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레브로사이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레브로사이드(영어: cerebroside)는 동물근육신경 세포의 중요한 구성 요소인 모노글리코실세라마이드(영어: monoglycosylceramide)라고 하는 당스핑고지질 부류의 일반명이다.

세레브로사이드는 1-하이드록실 부분에 단순당 잔기가 있는 세라마이드로 구성된다. 단순당 잔기는 포도당 또는 갈락토스일 수 있다. 따라서 세레브로사이드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은 글루코세레브로사이드(일명 글루코실세라마이드) 및 갈락토세레브로사이드(일명 갈락토실세라마이드)이다. 갈락토세레브로사이드는 일반적으로 신경 조직에서 발견되는 반면, 글루코세레브로사이드는 다른 조직에서 발견된다.

구조[편집]

세레브로사이드의 기본 구조는 세라마이드이다. 세라마이드의 말단 하이드록실기(–OH)에 글리코사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단당류 또는 다당류를 갖는 모노글리코실세라마이드 또는 올리고글리코실세라마이드는 세레브로사이드로 정의된다. 스핑고신은 세라마이드에 존재하는 주요 긴 사슬 염기이다.

스핑고지질의 일반적인 구조

갈락토실세라마이드는 조직에서의 주요 당스핑고지질이다. 갈락토실세라마이드는 모든 신경 조직에 존재하며, 회색질의 건조 중량의 2%, 백색질의 12%를 구성할 수 있다. 이들은 희소돌기아교세포의 주요 구성 성분이다. 글루코실세라마이드는 지라(비장), 적혈구신경 조직, 특히 뉴런과 같은 동물 세포에서 낮은 수준으로 발견된다. 글루코실세라마이드는 피부 지질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각질층의 라멜라체 형성과 피부의 수분 투과성 장벽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글루코실세라마이드는 식물, 균류, 동물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유일한 당스핑고지질이다. 글루코실세라마이드는 일반적으로 식물의 주요 당스핑고지질로 간주된다. 글루코실세라마이드는 원형질막의 외층의 주요 구성 요소이다. 갈락토실세라마이드는 식물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모노갈락토실세라마이드는 신경수초의 가장 큰 단일 성분이다. 따라서 세레브로사이드 합성은 수초 형성 또는 재수초화로 측정할 수 있다.[1] 당 부분은 락토실세라마이드에서와 같이 세라마이드의 C-1 하이드록실기글리코사이드 결합으로 연결된다. 설파타이드로 알려진 황산 에스터(황산염) 그룹을 포함하는 세레브로사이드는 신경수초에서도 생성된다. 이러한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모체 당스핑고지질의 황산염으로 명명된다.

합성[편집]

모노글리코실세라마이드의 생합성은 UDP-갈락토스 또는 UDP-포도당과 같은 당뉴클레오타이드에서 세라마이드 단위로의 탄수화물 부분의 직접적인 전달을 필요로 한다. 글리코실기전이효소의 촉매 반응은 α→β로 변화하는 글리코사이드 결합에 대한 입체화학의 변화를 초래한다. 갈락토실세라마이드글루코실세라마이드의 합성은 각각 소포체내강 표면과 초기 골지체 막의 세포질 쪽에서 일어난다.

물리적 특성[편집]

세레브로사이드의 녹는점은 37.0 °C 이상으로 생리학적 체온보다 상당히 높으며 당지질액정 구조와 유사한 파라결정질을 제공한다. 세레브로사이드 분자는 당의 극성 수소와 세라마이드스핑고신 염기의 하이드록실기아마이드기 사이에 최대 8개의 분자 간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세레브로사이드 내의 이러한 수소 결합은 분자들이 높은 전이 온도와 조밀한 정렬을 가지도록 한다. 콜레스테롤과 함께 모노글리코실세라마이드는 단백질 결합 및 효소-수용체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부위인 지질 뗏목 마이크로 도메인에 널리 퍼져 있다.

이화작용[편집]

스핑고지질의 분해는 동물 세포에서 소화 효소를 가지고 있는 리소좀에서 일어난다. 리소좀은 당스핑고지질을 주요 구성 성분인 지방산, 스핑고신, 당류로 분해한다.[2]

화학적 분석[편집]

모노글리코실세라마이드의 분석은 고해상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및 질량분석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는 이제 종종 벤조일화 후 분자종의 분리를 위한 표준적인 방법으로, UV 분광광도법에 의해 지질을 검출할 수 있다.

질병에서의 역할[편집]

고셔병글루코세레브로사이드 분해의 결함으로 인한 것이다.

갈락토세레브로사이드 분해의 결함으로 인한 질병으로는

a) 파브리병 – 세라마이드 트라이헥소사이드(글로보트라이아오실세라마이드)의 축적으로 인한 질병, 임상적 특징으로는 말단부 감각 이상(사지의 따금거림, 저림 및 바늘로 찌르는 듯한 감각)이 있다.[3]

b) 크라베병 – 갈락토세라브로사이드(갈락토실세라미데이스의 결핍)의 축적으로 인한 질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Jurevics, H; Hostettler, J; Muse, ED; Sammond, DW; Matsushima, GK; Toews, AD; Morell, P (May 2001). “Cerebroside synthesis as a measure of the rate of remyelination following cuprizone-induced demyelination in brain.”. 《Journal of Neurochemistry》 77 (4): 1067–76. doi:10.1046/j.1471-4159.2001.00310.x. PMID 11359872. 
  2. Yanagihara, T; Cumings, JN (1969). “Fatty acid composition of cerebrosides and cerebroside sulphatides in cerebral oedema”. 《Acta Neuropathologica》 12 (1): 62–67. doi:10.1007/BF00685311. PMID 4303520. S2CID 244169. 
  3. https://radiopaedia.org/articles/acroparesthesia 틀:Bare URL inline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