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기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울에서 넘어옴)

우울(憂鬱, 영어: depression)은 활동력 저하를 특징으로 하는 정신적 상태 (mental breakdown)를 가리킨다. 감정을 조절하는 뇌의 기능에 변화가 생겨[1][2] '부정적인 감정'이 나타난다. 양상은 다양하나, 주로 우울한 기분, 의욕·관심·정신활동의 저하, 초조 (번민), 식욕 저하, 수면의 증가 또는 감소, 불안감 등이 나타난다. 대인관계, 스트레스, 경제적 문제 등으로 인한 일시적인 우울감[2]은 인간 심리에 있어 자연스러운 일이나, 그 정도나 기간 등이 비정상적인 경우 병리적인 상태로 볼 수 있다.

현대 정신의학에서는 심한 우울증 상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주요 우울장애 (반복성 우울장애)로 분류하여 심리적, 약물적 치료를 행하고 있다. 이외에 증상이 유사한 여러 우울장애가 분류되어 있다. 세계 인구의 2~3%가 우울장애를 앓는 것으로 조사될 정도로 우울증은 드물지 않은 질환이다.[3] 일부가 '마음의 감기'라 부르는 우울증은 누구나 걸릴 수 있지만,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삶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한 질병이다.[4] 당사자의 의지의 문제로 보거나[2][5] 종교적 믿음 부족이라고 오해되지만 한국 복지법에서는 조현병, 양극성 장애와 더불어 호전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 우울장애를 정신장애로 인정하고 있다.[6]

우울감[편집]

생물학 또는 생리학적으로 우울감은 슬픈 감정을 더 느끼는 경우보다 행복한 감정을 덜 느끼는 경우가 우울감에 대한 신뢰도면에서 유의미할 수 있음이 지속적으로 보고 되고있다.[7][8] 한편 이러한 감정은 지속된 시간에서 그 강도가 비교될 수도있지만 긴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짧더라도 반복되는 횟수에서도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은 예를 들어 스트레스취약성-스트레스 모델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내적 요인이 스트레스(외적요인)에 더 증폭적으로 반응하는 것인지 반대로 외적요인에 대해서 내적요인이 취약한 것인지를 변별할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9][10]

각주[편집]

  1. 김기덕 (2016년 2월 25일). “정신질환에 대한 오해와 진실”. 《이데일리》. 2018년 6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8월 22일에 확인함. 
  2. EBS 다큐 시선 우울증이 어때서요
  3. GBD 2015 Disease and Injury Incidence and Prevalence Collaborators (October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545–602. doi:10.1016/S0140-6736(16)31678-6. PMC 5055577. PMID 27733282. 
  4. 이해나 (2017년 10월 31일). “우울증이 ‘마음의 감기’라고요? 생명까지 위협하는 병이죠”. 《헬스조선》. 2018년 6월 18일에 확인함. 
  5. 김지영 (2018년 8월 8일). “치료받아야 할 `마음의 병` 우울증”. 《디지털타임즈》. 2018년 8월 9일에 확인함. 
  6. 장애인복지법 제2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2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장애등급판정기준」(보건복지부고시 제2012-60호)
  7. [참고](J Abnorm Psychol. 2003 May;112(2):203-11. doi: 10.1037/0021-843x.112.2.203.Effects of Daily Events on Mood States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 Frenk Peeters 1, Nancy A Nicolson, Johannes Berkhof, Philippe Delespaul, Marten deVries,Affiliations expand - PMID: 12784829 DOI: 10.1037/0021-843x.112.2.203)https://pubmed.ncbi.nlm.nih.gov/12784829/
  8. [참고](Emotion . 2002 Jun;2(2):135-46. doi: 10.1037/1528-3542.2.2.135. Sadness and Amusement Reactivity Differentially Predict Concurrent and Prospective Functioning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 Jonathan Rottenberg 1, Karen L Kasch, James J Gross, Ian H Gotlib - Affiliations expand PMID: 12899187 DOI: 10.1037/1528-3542.2.2.135)https://pubmed.ncbi.nlm.nih.gov/12899187/
  9. [참고](Influence of Life Stress on Depression: Moderation by a Polymorphism in the 5-HTT Gene , Avshalom Caspi et al. , Science 301, 386 (2003)- DOI: 10.1126/science.1083968 )http://usdbiology.com/cliff/Courses/Advanced%20Seminars%20in%20Neuroendocrinology/Susceptibility%20and%20Resilience/Caspi%2003%20Sci%20Stress%20Depression%205-HTTLPR%20s.pdf
  10. [참고](J Abnorm Psychol . 1999 Nov;108(4):606-14. doi: 10.1037//0021-843x.108.4.606.Life Events and Depression in Adolescence: Relationship Loss as a Prospective Risk Factor for First Onse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 S M Monroe 1, P Rohde, J R Seeley, P M Lewinsohn - Affiliations expand PMID: 10609425 DOI: 10.1037//0021-843x.108.4.606) https://pubmed.ncbi.nlm.nih.gov/10609425/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