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음반)
![]() | ||||
---|---|---|---|---|
시규어 로스의 스튜디오 음반 | ||||
발매일 | 2002년 10월 28일 | |||
장르 | 포스트 록 | |||
시규어 로스 연표 | ||||
|
《( )》는 아이슬란드의 포스트 록 밴드 시규어 로스의 3번째 정식 음반으로, 2002년 10월 처음 발매되었다. 8개의 무제 곡이 들어있으며 두 부분으로 나뉜다: 처음 네 곡은 비교적 가볍고 긍정적인 곡인 반면 뒤의 네 곡은 암울하고 우울한 느낌을 준다.
빌보드 200 차트에 51위를 기록했으며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일부 평론가들은 이 음반이 이 밴드의 이전 음반 Ágætis byrjun보다 약한 점을 보인다고 생각했다.
곡 목록[편집]
전체 작사·작곡: Sigur Rós
# | 제목 | Meaning of alternate title | 재생 시간 |
---|---|---|---|
1. | 무제 ("Vaka") | Vaka is the name of Orri's daughter | 6:38 |
2. | 무제 ("Fyrsta") | First | 7:33 |
3. | 무제 ("Samskeyti") | Seam, or Joint | 6:33 |
4. | 무제 ("Njósnavélin") | Literally, "The Spy Machine"; also known as "The Nothing Song"[1] | 7:33 |
5. | 무제 ("Álafoss") | Álafoss is the location of the band's studio | 9:57 |
6. | 무제 ("E-Bow") | Georg Hólm uses an E-bow on his bass in this song | 8:48 |
7. | 무제 ("Dauðalagið") | Death Song | 13:00 |
8. | 무제 ("Popplagið") | Pop Song | 11:44 |
총 재생 시간: | 71:46 |
인증[편집]
국가 | 인증 | 판매량/출하량 |
---|---|---|
벨기에 (BEA)[2] | 골드 | 25,000* |
영국 (BPI)[3] | 골드 | 100,000^ |
미국 | — | 332,000[4] |
유럽 | — | 400,000[5] |
*판매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출하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
평가[편집]
전문가 평가 | |
---|---|
총 점수 | |
출처 | 점수 |
메타크리틱 | 82/100[6] |
평가 점수 | |
출처 | 점수 |
AllMusic | ![]() ![]() ![]() ![]() ![]() |
Alternative Press | ![]() ![]() ![]() ![]() ![]() |
Entertainment Weekly | B+[9] |
Los Angeles Times | ![]() ![]() ![]() ![]() |
NME | 7/10[11] |
Pitchfork | 7.6/10[12] |
Q | ![]() ![]() ![]() ![]() ![]() |
Rolling Stone | ![]() ![]() ![]() ![]() ![]() |
Spin | 8/10[15] |
The Village Voice | C[16] |
각주[편집]
- ↑ “sigur rós - frequently asked questions”. 《sigur-ros.co.uk》. 2014년 12월 6일에 확인함.
- ↑ “Ultratop − Goud en Platina – albums 2010” (영어). Ultratop. Hung Medien.
- ↑ “British album certifications – Sigur Ros – ()” (영어). 영국 축음기 협회.
- ↑ Scheider, Marc (2013년 3월 22일). “Sigur Rós Announce New Album 'Kveikur'”. 《Billboard》. 2019년 7월 15일에 확인함.
- ↑ “13/12/12 More Independent Artists Take European Gold, Silver and Platinum Awards Than Even Before”. Impala. 2012년 12월 13일. 2019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15일에 확인함.
- ↑ “Reviews for ( ) by Sigur Rós”. 《Metacritic》. 2015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 Kellman, Andy. “(Untitled) – Sigur Rós”. 《AllMusic》. 2009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 “Sigur Rós: ( )”. 《Alternative Press》 (173): 97. December 2002.
- ↑ “Sigur Rós: ( )”. 《Entertainment Weekly》: 70. 2002년 11월 1일.
- ↑ Hochman, Steve (2002년 10월 27일). “Sigur Ros, in a language all its own...”. 《Los Angeles Times》. 2015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 Dalton, Stephen (2002년 11월 1일). “Sigur Ros : ( )”. 《NME》. 2012년 1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 Ott, Chris (2002년 12월 3일). “Sigur Rós: ( )”. 《Pitchfork》. 2012년 10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 “Sigur Rós: ( )”. 《Q》 (197): 112. December 2002.
- ↑ Edwards, Gavin (2002년 10월 22일). “Sigur Ros: ( )”. 《Rolling Stone》. 2009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 Pappademas, Alex (December 2002). “Sigur Rós: ( )”. 《Spin》 18 (12): 140. 2015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 Christgau, Robert (2003년 4월 22일). “Not Hop, Stomp”. 《The Village Voice》 (New York). 2013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 ) Archived 2009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at sigur-ros.co.uk
- ( ) at disco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