 인정된 정부군이나 평화유지군에 대해서는 금수 조치를 제외하는 부분 무기 금수 조치도 있다.

유엔의 금수 조치[편집]

과거의 금수 조치[편집]

기타 국가의 금수 조치[편집]

과거의 금수 조치[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Remarks of SRSG Ghassan Salamé to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on the situation in Libya 29 July 2019”. 《UNSMIL》. 2019년 7월 29일. 2019년 9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9일에 확인함. 
  2. “WORLD : U.S. Ends Argentine Arms Embargo - Los Angeles Times”. 《Los Angelete Times》. 1989년 2월 21일. 
  3. R.W. Apple Jr. (1982년 4월 11일). “EUROPEANS ENDING ARGENTINE IMPORTS IN FALKLAND CRISIS”. 《The New York Times》. 
  4. http://www.sldinfo.com/the-eu-arms-embargo-repeal-debate/ 보관됨 2015-06-07 - 웨이백 머신 The EU Arms Embargo Repeal Debate
  5. https://www.academia.edu/5475879/The_EU_Arms_Embargo_on_China_a_Swedish_Perspective_2010_/ 보관됨 2018-09-28 - 웨이백 머신 Hellström, Jerker (2010) "The EU Arms Embargo on China: a Swedish Perspective", Swedish Defence Research Agency
  6. Security Council arms embargo 보관됨 7월 4, 2014 - 웨이백 머신
  7. DR Congo arms embargo Department for Business, Enterprise and Regulatory Reform. 보관됨 1월 18, 2010 - 웨이백 머신
  8. “Arms embargoes | SIPRI”. 《www.sipri.org》. 2023년 10월 1일에 확인함. 
  9. Iraq embargo Department for Business, Enterprise and Regulatory Reform. 보관됨 6월 9, 2009 - 웨이백 머신
  10. “UN Security Council keeps Libya arms embargo in place”. 《Al Jazeera English》. 2015년 3월 28일. 2015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5일에 확인함. 
  11. “Embargoes and sanctions o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GOV.UK》. 2013년 6월 4일. 2019년 3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25일에 확인함. 
  12. Lebanon embargo Department for Business, Enterprise and Regulatory Reform. 보관됨 2월 14, 2010 - 웨이백 머신
  13. Sudan embargo 보관됨 1월 18, 2010 - 웨이백 머신
  14. EU Sanctions measures 보관됨 3월 31, 2010 - 웨이백 머신
  15. EU Guinea embargo 보관됨 1월 18, 2010 - 웨이백 머신
  16. Iran embargo 보관됨 11월 25, 2009 - 웨이백 머신
  17. “Iran says UN arms embargo lifted, allowing it to buy weapons”. 《Deutsche Welle》. 2020년 10월 18일에 확인함. 
  18. Ivory Coast embargo Department for Business, Enterprise and Regulatory Reform. 보관됨 5월 8, 2009 - 웨이백 머신
  19. “S/RES/2283(2016) - E - S/RES/2283(2016) -Desktop”. 《undocs.org》. 2022년 1월 7일에 확인함. 
  20. Rwanda embargo 보관됨 2월 18, 2010 - 웨이백 머신
  21. Wontner, Edwina (2010년 3월 3일). “Export Controls: Sanctions and Embargoes: Sierra Leone”. 《webarchive.nationalarchives.gov.uk》. 2010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11일에 확인함. 
  22. “UN lifts arms embargo on Sierra Leone”. 《foxnews.com》. 2010년 9월 29일. 2015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11일에 확인함. 
  23. Somalia embargo 보관됨 1월 18, 2010 - 웨이백 머신
  24. “Security Council Lifts Arms Embargo on Federal Government of Somalia, Unanimously Adopting Resolution 2714 (2023) | UN Press”. 《press.un.org》. 2023년 12월 2일에 확인함. 
  25. “EU arms embargo on the former SFR of Yugoslavia (Bosnia and Herzegovina) | SIPRI”. 《www.sipri.org》 (영어). 2012년 11월 12일. 2018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31일에 확인함. 
  26. “EU arms embargo on the former SFR of Yugoslavia (Bosnia and Herzegovina) - SIPRI”. 《www.sipri.org》. 2012년 11월 12일. 2018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31일에 확인함. 
  27. “UK shoots down Argentine FA-50 deal”. 
  28. “Export licensing policy for Argentina”. 
  29. OSCE Nagorno Karabakh arms embargo 보관됨 6월 4, 2009 - 웨이백 머신
  30. OSCE Nagorno Karabakh arms embargo 보관됨 6월 4, 2009 - 웨이백 머신
  31. US Cuba arms embargo
  32. EU Myanmar arms embargo 보관됨 1월 18, 2010 - 웨이백 머신
  33. EU China arms embargo 보관됨 1월 18, 2010 - 웨이백 머신
  34. US China arms embargo 보관됨 10월 23, 2008 - 웨이백 머신
  35. EU Zimbabwe embargo 보관됨 6월 4, 2009 - 웨이백 머신
  36. Brussels, Associated Press in (2011년 5월 9일). “EU imposes arms embargo on Syria”. 《the Guardian》. 2016년 3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11일에 확인함. 
  37. Traynor, Ian (2013년 5월 28일). “UK forces EU to lift embargo on Syria rebel arms”. 《the Guardian》. 2018년 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11일에 확인함. 
  38. “US Arms Embargo against Turkey – after 30 Years, An Institutional Approach towards US Policy Making” (PDF). 《sam.gov.tr》. 2018년 1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11일에 확인함. 
  39. EU Uzbekistan embargo 보관됨 12월 13, 2009 - 웨이백 머신
  40. “EU arms embargo on Uzbekistan — www.sipri.org”. 2016년 5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