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도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백:신뢰출처에 따라 내용 재편 (출처 없는 나열성 목록 모두 삭제)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다른 뜻}}
[[파일:Downtown Seoul and Seoul City Wall.jpg|thumb|[[서울 도심]]은 1980년대 [[도시 재개발|도심재개발]]을 거치며 [[한양도성]] 등 역사경관을 보존하는 동시에 [[중심업무지구]]로서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파일:Lubeck panorama.JPG|thumb]]
'''도심'''(都心, city center)은 [[도시]]의 지리적 중심부 또는 정치·경제·역사문화적 기능의 중심지를 이르는 말이다. 국어학적으로 도심은 도시의 가장 주된 [[중심 (기하학)|중심]]으로서 여러 곳이 존재할 수 없으나, 실생활에서 도심은 종종 다핵구조 상의 [[중심업무지구]] 개념과 혼동되어 사용되고는 한다.
'''도심'''(都心)은 [[도시]] 활동에서 거점이 되는 중심가를 말한다. 교통이 편리하고 고층 건물들이 밀집해 있으며 지가와 접근성이 가장 높다.


== 의미와 역사 ==
== 대한민국의 주요 도심 ==
[[표준국어대사전]] 등에 의하면 '도심'(都心)이란 [[도시]](都市)의 [[중심 (기하학)|중심]](中心)을 의미한다.<ref>{{웹 인용 |url=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415797&searchKeywordTo=3 |제목="도심4(都心)" |웹사이트=stdict.korean.go.kr |출판사=국립국어원 |확인날짜=2024-03-04}}</ref> 따라서 문자 그대로 개념을 엄격히 해석할 경우 하나의 도시에는 하나의 도심만이 존재할 수 있으며, 도심 외의 상업ㆍ업무지구들은 2차적인 부도심(副都心)이 될 수 있을 뿐이다.<ref>{{뉴스 인용 |성=이 |이름=진원 |날짜=2009-01-12 |제목=[이진원기자의 바른말 광] '도심'은 하나뿐 |url=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040907000044 |뉴스=부산일보 |출판사=부산일보사 |위치=부산 동구 |확인날짜=2023-03-04}}</ref>
대한민국의 주요 도심이다. 행정구역이 달라도 같은 도심이면 같이 분류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심'이라는 표현은 종종 '[[중심업무지구]]'의 개념과 혼동되어 사용되나, 엄밀하게는 두 개념이 일치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도심은 지리적 개념으로서 대부분의 도시에는 반드시 도심이 하나씩 존재하고 있지만, 중심업무지구는 기능적 개념으로서 모든 도시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어떤 도시에는 중심업무지구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다른 어떤 도시에는 여러 개의 중심업무지구들이 존재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ref name="jsl101">{{뉴스 인용 |성=이 |이름=제선 |날짜=2022-11-21 |제목=[도시인을 위한 101] 서울도심기본계획을 재수립한다는데, 도심(downtown)이 뭐지? |url=https://www.etoday.co.kr/news/view/2194315 |뉴스=이투데이 |출판사= |위치=서울 강남 |확인날짜=2024-03-01}}</ref>
=== 수도권 ===
* 서울특별시ㆍ의정부시ㆍ부천시ㆍ인천광역시ㆍ광명시ㆍ안양시ㆍ과천시ㆍ군포시ㆍ하남시ㆍ성남시ㆍ용인시ㆍ수원시ㆍ의왕시ㆍ화성시ㆍ오산시
* 고양시ㆍ파주시
* 구리시ㆍ남양주시
* 안산시ㆍ시흥시


일반적으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현대적인 [[도시 재개발]]이 비교적 더딘 시기의 유럽대륙 도시에서는, [[방벽]]([[성곽]])으로 둘러쌓인 공간 내에 [[궁전]]과 [[교회당]] 및 [[광장]] 등이 들어선 [[구시가]](舊市街)의 역사문화적 도심과, 현대에 조성되어 [[마천루]]가 즐비한 [[중심업무지구]]가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왔다. 반면에 근대에 들어서 개척과 성장을 거듭한 미국 도시에서는 도시의 성장 또는 재개발을 제약하는 방벽이나 궁전 등이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미국에서는 경제적 유인에 따라 도시기능의 집적화가 빠르게 일어났고, 이에 따라 고도화된 교통망의 이점을 누리는 동시에 높은 수준의 땅값을 감당할 수 있는 거대기업의 본사들이 고밀도로 모여드는 [[동네]]로서, 기능적 의미에서의 도심이자 중심업무지구라고 할 수 있는 [[다운타운]](downtown)의 개념이 탄생하기에 이른다.<ref>{{저널 인용 |성=Schwarzer |이름=Mitchell |날짜=2016-02 |제목=Downtown: A Short History of American Urban Exceptionalism |번역제목=다운타운: 도시에 관한 미국 예외주의의 간략한 역사 |url=https://placesjournal.org/article/downtown-a-short-history-of-american-urban-exceptionalism |언어=영어 |저널=Places Journal |doi=10.22269/160216 |출판사= |확인날짜=2024-03-01}}</ref>
=== 강원권 ===
* 원주시
* 춘천시
* 강릉시


다만 현대에 들어서는 유럽대륙과 미국의 도시들이 또 다른 상반되는 형태로의 발전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예를 들어 고밀도의 [[도시 재개발]]에 성공한 상당수의 유럽대륙의 [[압축도시]]들은 유서 깊은 [[구시가]]의 역사문화적 경관을 보존하는 동시에 이를 단일한 [[중심업무지구]]로 재탄생시키는 형태로 도시가 발전하고 있는 반면, 도시 재개발에 실패한 미국의 도시들은 20세기에 자동차 중심 통근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도심의 황폐화(urban decay) 및 교외로의 [[스프롤 현상]]을 꾸준히 겪으면서 도시의 경제적 기능이 여러 핵심지로 분산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ref>{{서적 인용 |성=Antipova |이름=Anzhelika |날짜=2018 |장=Urban Environme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ity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번역장=도시 환경: 유럽과 미국 도시의 차이 |장url=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25040922_Urban_Environment_The_Differences_between_the_City_in_Europe_and_the_United_States |제목=Urban Environment, Travel Behavior, Health, and Resident Satisfaction |번역제목=도시 환경, 여행 행태, 건강 그리고 주거 만족 |url=https://link.springer.com/chapter/10.1007/978-3-319-74198-7_2 |언어=영어 |위치=런던 |출판사=Palgrave Macmillan, Cham |isbn=978-3-319-74197-0 |doi=10.1007/978-3-319-74198-7_2 |확인날짜=2024-03-01}}</ref>{{rp|63-73}}
=== 충청권 ===
* 대전광역시
* 청주시
* 천안시
* 충주시
* 아산시
* 세종특별자치시


=== 전라권 ===
== 용례 ==
{{참고|구시가|:분류:중심 업무 지구}}
* 광주광역시
국어학적으로 엄격한 의미에서의 단일 도심 개념은 역사문화적 [[구시가]]를, 현대적인 [[중심업무지구]]로서의 도심 개념은 관련 분류를 참조하라. 한편으로 대한민국의 도시계획·지방행정 실무에서는 '도심'이라는 개념에 대해 어떤 일관된 용례를 발견하기 어려운 모습을 보인다.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청]]의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는 [[서울 도심]], [[여의도|영등포·여의도]], [[강남 (서울)|강남]]의 중심업무지구 세 곳을 아울러 '3도심'이라 부르며 중심지 간의 가장 높은 위계에 위치시키고, 그 아래에 '7광역중심'이라는 위계를 두고 있다.<ref>{{서적 인용 |저자=김용학 |날짜=2023 |제목=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본보고서 |url=https://lib.seoul.go.kr/search/detail/CATTOT000001590965 |ISBN=9791165998493 |위치=서울 |출판사=서울특별시 도시계획과 |확인날짜=2024-03-02}}</ref>{{rp|102-108}} 반면 [[부산광역시청]]의 '2030년 부산도시계획'에서는 종래에 '1광역중심'을 중심지 위계의 최상에 두고 그 아래에 '4도심'을 두고 있었으나, '2040년 부산도시계획'에서는 이러한 중심지 위계 기준 자체를 폐기하고 동래, 서면, 중앙, 해운대 등 행정경계 내 중심지 10곳을 일컬어 모두 '중심지'라는 동일한 위계로 정하고 있다.<ref>{{서적 인용 |저자=부산광역시 |날짜=2023 |제목=2040 부산 도시기본계획 |url=https://book.busan.go.kr/Viewer/NBEVW2L3OCJ3 |위치=부산 |출판사=부산광역시청 |확인날짜=2024-03-021}}</ref>{{rp|214-218}}
* 전주시ㆍ군산시ㆍ익산시
* 순천시ㆍ광양시ㆍ여수시
* 목포시

=== 경상권 ===
* 부산광역시ㆍ양산시ㆍ김해시
* 대구광역시ㆍ경산시
* 울산광역시
* 창원시
* 포항시
* 진주시
* 경주시

=== 제주권 ===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도시기본계획상의 도심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서울 도심]], 영등포·여의도, 강남
*부산광역시: 서면, 광복
*인천광역시: 송도·연수, 동인천·구월, 부평·계양
*광주광역시: 상무, 금남·충장로
*대전광역시: 둔산, 중앙로·대전역
*울산광역시: 삼산·성남, 언양·삼남

==== 기초자치단체 ====
*수원시: 수원화성
*고양시: 일산, 화정
*용인시: 용인시청, 용인역
*성남시: 분당, 수정·중원
*부천시: 중·상동, 부천역·소사역, 춘의
*안양시: 평촌, 안양역
*안산시: 고잔
*창원시: 중앙대로, 마산역, 오동동
*김해시: 동지역·주촌
*포항시: 죽도동·중앙동
*전주시: 객사길·팔달로
*천안시: 천안역
*청주시: 성안동·중앙동
*원주시: 원인동
*춘천시: 약사명동·소양동


== 각주 ==
{{각주}}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다운타운]]
* [[중심 업무 지구]]
* [[중심 업무 지구]]
* [[인구 공동화]]


{{전거 통제}}
{{전거 통제}}
{{토막글|지리}}


[[분류:도시경제학]]
[[분류:도시경제학]]

2024년 3월 6일 (수) 03:30 판

서울 도심은 1980년대 도심재개발을 거치며 한양도성 등 역사경관을 보존하는 동시에 중심업무지구로서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도심(都心, city center)은 도시의 지리적 중심부 또는 정치·경제·역사문화적 기능의 중심지를 이르는 말이다. 국어학적으로 도심은 도시의 가장 주된 중심으로서 여러 곳이 존재할 수 없으나, 실생활에서 도심은 종종 다핵구조 상의 중심업무지구 개념과 혼동되어 사용되고는 한다.

의미와 역사

표준국어대사전 등에 의하면 '도심'(都心)이란 도시(都市)의 중심(中心)을 의미한다.[1] 따라서 문자 그대로 개념을 엄격히 해석할 경우 하나의 도시에는 하나의 도심만이 존재할 수 있으며, 도심 외의 상업ㆍ업무지구들은 2차적인 부도심(副都心)이 될 수 있을 뿐이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심'이라는 표현은 종종 '중심업무지구'의 개념과 혼동되어 사용되나, 엄밀하게는 두 개념이 일치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도심은 지리적 개념으로서 대부분의 도시에는 반드시 도심이 하나씩 존재하고 있지만, 중심업무지구는 기능적 개념으로서 모든 도시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어떤 도시에는 중심업무지구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다른 어떤 도시에는 여러 개의 중심업무지구들이 존재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3]

일반적으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현대적인 도시 재개발이 비교적 더딘 시기의 유럽대륙 도시에서는, 방벽(성곽)으로 둘러쌓인 공간 내에 궁전교회당광장 등이 들어선 구시가(舊市街)의 역사문화적 도심과, 현대에 조성되어 마천루가 즐비한 중심업무지구가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왔다. 반면에 근대에 들어서 개척과 성장을 거듭한 미국 도시에서는 도시의 성장 또는 재개발을 제약하는 방벽이나 궁전 등이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미국에서는 경제적 유인에 따라 도시기능의 집적화가 빠르게 일어났고, 이에 따라 고도화된 교통망의 이점을 누리는 동시에 높은 수준의 땅값을 감당할 수 있는 거대기업의 본사들이 고밀도로 모여드는 동네로서, 기능적 의미에서의 도심이자 중심업무지구라고 할 수 있는 다운타운(downtown)의 개념이 탄생하기에 이른다.[4]

다만 현대에 들어서는 유럽대륙과 미국의 도시들이 또 다른 상반되는 형태로의 발전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예를 들어 고밀도의 도시 재개발에 성공한 상당수의 유럽대륙의 압축도시들은 유서 깊은 구시가의 역사문화적 경관을 보존하는 동시에 이를 단일한 중심업무지구로 재탄생시키는 형태로 도시가 발전하고 있는 반면, 도시 재개발에 실패한 미국의 도시들은 20세기에 자동차 중심 통근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도심의 황폐화(urban decay) 및 교외로의 스프롤 현상을 꾸준히 겪으면서 도시의 경제적 기능이 여러 핵심지로 분산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5]:63-73

용례

국어학적으로 엄격한 의미에서의 단일 도심 개념은 역사문화적 구시가를, 현대적인 중심업무지구로서의 도심 개념은 관련 분류를 참조하라. 한편으로 대한민국의 도시계획·지방행정 실무에서는 '도심'이라는 개념에 대해 어떤 일관된 용례를 발견하기 어려운 모습을 보인다.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청의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는 서울 도심, 영등포·여의도, 강남의 중심업무지구 세 곳을 아울러 '3도심'이라 부르며 중심지 간의 가장 높은 위계에 위치시키고, 그 아래에 '7광역중심'이라는 위계를 두고 있다.[6]:102-108 반면 부산광역시청의 '2030년 부산도시계획'에서는 종래에 '1광역중심'을 중심지 위계의 최상에 두고 그 아래에 '4도심'을 두고 있었으나, '2040년 부산도시계획'에서는 이러한 중심지 위계 기준 자체를 폐기하고 동래, 서면, 중앙, 해운대 등 행정경계 내 중심지 10곳을 일컬어 모두 '중심지'라는 동일한 위계로 정하고 있다.[7]:214-218

각주

  1. "도심4(都心)". 《stdict.korean.go.kr》. 국립국어원. 2024년 3월 4일에 확인함. 
  2. 이, 진원 (2009년 1월 12일). “[이진원기자의 바른말 광] '도심'은 하나뿐”. 《부산일보》 (부산 동구: 부산일보사). 2023년 3월 4일에 확인함. 
  3. 이, 제선 (2022년 11월 21일). “[도시인을 위한 101] 서울도심기본계획을 재수립한다는데, 도심(downtown)이 뭐지?”. 《이투데이》 (서울 강남). 2024년 3월 1일에 확인함. 
  4. Schwarzer, Mitchell (2016년 2월). “Downtown: A Short History of American Urban Exceptionalism” [다운타운: 도시에 관한 미국 예외주의의 간략한 역사]. 《Places Journal》 (영어). doi:10.22269/160216. 2024년 3월 1일에 확인함. 
  5. Antipova, Anzhelika (2018). 〈Urban Environme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ity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도시 환경: 유럽과 미국 도시의 차이]. 《Urban Environment, Travel Behavior, Health, and Resident Satisfaction》 [도시 환경, 여행 행태, 건강 그리고 주거 만족] (영어). 런던: Palgrave Macmillan, Cham. doi:10.1007/978-3-319-74198-7_2. ISBN 978-3-319-74197-0. 2024년 3월 1일에 확인함. 
  6. 김용학 (2023).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본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과. ISBN 9791165998493. 2024년 3월 2일에 확인함. 
  7. 부산광역시 (2023). 《2040 부산 도시기본계획》. 부산: 부산광역시청. 2024-03-021에 확인함.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