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날여우박쥐
![]() | ||||||||||||||||||||||
![]() 말레이날여우박쥐 | ||||||||||||||||||||||
보전 상태 | ||||||||||||||||||||||
---|---|---|---|---|---|---|---|---|---|---|---|---|---|---|---|---|---|---|---|---|---|---|
![]() 준위협(NT), IUCN 3.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Pteropus vampyrus (Linnaeus, 1758)[1] | ||||||||||||||||||||||
![]() 말레이날여우박쥐의 분포 지역 |
말레이날여우박쥐(Pteropus vampyrus)는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는 큰박쥐과 과일박쥐의 일종이다.[2] "큰날여우박쥐", "말레이시아날여우박쥐", "큰과일박쥐", "칼랑"(kalang), "칼롱"(kalong) 등으로도 알려져 있다. 왕박쥐속(Pteropus) 또는 구대륙과일박쥐류에 속하는 다른 박쥐들처럼 과일과 꽃꿀, 꽃만을 먹는다. 가장 큰 박쥐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3] 모든 다른 큰박쥐류처럼 반향정위 능력을 갖고 있지 않지만 대신에 잘 발달한 시력을 갖고 있다.[4]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Linnæus, Carl (1758).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omus I》 (라틴어) 10판. Holmiæ: Laurentius Salvius. 31쪽. 2012년 11월 21일에 확인함.
- ↑ Simmons, N.B. (2005). “Order Chiroptera” [박쥐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345–346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Kunz, T., Jones, D. (2000). “Pteropus vampyrus” (PDF). 《Mammalian Species》 642: 1–6. doi:10.1644/1545-1410(2000)642<0001:PV>2.0.CO;2. 2015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 ↑ Matti Airas. “Echolocation in bats” (PDF). HUT, Laboratory of Acoustics and Audio Signal Processing. 4쪽. 2013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1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View the Megabat genome in Ensemb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