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보전 상태 | ||||||||||||||
---|---|---|---|---|---|---|---|---|---|---|---|---|---|---|
![]() 관심대상(LC), IUCN 3.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Circus spilonotus Kaup, 1847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
---|---|
개구리매 | |
천연기념물 제323-3호 | |
지정일 | |
소재지 |
개구리매(학명: Circus spilonotus)는 매목 수리과의 맹금이다.
개요[편집]
몸길이 40~60cm 정도로 암컷이 더 크며, 수컷의 깃의 색깔은 자갈색이고 암컷은 회갈색이다. 한국에서는 나그네새이며, 봄과 가을에 드물게 스쳐 지나가거나 겨울에 알을 낳으러 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늪지대나 습지에서 수초 위에 둥지를 틀고 4~5개의 알을 낳는다.
서식[편집]
바이칼 호, 러시아, 몽골, 중국 북동부의 헤이룽장 유역, 일본 홋카이도 등지에서 서식한다.
먹이[편집]
개구리를 즐겨 먹는다고 해서 개구리매라는 이름이 붙여졌지만 설치류와 양서류, 작은 새와 벌레 등을 고루 잡아먹는다.
기타[편집]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323-3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한국에는 개구리매속의 맹금류 중 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알락개구리매 등 3종이 도래함이 확인되었다. 유럽개구리매(Circus aeruginosus)와 같은 종으로 취급된 적도 있으나, 현재는 별개의 종으로 다뤄진다.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이 글은 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