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리어드날여우박쥐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보전 상태 | ||||||||||||||||||||||
---|---|---|---|---|---|---|---|---|---|---|---|---|---|---|---|---|---|---|---|---|---|---|
![]() 정보부족(DD),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Pteropus gilliardorum Van Deusen, 1969 | ||||||||||||||||||||||
![]() 길리어드날여우박쥐의 분포 지역 |
길리어드날여우박쥐(Pteropus gilliardorum)는 큰박쥐과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파푸아뉴기니의 토착종이다. 3점의 표본만이 알려져 있다.[1]
생태[편집]
자연 서식지는 아열대 또는 열대 기후 지역의 건조림과 습지이다. 홀로 생활하거나 작은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제한된 지역에서 서식하며, 저지대 숲의 광범위한 개간은 고지대 서식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길리어드날여우박쥐에 관한 충분한 정보가 없기때문에 멸종위협을 받는 종인지 멸종위기종인지 확인할 수 없다.[1]
각주[편집]
- ↑ 가 나 다 “Pteropus gilliardorum”.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3.1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13년 12월 2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