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리번 대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모토피 이론에서 설리번 대수(Sullivan代數, 영어: Sullivan algebra)는 특별한 형태의 유리수 계수 가환 미분 등급 대수이다. 이를 통하여, 위상 공간호모토피 군에서, 꼬임 부분군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즉, 유리수와의 텐서곱)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 이론을 유리수 호모토피 이론(有理數homotopy理論, 영어: rational homotopy theory)이라고 한다.[1][2]

정의[편집]

위의 설리번 대수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3]:Definition 1.10

  • 정렬 집합 . 이로부터 -벡터 공간 을 정의할 수 있다.
  • 함수 . 이로부터 등급 벡터 공간 , 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이로부터 외대수 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가환 -등급 대수를 이룬다.
  • 함수 . 이는 선형성 및 곱 규칙을 사용하여 미분 연산 로 연장된다.

이는 두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 가환 미분 등급 대수를 이룬다.

설리번 대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최소 설리번 대수(最少Sullivan代數, 영어: minimal Sullivan algebra)라고 한다.

증가 함수이다. 즉, 임의의 에 대하여 라면 이다.[3]:Definition 1.10

상대 설리번 대수[편집]

보다 일반적으로, 설리번 대수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상대화할 수 있다.

위의 가환 미분 등급 대수 위의 상대 설리번 대수(相對Sullivan代數, 영어: relative Sullivan algebra)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정렬 집합 . 이로부터 -벡터 공간 을 정의할 수 있다.
  • 함수 . 이로부터 등급 벡터 공간 , 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이로부터 외대수 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가환 -등급 대수를 이룬다.
  • 함수 . 이를 선형성 및 곱 규칙에 따라 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는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 가환 미분 등급 대수를 이룬다.

이 정의에서, 만약 증가 함수라면, 이를 최소 상대 설리번 대수(最小相對Sullivan代數, 영어: minimal relative Sullivan algebra)라고 한다.

설리번 대수는 위의 상대 설리번 대수와 같으며, 최소 설리번 대수는 위의 최소 상대 설리번 대수와 같다.

연산[편집]

가환 미분 등급 대수 에 대한 임의의 상대 설리번 대수 에 대하여, 임의의 에 대하여, 를 정의하면, 역시 위의 상대 설리번 대수를 이룬다. (여기서 은 함수의 제한을 뜻한다.)

또한, 만약 가 최소 상대 설리번 대수라면 역시 최소 상대 설리번 대수이다.

성질[편집]

낮은 차수가 자명한 설리번 대수[편집]

집합 및 함수

및 임의의 함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는 곱 규칙을 사용하여

로 연장시킬 수 있다. 미분 등급 대수를 이룬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3]:Remark 1.11

  • 만약 라면, 위에는 항상 가 설리번 대수가 되게 하는 정렬 순서 를 부여할 수 있다.
  • 만약 이며, 임의의 에 대하여 이라면 (즉, 가 길이 2 이상의 문자열들의 선형 결합이라면), 위에는 항상 가 최소 설리번 대수가 되게 하는 정렬 순서 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일 때, 주어진 설리번 대수와 유사동형인 최소 설리번 대수는 (동형을 무시하면) 유일하다. 즉, 최소 설리번 대수들은 설리번 대수들의 유사동형(의 지그재그)에 대한 동치류들과 전단사로 대응한다.

위상 공간의 설리번 대수[편집]

임의의 단체 복합체(와 호모토피 동치위상 공간) 에 대하여, 유리수 계수 다항식 미분 형식의 설리번 대수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매우 큰 설리번 대수이지만, 이에 대한 최소 설리번 대수는 쉽게 계산하고 다룰 수 있다. 형식적 공간(영어: formal space)은 그 유리수 계수 다항식 미분 형식의 설리번 대수가 형식적인 단체 복합체호모토피 동치위상 공간이다.

위상 공간의 설리번 대수들의 유사동형(의 지그재그) 동치류들은 위상 공간의 유리수 호모토피 동치(영어: rational homotopy equivalence)와 같다. 즉, 위상 공간의 유리수 호모토피 동치류는 최소 설리번 대수들로 구별할 수 있다.

위상 공간의 호모토피 군[편집]

단체 복합체호모토피 동치인 위상 공간 유리수 계수 다항식 미분 형식 대수가 설리번 대수 와 유사동형이라고 하자. 또한, 멱영 공간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즉, 차 호모토피 군의 계수는 차수 를 갖는 기저 벡터의 수와 같다.

이분율[편집]

코호몰로지

의 차원이 유한한 연결 단일 연결 최소 설리번 대수 는 다음과 같이 두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 타원형(영어: elliptic):
  • 쌍곡형(영어: hyperbolic):

타원형 최소 설리번 대수 에 대하여, 그 생성원의 차수들이

라고 하자. 즉, 개의 짝수 차수 생성원과 개의 홀수 차수 생성원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3]:Theorem 2.27

여기서

형식적 차원(영어: formal dimension)이다.

쌍곡형 최소 설리번 대수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호모토피 군들의 차원은 기하 수열 이상으로 증가한다. 즉, 이 되는 실수 및 자연수 이 존재한다.[3]:Theorem 2.33
  • 임의의 에 대하여, 이며 가 존재한다.[3]:Theorem 2.34
  • 임의의 에 대하여, 가 존재한다.[3]:Theorem 2.34

[편집]

자명한 설리번 대수[편집]

임의의 정렬 집합 및 임의의 증가 함수

에 대하여, 자명한 미분

을 부여하자. 그렇다면, 은 최소 설리번 대수를 이룬다.

특히, 일 때, 위의 최소 설리번 대수를 이룬다.

홀수 차원 초구[편집]

차원 초구 의 유리수 계수 코호몰로지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홀수 차원의 초구의 경우, 최소 설리번 모형은 차수 의 생성원 하나만을 가지며, 이 경우 이다.[2]:259–260, Example 19.1 즉,

이다.

짝수 차원 초구[편집]

짝수 차원의 초구의 경우, 최소 설리번 모형은 차수 의 생성원 를 가지지만, 가 짝수 차수를 가지므로 이다. 따라서, 코호몰로지류를 이루는 것을 막기 위해, 차의 생성원 를 추가해야 한다. 즉, 최소 설리번 대수는 다음과 같다.[2]:260, Example 19.2

이에 따라, 초구의 호모토피 군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초구의 호모토피 군의 꼬임 부분군을 계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복소수 사영 공간[편집]

복소수 사영 공간 의 유리수 계수 코호몰로지는

이다. 따라서, 이 경우 최소 설리번 모형은 다음과 같다.[2]:260, Example 19.3

무한 차원 복소수 사영 공간 의 경우, 최소 설리번 모형은 다음과 같이 생성원 가 없어져 더 간단하다.

비형식적 최소 설리번 대수[편집]

형식적이지 않은 최소 설리번 대수의 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이 설리번 대수의 코호몰로지는 , , 로 구성된다. 최소 설리번 대수에서 그 코호몰로지로 가는 등급 대수 준동형 는 차수의 제약에 따라

가 되는데, 따라서

이 된다. 따라서, 는 유사동형이 될 수 없다.

설리번 대수가 아닌, 외대수 위의 미분 등급 대수 구조[편집]

다음과 같은 구성을 생각하자.

이는 가환 미분 등급 대수를 이루며, 로 생성되는 외대수이지만, 위에는 가 설리번 대수가 되게 하는 전순서 를 줄 수 없으며, 의 다른 기저를 잡더라도 이를 설리번 대수로 만들 수 없다.[3]:Example 1.12

역사[편집]

데니스 설리번이 1970년대에 제창하였다.[4]

참고 문헌[편집]

  1. Griffiths, Philip Augustus; Morgan, John Willard (1981). 《Rational homotopy theory and differential forms》 (영어). Birkhäuser. MR 0641551. Zbl 0474.55001. 
  2. Bott, Raoul; Tu, Loring Wuliang (1982). 《Differential forms in algebraic topolog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82.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757-3951-0. ISBN 978-1-4419-2815-3. ISSN 0072-5285. MR 658304. Zbl 0496.55001. 
  3. Hess, Kathryn (2006). “Rational homotopy theory: a brief introduction” (영어). arXiv:math/0604626. Bibcode:2006math......4626H. 
  4. Sullivan, Dennis (1977). “Infinitesimal calculations in topology”. 《Publications mathématiques de l’Institut des hautes études scientifiques》 (영어) 47: 269–331. ISSN 0073-8301. MR 646078. Zbl 0374.57002.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