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뿔박쥐
![]()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Nyctimene major (Dobson, 1877) | ||||||||||||||||||||||||
아종 | ||||||||||||||||||||||||
| ||||||||||||||||||||||||
섬뿔박쥐의 분포 지역 N. m. major
N. m. geminus
N. m. lullulae
N. m. scitulus
|
섬뿔박쥐 또는 섬관코과일박쥐(Nyctimene major)는 큰박쥐과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2] 파푸아뉴기니와 솔로몬 제도에서 발견된다.[1]
특징[편집]
보통 크기의 박쥐로 전완장이 69~85.5mm이고 몸통 길이가 90~138mm, 꼬리 길이가 18~29mm이다. 몸무게가 최대 100g이고 날개를 폈을 때 길이가 62.7cm이다.[3] 털이 무성하고 양털처럼 부드럽다. 등과 머리는 대체로 갈색빛 회색을 띠고 배 쪽은 밝은 갈색빛 회색부터 짙은 황갈색빛 올리브색까지 다양하다. 암컷이 좀더 어우운 색을 띤다. 등의 척추를 따라 아주 뚜렷하고 거무스레한 갈색 띠가 이어져 있다. 주둥이는 짧고 뭉툭하며 넓다. 눈은 크다.
생태[편집]
식물 속에 작은 무리를 지어 은신한다. 무화과나무와 김토스토마 파푸아눔(Gymnostoma papuanum)의 꼬투리 등을 먹는다. 8월부터 11월 사이에 새끼를 밴 암컷이 관찰되지만 12월과 1월 사이에는 젖을 먹이는 모습이 관찰된다.
분포 및 서식지[편집]
비스마르크 제도와 솔로몬 제도, 파푸아뉴기니 해안가의 작은 섬에 널리 분포한다. 해발 최대 900m 이하의 저지대 열대 일차림에서 서식하고 이차림과 농장, 정원에서 관찰되기도 한다.
아종[편집]
4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2]
- N. m. major - 비스마르크 제도의 뉴브리튼섬과 뉴아일랜드섬, 듀크 오브 요크 아일랜즈, 카르카르섬, 카도바섬, 바가백섬, 사카르섬
- N. m. geminus (Andersen, 1910) - 당트르카스토 제도의 퍼거슨 섬과 굿이너프섬, 노르만비섬, 트로브리안드 군도의 앨세스터섬과 키리위나섬, 루이지아드제도의 미시마섬과 타굴라섬, 로셀섬, 시데이아섬
- N. m. lullulae (Thomas, 1904) - 우들라크섬
- N. m. scitulus (Andersen, 1910) - 솔로몬 제도의 부건빌섬과 쇼트랜드섬, 슈아절섬, 콜롬방가라섬, 뉴조지아섬, 렌도바섬, 방구누섬, 케레히카파섬, 산타이사벨섬, 산호르헤섬, 러셀 제도, 과달카날섬, 응겔라 제도, 렌넬섬, 말레이타섬
같은 지역에 함께 서식하는 같은 속의 종으로 관코과일박쥐와 말레이타관코과일박쥐가 있다.
각주[편집]
- ↑ 가 나 Lamoreux, J. 2020. Nyctimene major.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e.T14965A22007085. https://dx.doi.org/10.2305/IUCN.UK.2020-2.RLTS.T14965A22007085.en. Downloaded on 05 February 2021.
- ↑ 가 나 Simmons, N.B. (2005). 〈SPECIES Nyctimene major〉.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312–529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Frank J. Bonaccorso, Bats of Papua New Guinea, Conservation International, 1998, ISBN 978-1-881173-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