괄호

괄호 | |||||||||
---|---|---|---|---|---|---|---|---|---|
|
문장 부호 | ||||||||||||||||||||||||||||||||||||||||||||||||||||||||||||||||||||||||||||||||||||||||||||||||||||||||||||||||||||||||||||||||||||||||||||||||||||||||||||||||||||||||||||||||||||||||||||||||||||||||||||||||||||||||||||||||||||||||||||||||||||||||||||||||||||||||||||||||||||||||||||||||||||||||||||||||||||||
---|---|---|---|---|---|---|---|---|---|---|---|---|---|---|---|---|---|---|---|---|---|---|---|---|---|---|---|---|---|---|---|---|---|---|---|---|---|---|---|---|---|---|---|---|---|---|---|---|---|---|---|---|---|---|---|---|---|---|---|---|---|---|---|---|---|---|---|---|---|---|---|---|---|---|---|---|---|---|---|---|---|---|---|---|---|---|---|---|---|---|---|---|---|---|---|---|---|---|---|---|---|---|---|---|---|---|---|---|---|---|---|---|---|---|---|---|---|---|---|---|---|---|---|---|---|---|---|---|---|---|---|---|---|---|---|---|---|---|---|---|---|---|---|---|---|---|---|---|---|---|---|---|---|---|---|---|---|---|---|---|---|---|---|---|---|---|---|---|---|---|---|---|---|---|---|---|---|---|---|---|---|---|---|---|---|---|---|---|---|---|---|---|---|---|---|---|---|---|---|---|---|---|---|---|---|---|---|---|---|---|---|---|---|---|---|---|---|---|---|---|---|---|---|---|---|---|---|---|---|---|---|---|---|---|---|---|---|---|---|---|---|---|---|---|---|---|---|---|---|---|---|---|---|---|---|---|---|---|---|---|---|---|---|---|---|---|---|---|---|---|---|---|---|---|---|---|---|---|---|---|---|---|---|---|---|---|---|---|---|---|---|---|---|---|---|---|---|---|---|---|---|---|---|---|---|---|---|---|---|---|
| ||||||||||||||||||||||||||||||||||||||||||||||||||||||||||||||||||||||||||||||||||||||||||||||||||||||||||||||||||||||||||||||||||||||||||||||||||||||||||||||||||||||||||||||||||||||||||||||||||||||||||||||||||||||||||||||||||||||||||||||||||||||||||||||||||||||||||||||||||||||||||||||||||||||||||||||||||||||
괄호(括弧), 묶음표(-標), 브래킷(영어: Bracket)은 숫자, 문자나 문장, 수식의 앞뒤를 막아서 다른 문자열과 구별하는 문장 부호의 하나이자 기호를 말한다.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이 용어는 가끔은 직사각형이나 사각형 형태로 적용된다.[1]
모든 종류의 괄호는 출판에 따라, 또 언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타이포그래피 변환에 의거하여 쓰인다. 아래의 설명 가운데 한자 키와의 조합으로 만든 문자열은 전 세계적으로 공통으로 쓰이는 문자열이 아닌 도형으로 쓰이는 문자열 취급된다.
종류[편집]
아래의 괄호가 문서에서 주로 쓰인다.
쿼티 자판이나 두벌식 자판에서는 화살괄호를 제외한 모든 괄호를 바로 입력이 가능하나 세벌식 최종 자판에서는 대괄호, 중괄호를 바로 입력할 수 없다.
소괄호[편집]
- ( )
영어로는 parentheses 혹은 brackets 라고 한다.
- 어구나 문장 다음에 설명문이나 추가 사항을 덧붙일 때 쓰인다. 또, 순서를 나열할 때도 쓰인다. 이를테면 1), 2), 3) 또는 가), 나), 다) 이렇게 사용할 수 있다.
- 수식에서는 연산 우선 순위를 지정하거나 바꿀 때 이용한다. 프로그래밍 언어 분야에서도 이와 비슷한 용도로 사용하는 언어가 있다.
- 수학이나 프로그래밍 언어, 함수의 인수를 지정할 때 쓰인다.
- 기하학에서 좌표를 나타낼 때 1좌표의 정의를 나타낸다.
- 행렬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컴퓨터 환경[편집]
- 일반 컴퓨터 환경(쿼티 및 기타 로마자 자판, 두벌식 자판 등)에서는 직접 ⇧ Shift+위쪽 숫자 9, ⇧ Shift+위쪽 숫자 0를 누름으로써 바로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세벌식 최종 자판에서는 (, )를 Shift 없이 바로 입력할 수 있다. (는 쿼티 자판의 [ 자리에, )는 쿼티 자판의 - 자리에 있다.
- 한국어 키보드에서 특수 문자로 사용하려면 ㄴ+漢字를 누른 다음에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
|
중괄호[편집]
- { }
영어로는 braces 라고 한다.
- 수식에서 소괄호 ( ) 밖에 또 괄호를 묶을 때 중괄호를 사용한다.
- 집합을 표시할 때에도 중괄호가 사용된다.
- C 언어를 비롯하여 수많은 프로그래밍 언어와 스크립트 언어에서 if 문, for 문 등의 구문과 변수의 로컬 영역을 표현한다.
- 미디어위키를 비롯한 여러 위키위키 소프트웨어의 문법에 틀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컴퓨터 환경[편집]
- 컴퓨터 환경에서는 직접 ⇧ Shift+[, ⇧ Shift+]를 누름으로써 바로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 한국어 키보드에서 특수 문자로 사용하려면 ㄴ+漢字를 누른 다음에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
|
대괄호[편집]
- [ ]
영어로는 square brackets 라고 한다.
- 수식에서 소괄호 ( ) 와, 중괄호 { }를 사용하는 동안 그 밖에도 괄호를 묶고 싶을 때 대괄호를 사용한다.
- 과학에서 단위를 기재할 때 사용한다. 이를테면 43.11 [cm]라고 표기할 수 있다.
- 언어학에서 음성을 표기할 때 사용한다. 사전 등에서도 참조할 수 있다.
- C언어를 비롯하여 수많은 프로그래밍 언어나 스크립트 언어에서 배열 요소를 지정하는 데 쓰인다.
- 미디어위키를 비롯한 여러 위키위키 소프트웨어의 문법에 내부 링크나 외부 링크 등을 만드는 데 쓰인다.
컴퓨터 환경[편집]
- 컴퓨터 환경에서는 직접 [, ]를 누름으로써 바로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 한국어 키보드에서 특수 문자로 사용하려면 ㄴ+漢字를 누른 다음에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
|
홑화살괄호[편집]
- 〈 〉
홑화살괄호, 곧 앵글 브래킷은 인용 부호로 활용하며, 문장에서 인용을 알리는 인용부호나 주의를 환기할 때, 또 단행본이 아닌 문건이나 논문 제목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한국어의 가로쓰기에서 세로쓰기 괄호인 홑낫표가 사용되던 자리에 동일하게 사용된다. 작은 따옴표 표기 자리에 기입할 수 있다.
컴퓨터 환경[편집]
- 일반적인 컴퓨터 환경에서는 직접 입력할 수 없다. ⇧ Shift+,, ⇧ Shift+.로 입력하는 것은 괄호가 아니라 부등호이다.
- 한국어 키보드에서 특수 문자로 사용하려면 ㄴ+漢字를 누른 다음에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
|
겹화살괄호[편집]
- 《 》
한국어에서는 일반적인 가로쓰기에서 단행본인 책이나 논문집 제목이나 주요 문건, 인용문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세로쓰기의 겹낫표를 사용하던 용례와 동일하게 사용한다. 한국어 표기에서 큰 따옴표 자리에 활용할 수 있으며, 프랑스어나 독일어 표기에서 한글 표기와 반대 순서인 '》《' 형태로 큰따옴표처럼 사용한다.
컴퓨터 환경[편집]
- 일반적인 컴퓨터 환경에서는 직접 입력할 수 없다.
- 한국어 키보드에서 특수 문자로 사용하려면 ㄴ+漢字를 누른 다음에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
|
홑낫표[편집]
- 「 」
낫표는 본래 세로쓰기를 위해 사용하던 기호이다. 홑화살괄호와 용례가 같으며 가로쓰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홑낫표는 인용부호나 주의를 환기할 때, 또 논문 제목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현재는 보수적인 글쓰기를 하는 정부법률 문건이나 학술논문 등에서 일부 사용하며, 학술 논문에서는 점차 사용례가 줄어들고 있다. 일반적인 독서를 위한 한국어 서적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다만, 일부 보수적인 글쓰기를 하는 출판사에서 따옴표 대신 사용한다.
컴퓨터 환경[편집]
- 일반적인 컴퓨터 환경에서는 직접 입력할 수 없다.
- 한국어 키보드에서 특수 문자로 사용하려면 ㄴ+漢字를 누른 다음에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
|
겹낫표[편집]
- 『 』 홀낫표에서 바깥 테두리만 표현한 괄호이다. 역시 세로쓰기를 위한 기호이다. 겹화살괄호와 용례가 같으며, 현재 가로쓰기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단 보수적인 글쓰기를 하는 정부법률 문건이나 학술 논문 등에서 책 제목이나 강조할 때 이 괄호를 사용하거나 큰 따옴표 대신 쓰기도 한다. 학술 논문에서는 점차 사라지는 추세다. 일반적 독서를 위한 한국어 서적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컴퓨터 환경[편집]
- 일반적인 컴퓨터 환경에서는 직접 입력할 수 없다.
- 한국어 키보드에서 특수 문자로 사용하려면 ㄴ+漢字를 누른 다음에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
|
그 밖의 괄호[편집]
유니코드[편집]
용도 | 유니코드 | SGML/HTML/XML 엔티티 | 샘플 | |
---|---|---|---|---|
범용[2] | U+0028 | Left parenthesis | ( &lparen; | (parentheses) |
U+0029 | Right parenthesis | ) &rparen; | ||
U+005B | Left square bracket | [ | [sic] | |
U+005D | Right square bracket | ] | ||
기술/수학 (공통)[2] |
U+003C | Less-than sign | < < | <HTML> |
U+003E | Greater-than sign | > > | ||
U+007B | Left curly bracket | { | {round, square, curly} | |
U+007D | Right curly bracket | } | ||
인용 (서양 본문)[3][4] |
U+00AB | Left-pointing double angle quotation mark | « | «Spanish quote», « French quote » or »German quote« |
U+00BB | Right-pointing double angle quotation mark | » | ||
U+2039 | Single left-pointing angle quotation mark | ‹ | ‹ x › | |
U+203A | Single right-pointing angle quotation mark | › | ||
U+201C | Left double quotation mark | “ | “English quote” | |
U+201D | Right double quotation mark | ” | ||
U+2018 | Left single quotation mark | ‘ | ‘English quote’ | |
U+2019 | Right single quotation mark | ’ | ||
U+201A | Single low-9 quotation mark | ‚ ‚ | ‚German quote‘ or ‚Polish quote’ | |
U+201E | Double low-9 quotation mark | „ „ | „German quote“ or „Polish quote” | |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5] | U+2308 | Left ceiling | ⌈ | ⌈ceiling⌉ |
U+2309 | Right ceiling | ⌉ | ||
U+230A | Left floor | ⌊ | ⌊floor⌋ | |
U+230B | Right floor | ⌋ | ||
Quine corners[5] | U+231C | Top left corner | ⌜ | ⌜quasi-quotation⌝ ⌜editorial notation⌝ |
U+231D | Top right corner | ⌝ | ||
U+231E | Bottom left corner | ⌞ | ⌞editorial notation⌟ | |
U+231F | Bottom right corner | ⌟ | ||
기술/수학 (전문가용)[5][6][7][8] | ||||
U+207D | Superscript left parenthesis | ⁽ | X⁽²⁾ | |
U+207E | Superscript right parenthesis | ⁾ | ||
U+208D | Subscript left parenthesis | ₍ | X₍₂₎ | |
U+208E | Subscript right parenthesis | ₎ | ||
U+239B | Left parenthesis upper hook | ⎛ |
⎛ | |
U+239C | Left parenthesis extension | ⎜ | ||
U+239D | Left parenthesis lower hook | ⎝ | ||
U+239E | Right parenthesis upper hook | ⎞ | ||
U+239F | Right parenthesis extension | ⎟ | ||
U+23A0 | Right parenthesis lower hook | ⎠ | ||
U+23A1 | Left square bracket upper corner | ⎡ |
⎡ | |
U+23A2 | Left square bracket extension | ⎢ | ||
U+23A3 | Left square bracket lower corner | ⎣ | ||
U+23A4 | Right square bracket upper corner | ⎤ | ||
U+23A5 | Right square bracket extension | ⎥ | ||
U+23A6 | Right square bracket lower corner | ⎦ | ||
U+23A7 | Left curly bracket upper hook | ⎧ |
⎧ | |
U+23A8 | Left curly bracket middle piece | ⎨ | ||
U+23A9 | Left curly bracket lower hook | ⎩ | ||
U+23AB | Right curly bracket upper hook | ⎫ | ||
U+23AC | Right curly bracket middle piece | ⎬ | ||
U+23AD | Right curly bracket lower hook | ⎭ | ||
U+23AA | Curly bracket extension | ⎪ | ⎪ | |
U+23B0 | Upper left or lower right curly bracket section | ⎰ |
⎰ | |
U+23B1 | Upper right or lower left curly bracket section | ⎱ | ||
U+23B4 | Top square bracket | ⎴ |
⎴ | |
U+23B5 | Bottom square bracket | ⎵ | ||
U+23B6 | Bottom square bracket over top square bracket | ⎶ | ||
U+23B8 | Left vertical box line | ⎸ | ⎸boxed text⎹ | |
U+23B9 | Right vertical box line | ⎹ | ||
U+23DC | Top parenthesis | ⏜ |
⏜ | |
U+23DD | Bottom parenthesis | ⏝ | ||
U+23DE | Top curly bracket | ⏞ |
⏞ | |
U+23DF | Bottom curly bracket | ⏟ | ||
U+23E0 | Top tortoise shell bracket | ⏠ |
⏠ | |
U+23E1 | Bottom tortoise shell bracket | ⏡ | ||
U+27C5 | Left s-shaped bag delimiter | ⟅ | ⟅...⟆ | |
U+27C6 | Right s-shaped bag delimiter | ⟆ | ||
U+27D3 | Lower right corner with dot | ⟓ | ⟓pullback...pushout⟔ | |
U+27D4 | Upper left corner with dot | ⟔ | ||
U+27E6 | Mathematical left white square bracket | ⟦ | ⟦white square brackets⟧ | |
U+27E7 | Mathematical right white square bracket | ⟧ | ||
U+27E8 | Mathematical left angle bracket | ⟨ ⟨[e 1] | ⟨a, b⟩ | |
U+27E9 | Mathematical right angle bracket | ⟩ ⟩[e 1] | ||
U+27EA | Mathematical left double angle bracket | ⟪ | ⟪A, B⟫ | |
U+27EB | Mathematical right double angle bracket | ⟫ | ||
U+27EC | Mathematical left white tortoise shell bracket | ⟬ | ⟬white tortoise shell brackets⟭ | |
U+27ED | Mathematical right white tortoise shell bracket | ⟭ | ||
U+27EE | Mathematical left flattened parenthesis | ⟮ | ⟮flattened parentheses⟯ | |
U+27EF | Mathematical right flattened parenthesis | ⟯ | ||
U+2983 | Left white curly bracket | ⦃ | ⦃white curly brackets⦄ | |
U+2984 | Right white curly bracket | ⦄ | ||
U+2985 | Left white parenthesis | ⦅ | ⦅white/double parentheses⦆ | |
U+2986 | Right white parenthesis | ⦆ | ||
U+2987 | Z notation left image bracket | ⦇ | R⦇S⦈ | |
U+2988 | Z notation right image bracket | ⦈ | ||
U+2989 | Z notation left binding bracket | ⦉ | ⦉x:ℤ⦊ | |
U+298A | Z notation right binding bracket | ⦊ | ||
U+298B | Left square bracket with underbar | ⦋ | ⦋underlined square brackets⦌ | |
U+298C | Right square bracket with underbar | ⦌ | ||
U+298D | Left square bracket with tick in top corner | ⦍ | ⦍ticked square brackets⦐ | |
U+2990 | Right square bracket with tick in top corner | ⦐ | ||
U+298E | Right square bracket with tick in bottom corner | ⦎ | ⦏ticked square brackets⦎ | |
U+298F | Left square bracket with tick in bottom corner | ⦏ | ||
U+2991 | Left angle bracket with dot | ⦑ | ⦑dotted angle brackets⦒ | |
U+2992 | Right angle bracket with dot | ⦒ | ||
U+2993 | Left arc less-than bracket | ⦓ | ⦓inequality sign brackets⦔ | |
U+2994 | Right arc greater-than bracket | ⦔ | ||
U+2995 | Double left arc greater-than bracket | ⦕ | ⦕inequality sign brackets⦖ | |
U+2996 | Double right arc less-than bracket | ⦖ | ||
U+2997 | Left black tortoise shell bracket | ⦗ | ⦗black tortoise shell brackets⦘ | |
U+2998 | Right black tortoise shell bracket | ⦘ | ||
U+29D8 | Left wiggly fence | ⧘ | ⧘...⧙ | |
U+29D9 | Right wiggly fence | ⧙ | ||
U+29DA | Left double wiggly fence | ⧚ | ⧚...⧛ | |
U+29DB | Right double wiggly fence | ⧛ | ||
U+29FC | Left-pointing curved angle bracket | ⧼ | ⧼...⧽ | |
U+29FD | Right-pointing curved angle bracket | ⧽ | ||
하프 브래킷(Half brackets)[9] | U+2E22 | Top left half bracket | ⸢ | ⸢editorial notation⸣ |
U+2E23 | Top right half bracket | ⸣ | ||
U+2E24 | Bottom left half bracket | ⸤ | ⸤editorial notation⸥ | |
U+2E25 | Bottom right half bracket | ⸥ | ||
딩뱃[10] | U+2768 | Medium left parenthesis ornament | ❨ | ❨medium parenthesis ornament❩ |
U+2769 | Medium right parenthesis ornament | ❩ | ||
U+276A | Medium flattened left parenthesis ornament | ❪ | ❪medium flattened parenthesis ornament❫ | |
U+276B | Medium flattened right parenthesis ornament | ❫ | ||
U+276C | Medium left-pointing angle bracket ornament | ❬ | ❬medium angle bracket ornament❭ | |
U+276D | Medium right-pointing angle bracket ornament | ❭ | ||
U+2770 | Heavy left-pointing angle bracket ornament | ❰ | ❰heavy angle bracket ornament❱ | |
U+2771 | Heavy right-pointing angle bracket ornament | ❱ | ||
U+276E | Heavy left-pointing angle quotation mark ornament | ❮ | ❮heavy angle quotation ornament❯ | |
U+276F | Heavy right-pointing angle quotation mark ornament | ❯ | ||
U+2772 | Light left tortoise shell bracket ornament | ❲ | ❲light tortoise shell bracket ornament❳ | |
U+2773 | Light right tortoise shell bracket ornament | ❳ | ||
U+2774 | Medium left curly bracket ornament | ❴ | ❴medium curly bracket ornament❵ | |
U+2775 | Medium right curly bracket ornament | ❵ | ||
아랍어 (Quranic quotations)[11] | U+FD3E | Ornate left parenthesis | ﴾ | ﴿قُلْ صَدَقَ ٱللَّهُ﴾ |
U+FD3F | Ornate right parenthesis | ﴿ | ||
응코[9] | U+2E1C | Left low paraphrase bracket | ⸜ | ⸜ߒߞߏ⸝ |
U+2E1D | Right low paraphrase bracket | ⸝ | ||
오감[12] | U+169B | Ogham feather mark | ᚛ | ᚛ᚑᚌᚐᚋ᚜ |
U+169C | Ogham reversed feather mark | ᚜ | ||
Old Hungarian | U+2E42 | Double low-reversed-9 quotation mark | ⹂ | ⹂ |
티베트[13] | U+0F3A | Tibetan mark gug rtags gyon | ༺ | ༺དབུ་ཅན་༻ |
U+0F3B | Tibetan mark gug rtags gyas | ༻ | ||
U+0F3C | Tibetan mark ang khang gyon | ༼ | ༼༡༢༣༽ | |
U+0F3D | Tibetan mark ang khang gyas | ༽ | ||
신약성경 편집 표기[9] | U+2E02 | Left substitution bracket | ⸂ | ⸂...⸃ |
U+2E03 | Right substitution bracket | ⸃ | ||
U+2E04 | Left dotted substitution bracket | ⸄ | ⸄...⸅ | |
U+2E05 | Right dotted substitution bracket | ⸅ | ||
U+2E09 | Left transposition bracket | ⸉ | ⸉...⸊ | |
U+2E0A | Right transposition bracket | ⸊ | ||
U+2E0C | Left raised omission bracket | ⸌ | ⸌...⸍ | |
U+2E0D | Right raised omission bracket | ⸍ | ||
중세 연구[4][9] | U+2045 | Left square bracket with quill | ⁅ | ⁅...⁆ |
U+2046 | Right square bracket with quill | ⁆ | ||
U+2E26 | Left sideways u bracket | ⸦ | ⸦crux⸧ | |
U+2E27 | Right sideways u bracket | ⸧ | ||
U+2E28 | Left double parenthesis | ⸨ | ⸨...⸩ | |
U+2E29 | Right double parenthesis | ⸩ | ||
인용 (동아시아 본문)[14] |
U+3014 | Left tortoise shell bracket | 〔 | 〔...〕 |
U+3015 | Right tortoise shell bracket | 〕 | ||
U+3016 | Left white lenticular bracket | 〖 | 〖...〗 | |
U+3017 | Right white lenticular bracket | 〗 | ||
U+3018 | Left white tortoise shell bracket | 〘 | 〘...〙 | |
U+3019 | Right white tortoise shell bracket | 〙 | ||
U+301A | Left white square bracket | 〚 | 〚...〛 | |
U+301B | Right white square bracket | 〛 | ||
U+301D | Reversed double prime quotation mark | 〝 | 〝...〞 | |
U+301E | Double prime quotation mark | 〞[e 2] | ||
인용 (반각 동아시아 본문)[5][15] |
U+2329 | Left-pointing angle bracket | 〈 ⟨[e 1] | 〈deprecated〉 |
U+232A | Right-pointing angle bracket | 〉 ⟩[e 1] | ||
U+FF62 | Halfwidth left corner bracket | 「 | 「カタカナ」 | |
U+FF63 | Halfwidth right corner bracket | 」 | ||
인용 (전각 동아시아 본문)[14] |
U+3008 | Left angle bracket | 〈 | 〈한〉 |
U+3009 | Right angle bracket | 〉 | ||
U+300A | Left double angle bracket | 《 | 《한》 | |
U+300B | Right double angle bracket | 》 | ||
U+300C | Left corner bracket | 「 | 「表題」 | |
U+300D | Right corner bracket | 」 | ||
U+300E | Left white corner bracket | 『 | 『表題』 | |
U+300F | Right white corner bracket | 』 | ||
U+3010 | Left black lenticular bracket | 【 | 【表題】 | |
U+3011 | Right black lenticular bracket | 】 | ||
범용 (전각 동아시아)[15] |
U+FF08 | Fullwidth left parenthesis | ( | (Wiki) |
U+FF09 | Fullwidth right parenthesis | ) | ||
U+FF3B | Fullwidth left square bracket | [ | [sic] | |
U+FF3D | Fullwidth right square bracket | ] | ||
기술/수학 (전각 동아시아)[15] |
U+FF1C | Fullwidth less-than sign | < | <HTML> |
U+FF1E | Fullwidth greater-than sign | > | ||
U+FF5B | Fullwidth left curly bracket | { | {1、2} | |
U+FF5D | Fullwidth right curly bracket | } | ||
U+FF5F | Fullwidth left white parenthesis | ⦅ | ⦅...⦆ | |
U+FF60 | Fullwidth right white parenthesis | ⦆ |
- ↑ 가 나 다 라 ⟨ and ⟩ were tied to the deprecated symbols U+2329 and U+232A in HTML4 and MathML2, but are being migrated to U+27E8 and U+27E9 for HTML5 and MathML3, as defined in XML Entity Definitions for Characters.
- ↑ This is fullwidth version of U+2033 DOUBLE PRIME. In vertical texts, U+301F LOW DOUBLE PRIME QUOTATION MARK is preferred.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낱말사전에 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bracket from FOLDOC[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가 나 “C0 Controls and Basic Latin Code Chart” (PDF), 《The Unicode Standard》, 2016년 2월 27일에 확인함
- ↑ “C1 Controls and Latin-1 Supplement Code Chart” (PDF), 《The Unicode Standard》, 2016년 2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General Punctuation Code Chart” (PDF), 《The Unicode Standard》, 2016년 3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Miscellaneous Technical Code Chart” (PDF), 《The Unicode Standard》, 2016년 2월 27일에 확인함
- ↑ “Superscripts and Subscripts Code Chart” (PDF), 《The Unicode Standard》, 2016년 2월 27일에 확인함
- ↑ “Miscellaneous Mathematical Symbols-A Code Chart” (PDF), 《The Unicode Standard》, 2016년 2월 27일에 확인함
- ↑ “Miscellaneous Mathematical Symbols-B Code Chart” (PDF), 《The Unicode Standard》, 2016년 2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Supplemental Punctuation Code Chart” (PDF), 《The Unicode Standard》, 2016년 2월 27일에 확인함
- ↑ “Dingbats Code Chart” (PDF), 《The Unicode Standard》, 2016년 2월 27일에 확인함
- ↑ “Arabic Presentation Forms-A Code Chart” (PDF), 《The Unicode Standard》, 2016년 2월 27일에 확인함
- ↑ “Ogham Code Chart” (PDF), 《The Unicode Standard》, 2016년 2월 27일에 확인함
- ↑ “Tibetan Code Chart” (PDF), 《The Unicode Standard》, 2016년 2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CJK Symbols and Punctuation Code Chart” (PDF), 《The Unicode Standard》, 2016년 2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Halfwidth and Fullwidth Forms Code Chart” (PDF), 《The Unicode Standard》, 2016년 2월 2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