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 대상화: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예시가 내용과 적합하지 않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Redirect|성적 대상}}
'''성적 대상화'''(Sexual objectification)는 인간에 대해 [[인격]]을 배제한 채 [[성적 행위]]의 대상이라는 시각에 입각해서 생각하는 사고 체계를 말한다. 대중매체 광고 내 여성 신체의 지나친 부각, 여성 신체의 포르노그래피화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3563971 여성인물 형상화 고정관념 못벗어]. 연합뉴스. 1991년 4월 25일.</ref>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889339 고대생 98%가 음담패설이나 성적언사 경험]. 연합뉴스. 1994년 4월 19일.</ref>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848891 全敎組.여성민우회, 性차별 이유로 45개업체 고발]. 연합뉴스. 1994년 5월 25일.</ref> <ref>최정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540165 여성연구소 「여성과 사회」발간]. 연합뉴스. 1999년 6월 3일.</ref> <ref>한채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028&article_id=0002230542 박은선, 언어폭력 넘고 성적 모욕 넘어…어느 영웅의 성장기]. 한겨레. 2014년 5월 3일.</ref>

'''성적 대상화'''(Sexual objectification)란 인간을 단순한 [[성적 쾌락]]의 도구로 취급하는 행위이다. 좀 더 폭넓은 개념인 [[객체화|대상화]]는 한 개인을 그 사람의 품성이나 [[존엄성]]에 상관없이 [[상품]]이나 물건으로 취급하는 행위를 뜻한다. 대상화는 사회적 수준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관찰되지만, 개인의 행동에서도 관찰될 수 있다.

성적 대상화의 개념, 특히 여성의 대상화는 [[여성주의]] 이론과 여성주의에서 파생된 심리학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많은 페미니스트들은 성적 대상화가 통탄할 일이며, [[성 차별|성적 불평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긴다. 그러나 몇몇 사회 평론가들은 일부 현대 여성들이 '여성의 임파워먼트'<ref>{{Cite journal |last1=장 |first1=필화 |last2=김 |first2=효정 |last3=마 |first3=정윤 |title=여성주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시론 |journal=[[여성학논집]] |volume=32 |issue=1 |pages=189–230 |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doi= |date=2015 |ref= |postscript=.|url=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8010}}</ref>를 표현하기 위해 스스로를 대상화하기도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여성에 대한 성적 대상화==
남성에 의한 여성의 성적 대상화는 여성이 온전한 인간이 아닌 남성의 성적 욕망의 대상으로 간주되는 것과 관련된다.<ref name=Barry>{{cite book |last=Barry |first=Kathleen |contribution=Pornography: the ideoloy of cultural sadism |editor-last=Barry |editor-first=Kathleen |title=Female sexual slavery |page=247 |publisher=NYU Press |location=New York London |year=1984 |isbn=978-0-8147-1069-2 |ref=harv}}</ref><ref name=LeMoncheck>{{cite book |last=LeMoncheck |first=Linda |contribution=I only do it for the money: pornography, prostitution, and the business of sex |editor-last=LeMoncheck |editor-first=Linda |title=Loose women, lecherous men a feminist philosophy of sex |page=133 |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 |location=New York, New York |year=1997 |isbn=978-0-19-510556-8 |ref=harv}}</ref><ref name=":0">{{Cite journal |last1=Szymanski |first1=Dawn M. |last2=Moffitt |first2=Lauren B. |last3=Carr |first3=Erika R. |title=Sexual objectification of women: advances to theory and research |journal=[[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ume=39 |issue=1 |pages=6–38 |publisher=[[SAGE Publications|Sage]] |doi=10.1177/0011000010378402 |date=January 2011 |ref=harv |postscript=.|url=http://www.apa.org/education/ce/sexual-objectification.pdf}}</ref> 어떤 상황이 대상화인지에 대한 의견이 갈리긴 하지만, 일부 페미니스트들<ref name=Jhally>{{cite AV media |last=Jhally |first=Sut (director) |author-link=Sut Jhally |date=1997 |title=Dreamworlds II: desire, sex, power in music |medium=Documentary |location=USA |publisher=[[Media Education Foundation]]}}</ref>은 여성에 대한 대상화가 여성의 성별을 강조하는 광고와 미디어에서 발생한다고 본다. 이를테면, 여성이 약하고 복종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포르노그래피]], 좀 더 주류 [[출판물|매체]]에 속하는 [[광고]]와 [[미술]], [[스트립]] 및 [[매춘]], 미인 대회와 같은 이벤트나 공공 장소에서 여성을 뻔뻔스럽게 성적으로나 미적으로 평가하거나 판단하는 남성, [[미용성형|성형 수술]], 특히 유방 확대나 [[음순 성형]]에 대한 필요성을 가정하는 것 등이 그 예다.<ref>{{cite news |last=Yeung |first=Peter |title=The female artists reclaiming their bodies |url=http://www.dazeddigital.com/artsandculture/article/22316/1/the-female-artists-reclaiming-their-bodies |work=Dazed |publisher=Dazed Digital |date=December 2014 |quote=It is through this prism of patriarchal control that much exploitation of women has been enacted: commonly phallocentric portraiture has been used to permeate the rest of society...The fetishisation of womens’ bodies and their regular reduction to breasts is something that New York artist Cindy Hinant is acutely aware of.}}</ref> 미디어에서 나타나는 대상화는 주요 여성 캐릭터가 부족한 것<ref>{{기사 인용 |url=http://news.joins.com/article/19309841|제목=[매거진M] 2015 한국영화 여성들, 안녕하십니까|publisher=중앙일보||날짜=2015-12-17}}</ref><ref>{{기사 인용 |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09/2017050900090.html|제목=그 많던 女배우는 다 어디로 갔나|publisher=조선일보||날짜=2017-05-19}}</ref>과 같이 미묘한 형태에서부터 몹시 [[성애화]](sexualization)된 대화 및 도발적으로 옷을 입은 여성 캐릭터<ref>{{기사 인용 |url=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4/?n=59750|제목=남성은 능력, 여성은 3사이즈가 중요? 모두의경영 성차별 표현 논란|publisher=디스이즈게임||날짜=2015-08-20}}</ref><ref>{{기사 인용 |url=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50826095952|제목=
'모두의 경영' 성차별 논란…여비서는 기쁨조?|publisher=지디넷||날짜=2015-08-26}}</ref>와 같은 매우 명시적인 형태에 이르기까지 다양할 수 있다.

일부 여성학자와 심리학자들<ref name=fredrickson2>{{Cite journal |last1=Fredrickson |first1=Barbara L. |last2=Roberts |first2=Tomi-Ann |title=Objectification theory: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risks |journal=[[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volume=21 |issue=2 |pages=173–206 |publisher=[[SAGE Publications|Sage]] |doi=10.1111/j.1471-6402.1997.tb00108.x |date=June 1997| url = https://doi.org/10.1111/j.1471-6402.1997.tb00108.x |ref=harv |postscript=.}}</ref>은 성적 대상화는 [[섭식 장애]], [[우울증]], [[성기능 장애]] 등을 포함한 부정적인 심리적 효과를 불러올 수 있으며, 자신의 지성과 역량이 사회에 인정받지 못하며, 앞으로도 인정받지 못할 것이라는 믿음을 여성에게 심어줌으로써 부정적인 [[자아상]](self-image)을 형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ref name=:0 /> 여성의 성적인 대상화는 또한 여성의 성과, 자신감, 직장 내 직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ref>http://search.proquest.com/docview/1855654799</ref> 몇몇은 페미니즘 운동 자체가 "자유로운" 사랑 (즉, 자신들의 즐거움을 위해 결혼 생활 밖의 비-재생산 섹스를 선택하는 남성과 여성)을 촉진함으로써 여성의 성적 대상화 문제에 기여했다고 주장한다.<ref name=fredrickson2 /><ref>{{cite book |last1=Abrams |first1=Dominic |last2=Hogg |first2=Michael A. |contribution=Collective identity: group membership and self-conception |editor-last1=Brewer |editor-first1=Marilynn B. |editor-last2=Hewstone |editor-first2=Miles |editor-link1=Marilynn B. Brewer |title=Self and social identity |page=167 |publisher=Blackwell Publishing |location=Malden, Massachusetts |series=Perspectives on Social Psychology |year=2004 |isbn=978-1-4051-1069-3 |ref=harv |postscript=.|url=https://books.google.com/?id=aGhvm-QH1yEC&pg=RA1-PA136&lpg=RA1-PA136&dq=Fredrickson+and+Roberts}}</ref> "자유로운" 사랑을 조장함으로써 남자의 일생 동안 성 파트너 평균 수를 증가시켰고, 이것은 차례차례 일부 남성에게 섹스에 대한 가치를 감산시켰으며, 다시 여자를 대상화하는 남자에게 여자를 평가절하 하게끔 만들었다는 것이다.{{dubious|date=February 2013}} 한 연구에 따르면 여성이 대상화 된 미디어 콘텐츠에 노출된 남성은 여성이 대상화되지 않은 콘텐츠에 노출된 남성보다 그러한 행동을 받아들이는 경향이 더 컸다.<ref>{{cite journal |last1= Galdi |first1= Silvia |last2= Maass |first2= Anne | last3 = Cadinu | first3 = Mara | title = Objectifying media: their effect on gender role norms and sexual harassment of women | journal =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 volume = 38 | issue = 3 | pages = 393&ndash;413 | publisher = [[Sage Publications|Sage]] | doi = 10.1177/0361684313515185 | date = September 2014 | url = https://doi.org/10.1177/0361684313515185 | ref = harv | postscript = .}}</ref> 대상화가 여성과 사회 전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는 학문적 논쟁의 주제인데, 어떤 이들은 여성의 사회 진출의 중요성에 대한 여학생들의 이해가 소녀기(womanhood)에 [[두려움]], [[수치심]] 및 [[혐오감]] 등의 감정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하며<ref>{{Cite journal |last=Lee |first=Janet |title=Menarche and the (hetero)sexualization of the female body |journal=[[Gender & Society]] |volume=8 |issue=3 |pages=343–362 |publisher=[[SAGE Publications|Sage]] |doi=10.1177/089124394008003004 |date=September 1994| url = https://doi.org/10.1177/089124394008003004 |ref=harv |postscript=.}}</ref>, 다른 이들은 젊은 여성들이 특히 [[권력]], [[존경]], [[재산|부]]가 외모에서 파생될 수 있다고 배우기 때문에 대상화에 특히 취약하다고 말한다.<ref name=apareport>{{Cite report |last1=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first1=(APA) |title=Report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executive summary |journal=[[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location=Washington, DC |year=2010 |url=http://www.apa.org/pi/women/programs/girls/report-full.pdf |access-date=19 February 2007}}</ref>

[[로버트 젠슨]](Robert Jensen), [[수트 할리]](Sut Jhally) 같은 프로-페미니스트 문화 비평가들은 [[대중 매체]]와 광고가 상품 및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해 여성의 대상화를 조장한다고 비난한다.<ref name=Jhally /><ref name=Jensen>{{cite book |last=Jensen |first=Robert |author-link=Robert Jensen |contribution=Using pornography |editor-last1=Dines |editor-first1=Gail |editor-last2=Jensen |editor-first2=Robert |editor-last3=Russo |editor-first3=Ann |editor-link1=Gail Dines |editor-link2=Robert Jensen |title=Pornography: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inequality |page=133 |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 |location=New York, New York |year=1997 |isbn=978-0-19-510556-8 |ref=harv}}</ref><ref name=Frith>{{Cite journal |last1=Frith |first1=Katherine |last2=Shaw |first2=Ping |last3=Cheng |first3=Hong |title=The construction of beauty: a cross-cultural analysis of women's magazine advertising |journal=[[Journal of Communication]] |volume=55 |issue=1 |pages=56–70 |publisher=[[Wiley-Blackwell|Wiley]] |doi=10.1111/j.1460-2466.2005.tb02658.x |date=March 2005| url = https://doi.org/10.1111/j.1460-2466.2005.tb02658.x |ref=harv |postscript=.}}</ref>

여성의 대상화에 대한 반대는 최근 들어 일어난 현상이 아니다. 예를 들어 프랑스 [[계몽주의]]에서는 여성의 유방이 단지 관능적 유혹에 불과한지 또는 자연의 선물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Alexandre Guillaume Mouslier de Moissy의 1771년作 희곡 "진정한 어머니(La Vraie Mère)"에서 주인공은 자신을 단순히 성적 만족을 위한 대상으로 취급하는 남편을 책망하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당신의 감각이 너무나 둔한 까닭에, 이 자연의 존경할만한 보물은 단순한 꾸밈으로서 여성의 가슴을 장식할 운명인가?" <ref>{{cite book |last=Schama |first=Simon |author-link=Simon Schama |contribution=The cultural construction of a citizen: II Casting roles: children of nature |editor-last=Schama |editor-first=Simon |editor-link=Simon Schama |title=[[Citizens. A Chronicle of the French Revolution|Citizens: a chronicle of the French Revolution]] |publisher=Knopf Distributed by Random House |location=New York |year=1989 |isbn=978-0-394-55948-3}}</ref>

성적 대상화에 관한 문제는 1970년대, 페미니스트 그룹에 의해 처음으로 [[문제화]]되었다. 그 이후로 여성의 성적 대상화라는 현상에 대한 문제화는 삶의 모든 수준에서 급격히 증가하였고, 성적 대상화는 여성에게, 특히 정치 영역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했다고 주장해왔다. 한편, 새로운 형태의 3세대 페미니스트 그룹은 여성의 대상화를 역으로 여성의 몸을 권력의 한 형태로 사용하는 기회로 삼기도 했다.<ref>{{cite journal | last = Heldman | first = Caroline | title = Sexualizing Sarah Palin: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of the sexual objectification of female candidates | journal = [[Sex Roles (journal)|Sex Roles]] | volume = 65 | issue = 3 | pages = 156&ndash;164 | publisher =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Springer]] | doi = 10.1007/s11199-011-9984-6 | date = August 2011 | url = https://doi.org/10.1007/s11199-011-9984-6 | ref = harv | postscript = .}}</ref>

===여성의 자기 대상화===
{{further information|친섹스 여성주의|여성주의 성 대립}}

[[아리엘 레비]](Ariel Levy)는 노출이 심한 옷을 입고 음란한 행동을 하는 등 성을 표출하는 서양 여성들이 스스로를 대상화함으로써 여성의 자기 대상화에 관여한다고 주장한다. 일부 여성들은 그러한 행동을 [[역량 강화]](empowerment)의 한 형태로 보고 있지만, 레비는 이런 행위가 자신이 "경마 문화"라고 부르는, 여성들에게 주입된 자기 가치에 대한 육체적 기준이나 [[성애화|성에 대한 강조]]로 향했다고 주장한다.<ref>{{cite book |last=Levy |first=Ariel |author-link=Ariel Levy (journalist) |title=[[Female Chauvinist Pigs|Female chauvinist pigs: women and the rise of raunch culture]] |publisher=Pocket Books |location=London |year=2006 |isbn=978-1-4165-2638-4}}</ref>

레비는 자신의 저서 여성 쇼비니스트 피그(Women Chauvinist Pigs : Women and Raunch Culture)에서 이러한 현상에 대해 논의한다. 레비는 [[걸스 곤 와일드]] 비디오 시리즈의 촬영자를 찾아가 현대 미국의 성적 문화는 여성을 대상화 할뿐만 아니라 여성이 자신을 대상화하도록 장려한다고 주장했다. <ref>{{cite news |url=http://women.timesonline.co.uk/tol/life_and_style/women/article2523264.ece |work=The Times |location=London |title=Yes we are bovvered |first=Ginny |last=Dougary |date=25 September 2007 |accessdate=23 May 2010}}</ref> 레비는 오늘날의 문화에서 젖은 티셔츠 경연 대회에 참가하거나 외설적인 [[포르노그래피]]을 보는 것을 편안하게 여긴다는 생각이 여성주의의 힘의 상징이 되었다고 적었다.

==남자에 대한 성적 대상화==


=== 매체 ===

==성적 대상화에 대한 견해==
{{see also|시선}}


==대상화 이론==


===자기 대상화===


===여자, 여자아이, 그리고 자기대상화===


===심리적 결과===


===우울증의 원인===


==참고==
{{Commons category}}
*[[비인간화]]
*[[대중매체의 여성착취]]
*[[포니필리아]] 또는 인간 가구
*[[힌보]]
*[[강간 문화]]
*[[광고에서 나타나는 성]]
*[[뮤직 비디오에서 나타나는 성]]


== 각주 ==
== 각주 ==
<references/>
<references/>


==더 읽기==
* {{cite book |last=Bartky |first=Sandra Lee |author-link=Sandra Bartky |title=Femininity and domination: studies in the phenomenology of oppression |publisher=Routledge |location=New York |year=1990 |isbn=978-0-415-90186-4}}
* {{cite book |last=Berger |first=John |author-link=John Berger |title=[[Ways of Seeing]] |publisher=BBC and Penguin Books |year=1972 |location=London}} {{ISBN|0-563-12244-7}} (BBC), {{ISBN|0-14-021631-6}}, {{ISBN|0-14-013515-4}} (pbk).
* {{Cite journal |last1=Bridges |first1=Ana J. |last2=Johnson |first2=Jennifer A. |last3=Dines |first3=Gail |last4=Condit |first4=Deirdre M. |last5=West |first5=Carolyn M. |author-link1=Ana J. Bridges |author-link2=Jennifer A. Johnson |author-link3=Gail Dines |author-link5=Carolyn M. West |title=Introducing ''Sexualization, Media & Society'' |journal=[[Sexualization, Media, & Society]] |volume=1 |issue=1 |pages=487–515 |publisher=[[SAGE Publications|Sage]] |doi=10.1177/2374623815588763 |date=April 2015 |ref=harv |postscript=.}}
* {{cite book |last=Brooks |first=Gary R. |title=The centerfold syndrome: how men can overcome objectification and achieve intimacy with women |publisher=Jossey-Bass |year=1995 |location=San Francisco |isbn=978-0-7879-0104-2}}
* {{Cite journal |last1=Coy |first1=Maddy |last2=Garner |first2=Maria |author-link1=Maddy Coy |title=Glamour modelling and the marketing of self-sexualization: critical reflections |journal=[[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Studies]] |volume=13 |issue=6 |pages=657–675 |publisher=[[SAGE Publications|Sage]] |doi=10.1177/1367877910376576 |date=November 2010 |ref=harv |postscript=.}}
* {{Cite journal |last=Eames |first=Elizabeth R. |title=Sexism and woman as sex object |journal=Journal of Thought |volume=11 |issue=2 |pages=140–143 |publisher=Caddo Gap Press |date=1976 |url=http://journalofthought.com/?page_id=66 |ref=harv |postscript=.}} [http://eric.ed.gov/?id=EJ147519 Preview.]
* {{cite conference |last=Holroyd |first=Julia |title=Sexual objectification: The unlikely alliance of feminism and Kant |format=pdf |conference=Society for Applied Philosophy International Congress |date=2005 |location=Oxford, UK |url=http://www.brown.edu/Departments/Philosophy/conferencepapers/objectification.pdf}} (conference paper)
* {{cite book |last=LeMoncheck |first=Linda |title=Dehumanizing Women: Treating Persons as Sex Objects |publisher=Rowman & Littlefield |year=1985 |location=New York |isbn=978-0-8476-7386-5}}
* {{Cite journal |last=Nussbaum |first=Martha C. |title=Objectification |author-link=Martha Nussbaum |journal=[[Philosophy & Public Affairs]] |volume=24 |issue=4 |pages=249–291 |publisher=[[Wiley-Blackwell|Wiley]] |doi=10.1111/j.1088-4963.1995.tb00032.x |jstor=2961930 |date=October 1995|ref=harv |postscript=.}}
* {{Cite journal |last=Papadaki |first=Evangelia (Lina) |title=Sexual objectification: From Kant to contemporary feminism |journal=[[Contemporary Political Theory]] |volume=6 |issue=3 |pages=330–348 |publisher=[[Palgrave Macmillan]] |doi=10.1057/palgrave.cpt.9300282 |date=August 2007 |ref=harv |postscript=.|url=http://www.palgrave-journals.com/cpt/journal/v6/n3/pdf/9300282a.pdf}}
* {{cite news |last=Parker |first=Kathleen |author-link=Kathleen Parker |title='Save the males': Ho culture lights fuses, but confuses |url=http://www.nydailynews.com/lifestyle/2008/06/30/2008-06-30_save_the_males_ho_culture_lights_fuses_b.html |work=[[Daily News (New York)|Daily News]] |location=New York |date=30 June 2008}}
* {{cite book |last=Paul |first=Pamela |authorlink=Pamela Paul |title=Pornified: how pornography is transforming our lives, our relationships, and our families |publisher=Times Books |location=New York |year=2005 |isbn=978-0-8050-8132-9}}
* [[Mario Perniola]], ''The Sex-appeal of the inorganic'', translated by Massimo Verdicchio, London-New York,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Continuum]], 2004.
* {{Cite journal |last=Sharge |first=Laurie |title=Exposing the fallacies of anti-porn feminism |journal=[[Feminist Theory (journal)|Feminist Theory]] |volume=6 |issue=1 |pages=45–65 |publisher=[[Sage Publications|Sage]] |doi=10.1177/1464700105050226 |date=April 2005 |ref=harv |postscript=.}}
* {{cite book |last=Soble |first=Alan |title=Pornography, Sex, and Feminism |publisher=[[Prometheus Books]] |year=2002 |location=Amherst, New York|isbn= 9791195872978}}
* {{cite book |last=파파다키 |first=에반젤리아 |title=객체화에 대한 페미니즘의 관점들 |publisher=전기 가오리 |year=2016 |isbn= 9791195872978}}

==바깥 고리==
* Papadaki, Evangelia (March 10, 2010), "[http://plato.stanford.edu/entries/feminism-objectification/ Feminist perspectives on objectification]", in {{cite book | editor-last = Zalta | editor-first = Edward N. | editor-link = Edward N. Zalta | title =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
* Shrage, Laurie (July 13, 2007), "[http://plato.stanford.edu/entries/feminist-sex-markets/#SexObj Feminist perspectives on sex markets: 1.3 sexual objectification]", in {{cite book | editor-last = Zalta | editor-first = Edward N. | editor-link = Edward N. Zalta | title =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
* {{cite web | last = Steinberg | first = David | title = On Sexual Objectification | url = http://www.nearbycafe.com/loveandlust/steinberg/erotic/cn/cn5.html | work = [[Spectator Magazine]] &#124; Comes Naturally column #5 | date = March 5, 1993 }} – Sex-positive feminist perspective on sexual objectification.
* {{cite news | last = Wyatt | first = Petronella | author-link = Petronella Wyatt | title = Women like seeing men as sex objects | url = http://www.telegraph.co.uk/htmlContent.jhtml;?html=/archive/1996/10/05/tlpet05.html | work = [[Daily Telegraph]] | date = October 5, 1996 }} Interview with [[Janet Anderson]].
* {{cite web | last1 = Kalyanaraman | first1 = Sriram | last2 = Redding | first2 = Michael | last3 = Steele | first3 = Jason | title = Sexual suggestiveness in online ads: effects of objectification on opposite genders | archive-url = https://web.archive.org/web/20080208172715/http://www.psu.edu/dept/medialab/research/objectification.html | archive-date = February 8, 2008 | url = http://www.psu.edu/dept/medialab/research/objectification.html | website = psu.edu/dept/medialab | publisher = Media Effects Research Laboratory,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 date = 2000 }}

[[분류:성애화]]
[[분류:성과 사회]]
[[분류:여성주의]]
[[분류:여성주의]]
[[분류:성의 철학]]
[[분류:포스트모더니즘]]
[[분류:성적 매력]]
[[분류:인간의 성]]
[[분류:성적 페티시즘]]

2017년 8월 10일 (목) 14:54 판

성적 대상화(Sexual objectification)란 인간을 단순한 성적 쾌락의 도구로 취급하는 행위이다. 좀 더 폭넓은 개념인 대상화는 한 개인을 그 사람의 품성이나 존엄성에 상관없이 상품이나 물건으로 취급하는 행위를 뜻한다. 대상화는 사회적 수준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관찰되지만, 개인의 행동에서도 관찰될 수 있다.

성적 대상화의 개념, 특히 여성의 대상화는 여성주의 이론과 여성주의에서 파생된 심리학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많은 페미니스트들은 성적 대상화가 통탄할 일이며, 성적 불평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긴다. 그러나 몇몇 사회 평론가들은 일부 현대 여성들이 '여성의 임파워먼트'[1]를 표현하기 위해 스스로를 대상화하기도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여성에 대한 성적 대상화

남성에 의한 여성의 성적 대상화는 여성이 온전한 인간이 아닌 남성의 성적 욕망의 대상으로 간주되는 것과 관련된다.[2][3][4] 어떤 상황이 대상화인지에 대한 의견이 갈리긴 하지만, 일부 페미니스트들[5]은 여성에 대한 대상화가 여성의 성별을 강조하는 광고와 미디어에서 발생한다고 본다. 이를테면, 여성이 약하고 복종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포르노그래피, 좀 더 주류 매체에 속하는 광고미술, 스트립매춘, 미인 대회와 같은 이벤트나 공공 장소에서 여성을 뻔뻔스럽게 성적으로나 미적으로 평가하거나 판단하는 남성, 성형 수술, 특히 유방 확대나 음순 성형에 대한 필요성을 가정하는 것 등이 그 예다.[6] 미디어에서 나타나는 대상화는 주요 여성 캐릭터가 부족한 것[7][8]과 같이 미묘한 형태에서부터 몹시 성애화(sexualization)된 대화 및 도발적으로 옷을 입은 여성 캐릭터[9][10]와 같은 매우 명시적인 형태에 이르기까지 다양할 수 있다.

일부 여성학자와 심리학자들[11]은 성적 대상화는 섭식 장애, 우울증, 성기능 장애 등을 포함한 부정적인 심리적 효과를 불러올 수 있으며, 자신의 지성과 역량이 사회에 인정받지 못하며, 앞으로도 인정받지 못할 것이라는 믿음을 여성에게 심어줌으로써 부정적인 자아상(self-image)을 형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4] 여성의 성적인 대상화는 또한 여성의 성과, 자신감, 직장 내 직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12] 몇몇은 페미니즘 운동 자체가 "자유로운" 사랑 (즉, 자신들의 즐거움을 위해 결혼 생활 밖의 비-재생산 섹스를 선택하는 남성과 여성)을 촉진함으로써 여성의 성적 대상화 문제에 기여했다고 주장한다.[11][13] "자유로운" 사랑을 조장함으로써 남자의 일생 동안 성 파트너 평균 수를 증가시켰고, 이것은 차례차례 일부 남성에게 섹스에 대한 가치를 감산시켰으며, 다시 여자를 대상화하는 남자에게 여자를 평가절하 하게끔 만들었다는 것이다.틀:Dubious 한 연구에 따르면 여성이 대상화 된 미디어 콘텐츠에 노출된 남성은 여성이 대상화되지 않은 콘텐츠에 노출된 남성보다 그러한 행동을 받아들이는 경향이 더 컸다.[14] 대상화가 여성과 사회 전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는 학문적 논쟁의 주제인데, 어떤 이들은 여성의 사회 진출의 중요성에 대한 여학생들의 이해가 소녀기(womanhood)에 두려움, 수치심혐오감 등의 감정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하며[15], 다른 이들은 젊은 여성들이 특히 권력, 존경, 가 외모에서 파생될 수 있다고 배우기 때문에 대상화에 특히 취약하다고 말한다.[16]

로버트 젠슨(Robert Jensen), 수트 할리(Sut Jhally) 같은 프로-페미니스트 문화 비평가들은 대중 매체와 광고가 상품 및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해 여성의 대상화를 조장한다고 비난한다.[5][17][18]

여성의 대상화에 대한 반대는 최근 들어 일어난 현상이 아니다. 예를 들어 프랑스 계몽주의에서는 여성의 유방이 단지 관능적 유혹에 불과한지 또는 자연의 선물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Alexandre Guillaume Mouslier de Moissy의 1771년作 희곡 "진정한 어머니(La Vraie Mère)"에서 주인공은 자신을 단순히 성적 만족을 위한 대상으로 취급하는 남편을 책망하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당신의 감각이 너무나 둔한 까닭에, 이 자연의 존경할만한 보물은 단순한 꾸밈으로서 여성의 가슴을 장식할 운명인가?" [19]

성적 대상화에 관한 문제는 1970년대, 페미니스트 그룹에 의해 처음으로 문제화되었다. 그 이후로 여성의 성적 대상화라는 현상에 대한 문제화는 삶의 모든 수준에서 급격히 증가하였고, 성적 대상화는 여성에게, 특히 정치 영역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했다고 주장해왔다. 한편, 새로운 형태의 3세대 페미니스트 그룹은 여성의 대상화를 역으로 여성의 몸을 권력의 한 형태로 사용하는 기회로 삼기도 했다.[20]

여성의 자기 대상화

아리엘 레비(Ariel Levy)는 노출이 심한 옷을 입고 음란한 행동을 하는 등 성을 표출하는 서양 여성들이 스스로를 대상화함으로써 여성의 자기 대상화에 관여한다고 주장한다. 일부 여성들은 그러한 행동을 역량 강화(empowerment)의 한 형태로 보고 있지만, 레비는 이런 행위가 자신이 "경마 문화"라고 부르는, 여성들에게 주입된 자기 가치에 대한 육체적 기준이나 성에 대한 강조로 향했다고 주장한다.[21]

레비는 자신의 저서 여성 쇼비니스트 피그(Women Chauvinist Pigs : Women and Raunch Culture)에서 이러한 현상에 대해 논의한다. 레비는 걸스 곤 와일드 비디오 시리즈의 촬영자를 찾아가 현대 미국의 성적 문화는 여성을 대상화 할뿐만 아니라 여성이 자신을 대상화하도록 장려한다고 주장했다. [22] 레비는 오늘날의 문화에서 젖은 티셔츠 경연 대회에 참가하거나 외설적인 포르노그래피을 보는 것을 편안하게 여긴다는 생각이 여성주의의 힘의 상징이 되었다고 적었다.

남자에 대한 성적 대상화

매체

성적 대상화에 대한 견해


대상화 이론

자기 대상화

여자, 여자아이, 그리고 자기대상화

심리적 결과

우울증의 원인

참고

각주

  1. 장, 필화; 김, 효정; 마, 정윤 (2015). “여성주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시론”. 《여성학논집》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32 (1): 189–230. 
  2. Barry, Kathleen (1984). 〈Pornography: the ideoloy of cultural sadism〉. Barry, Kathleen. 《Female sexual slavery》. New York London: NYU Press. 247쪽. ISBN 978-0-8147-1069-2. 
  3. LeMoncheck, Linda (1997). 〈I only do it for the money: pornography, prostitution, and the business of sex〉. LeMoncheck, Linda. 《Loose women, lecherous men a feminist philosophy of sex》. New York,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33쪽. ISBN 978-0-19-510556-8. 
  4. Szymanski, Dawn M.; Moffitt, Lauren B.; Carr, Erika R. (January 2011). “Sexual objectification of women: advances to theory and research” (PDF). 《The Counseling Psychologist》 (Sage) 39 (1): 6–38. doi:10.1177/0011000010378402. 
  5. Jhally, Sut (director) (1997). 《Dreamworlds II: desire, sex, power in music》 (Documentary). USA: Media Education Foundation. 
  6. Yeung, Peter (December 2014). “The female artists reclaiming their bodies”. 《Dazed》 (Dazed Digital). It is through this prism of patriarchal control that much exploitation of women has been enacted: commonly phallocentric portraiture has been used to permeate the rest of society...The fetishisation of womens’ bodies and their regular reduction to breasts is something that New York artist Cindy Hinant is acutely aware of. 
  7. “[매거진M] 2015 한국영화 여성들, 안녕하십니까”. 중앙일보. 2015년 12월 17일. 
  8. “그 많던 女배우는 다 어디로 갔나”. 조선일보. 2017년 5월 19일. 
  9. “남성은 능력, 여성은 3사이즈가 중요? 모두의경영 성차별 표현 논란”. 디스이즈게임. 2015년 8월 20일. 
  10. '모두의 경영' 성차별 논란…여비서는 기쁨조?”. 지디넷. 2015년 8월 26일. 
  11. Fredrickson, Barbara L.; Roberts, Tomi-Ann (June 1997). “Objectification theory: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risk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Sage) 21 (2): 173–206. doi:10.1111/j.1471-6402.1997.tb00108.x. 
  12. http://search.proquest.com/docview/1855654799
  13. Abrams, Dominic; Hogg, Michael A. (2004). 〈Collective identity: group membership and self-conception〉. Brewer, Marilynn B.; Hewstone, Miles. 《Self and social identity》. Perspectives on Social Psychology. Malden, Massachusetts: Blackwell Publishing. 167쪽. ISBN 978-1-4051-1069-3. 
  14. Galdi, Silvia; Maass, Anne; Cadinu, Mara (September 2014). “Objectifying media: their effect on gender role norms and sexual harassment of wome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Sage) 38 (3): 393–413. doi:10.1177/0361684313515185. 
  15. Lee, Janet (September 1994). “Menarche and the (hetero)sexualization of the female body”. 《Gender & Society》 (Sage) 8 (3): 343–362. doi:10.1177/089124394008003004. 
  16.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2010). Report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executive summary (PD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보고서) (Washington, DC). 2007년 2월 19일에 확인함. 
  17. Jensen, Robert (1997). 〈Using pornography〉. Dines, Gail; Jensen, Robert; Russo, Ann. 《Pornography: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inequality》. New York,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33쪽. ISBN 978-0-19-510556-8. 
  18. Frith, Katherine; Shaw, Ping; Cheng, Hong (March 2005). “The construction of beauty: a cross-cultural analysis of women's magazine advertising”. 《Journal of Communication》 (Wiley) 55 (1): 56–70. doi:10.1111/j.1460-2466.2005.tb02658.x. 
  19. Schama, Simon (1989). 〈The cultural construction of a citizen: II Casting roles: children of nature〉. Schama, Simon. 《Citizens: a chronicle of the French Revolution》. New York: Knopf Distributed by Random House. ISBN 978-0-394-55948-3. 
  20. Heldman, Caroline (August 2011). “Sexualizing Sarah Palin: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of the sexual objectification of female candidates”. 《Sex Roles》 (Springer) 65 (3): 156–164. doi:10.1007/s11199-011-9984-6. 
  21. Levy, Ariel (2006). 《Female chauvinist pigs: women and the rise of raunch culture》. London: Pocket Books. ISBN 978-1-4165-2638-4. 
  22. Dougary, Ginny (2007년 9월 25일). “Yes we are bovvered”. 《The Times》 (London). 2010년 5월 23일에 확인함. 

더 읽기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