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트럼 (함수해석학):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math>\mathbb K\in\{\mathbb R,\mathbb C\}</math>가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라고 하자. <math>\mathbb K</math>-[[바나흐 공간]] <math>V</math> 위의 [[유계 작용소]] <math>T\colon V\to V</math>가 주어졌다고 하자. 임의의 수 <math>\lambda\in\mathbb K</math>에 대하여, 만약 <math>T-\lambda\colon V\to V</math>가 [[전단사 함수]]라면, <math>\lambda</math>를 <math>T</math>의 '''분해 집합'''({{llang|en|resolvent set}}) <math>\rho(T)\subseteq\mathbb K</math>에 속한다고 한다. 반대로, 분해 집합의 여집합, 즉 <math>T-\lambda</math>가 [[전단사 함수]]가 아닌 <math>\lambda\in\mathbb K</math>의 집합을 <math>T</math>의 '''스펙트럼'''
<math>\mathbb K\in\{\mathbb R,\mathbb C\}</math>가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라고 하자. <math>\mathbb K</math>-[[바나흐 공간]] <math>V</math> 위의 [[유계 작용소]] <math>T\colon V\to V</math>가 주어졌다고 하자. 임의의 수 <math>\lambda\in\mathbb K</math>에 대하여, 만약 <math>T-\lambda\colon V\to V</math>가 [[전단사 함수]]라면, <math>\lambda</math>를 <math>T</math>의 '''분해 집합'''({{llang|en|resolvent set}}) <math>\rho(T)\subseteq\mathbb K</math>에 속한다고 한다. 반대로, 분해 집합의 여집합, 즉 <math>T-\lambda</math>가 [[전단사 함수]]가 아닌 <math>\lambda\in\mathbb K</math>의 집합을 <math>T</math>의 '''스펙트럼'''
:<math>\sigma(T)=\mathbb K\setminus\rho(T)</math>
:<math>\sigma(T)=\mathbb K\setminus\rho(T)</math>
이라고 한다.
이라고 한다.<ref name="Rudin"/>{{rp|104, Definition 4.17(c)}}


일반적으로, [[열린 사상 정리 (함수해석학)|열린 사상 정리]]에 따라서 [[바나흐 공간]] 사이의 [[전단사]] [[유계 작용소]]의 [[역함수]]는 [[유계 작용소]]이다. 즉, [[유계 작용소]] <math>T</math>의 분해 집합의 원소 <math>\lambda\in\rho(T)</math>에 대하여, <math>\lambda-T</math>의 역함수
일반적으로, [[열린 사상 정리 (함수해석학)|열린 사상 정리]]에 따라서 [[바나흐 공간]] 사이의 [[전단사]] [[유계 작용소]]의 [[역함수]]는 [[유계 작용소]]이다. 즉, [[유계 작용소]] <math>T</math>의 분해 집합의 원소 <math>\lambda\in\rho(T)</math>에 대하여, <math>\lambda-T</math>의 역함수
28번째 줄: 28번째 줄:
무한 차원 [[복소수 바나흐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의 스펙트럼은 [[공집합]]이 될 수 없다. (반면, 유한 또는 무한 차원 [[실수 바나흐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의 스펙트럼은 공집합일 수 있다.)
무한 차원 [[복소수 바나흐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의 스펙트럼은 [[공집합]]이 될 수 없다. (반면, 유한 또는 무한 차원 [[실수 바나흐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의 스펙트럼은 공집합일 수 있다.)


<math>\mathbb K</math>-[[바나흐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 <math>T</math>의 스펙트럼은 항상 <math>\mathbb K</math> 속의 [[유계 집합|유계]] [[닫힌집합]]이다. 특히
<math>\mathbb K</math>-[[바나흐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 <math>T</math>의 스펙트럼은 항상 <math>\mathbb K</math> 속의 [[콤팩트 집합]]이다.<ref name="Rudin">{{서적 인용 | last=Rudin | first=Walter | authorlink=월터 루딘 | 제목=Functional analysis | publisher=McGraw-Hill | isbn=978-0-07-054236-5 | 날짜=1991 | zbl=0867.46001 | 총서=International Series in Pure and Applied Mathematics|판=2판 |언어=en}}</ref>{{rp|253, Theorem 10.13(a)}} 특히
:<math>|\lambda|\le\|T\|\qquad(\forall\lambda\in\sigma(T))</math>
:<math>|\lambda|\le\|T\|\qquad(\forall\lambda\in\sigma(T))</math>
이다. 여기서 <math>\|T\|</math>는 [[작용소 노름]]이다.
이다. 여기서 <math>\|T\|</math>는 [[작용소 노름]]이다.
43번째 줄: 43번째 줄:
=== 정규 작용소 ===
=== 정규 작용소 ===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의 [[정규 작용소]]의 잔여 스펙트럼은 [[공집합]]이다.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의 [[정규 작용소]]의 잔여 스펙트럼은 [[공집합]]이다.

=== 분해식 ===
<math>\mathbb K</math>-[[바나흐 공간]] <math>V</math> 위의 [[유계 작용소]] <math>T\colon V\to V</math> 및 <math>z\in\mathbb K\setminus\sigma(T)</math>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유계 작용소
:<math>\frac1{z-T}\colon V\to V</math>
를 <math>T</math>의 <math>z</math>에서의 '''분해식'''(分解式, {{llang|en|resolvent}})이라고 한다.

만약 <math>\|T\|<|z|</math>라면, 다음과 같은 '''노이만 급수'''(Neumann級數, {{llang|en|Neumann series}})가 [[작용소 노름]]에서 수렴한다.
:<math>\frac1{z-T}=\frac1z\sum_{n=0}^\infty (T/z)^n</math>


== 예 ==
== 예 ==
142번째 줄: 150번째 줄:
이다. 즉, <math>\lambda-T_f</math>의 [[상 (수학)|상]]은 항상 [[조밀 집합]]이다.
이다. 즉, <math>\lambda-T_f</math>의 [[상 (수학)|상]]은 항상 [[조밀 집합]]이다.
</div></div>
</div></div>

== 역사 ==
유계 작용소의 분해식의 노이만 급수는 [[에리크 이바르 프레드홀름]]이 1903년에 최초로 사용하였다.<ref>{{저널 인용|first=E. I. |last=Fredholm |저자고리=에리크 이바르 프레드홀름 | title=Sur une classe d’equations fonctionnelles |journal=Acta Mathematica |volume=27 |날짜=1903 |pages=365–390 |doi=10.1007/bf02421317|언어=fr}}</ref>

"스펙트럼"({{llang|de|Spektrum|슈펙트룸}})과 "분해식"({{llang|de|Resolvente|레졸벤테}})이라는 용어는 [[다비트 힐베르트]]가 도입하였다. "스펙트럼"이라는 용어는 작용소의 스펙트럼을 물리학의 [[스펙트럼|원자 스펙트럼]] 등에 비유한 것이다.


== 응용 ==
== 응용 ==
163번째 줄: 176번째 줄: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각주}}
* Rudin, W. Functional Analysis, 2nd ed. New York: McGraw-Hill, 1991.
* Dales et al., Introduction to Banach Algebras, Operators, and Harmonic Analysis, ISBN 0-521-53584-0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171번째 줄: 183번째 줄:
* {{매스월드|id=OperatorSpectrum|title=Operator spectrum}}
* {{매스월드|id=OperatorSpectrum|title=Operator spectrum}}
* {{nlab|id=spectrum of an operator|title=Spectrum of an operator}}
* {{nlab|id=spectrum of an operator|title=Spectrum of an operator}}
* {{웹 인용|url=http://mathoverflow.net/questions/9125/what-is-the-origin-of-the-term-spectrum-in-mathematics|제목=What is the origin of the term “spectrum” in mathematics?|출판사=Math Overflow|언어=en}}


[[분류:스펙트럼 이론]]
[[분류:스펙트럼 이론]]

2017년 1월 29일 (일) 11:28 판

함수해석학에서, 유계 작용소스펙트럼(영어: spectrum)은 그 고윳값의 집합을 일반화한 개념이다.

정의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라고 하자. -바나흐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 가 주어졌다고 하자. 임의의 수 에 대하여, 만약 전단사 함수라면, 분해 집합(영어: resolvent set) 에 속한다고 한다. 반대로, 분해 집합의 여집합, 즉 전단사 함수가 아닌 의 집합을 스펙트럼

이라고 한다.[1]:104, Definition 4.17(c)

일반적으로, 열린 사상 정리에 따라서 바나흐 공간 사이의 전단사 유계 작용소역함수유계 작용소이다. 즉, 유계 작용소 의 분해 집합의 원소 에 대하여, 의 역함수

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유계 작용소를 이룬다.

스펙트럼의 분해

바나흐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 의 스펙트럼 는 다음과 같은 분리합집합으로 분해된다.

이 성분들은 각각

  • 점 스펙트럼(點spectrum, 영어: point spectrum)
  • 잔여 스펙트럼(殘餘spectrum, 영어: residual spectrum)
  • 연속 스펙트럼(連續spectrum, 영어: continuous spectrum)

이며, 다음과 같다.

어떤 수 에 대하여 이려면 전단사 함수이지 않아야 한다. 즉, 다음 "문제"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발생해야 한다.

  • 단사 함수가 아니다. 이러한 들의 집합을 점 스펙트럼 라고 한다. 이 경우 고윳값이며, 고유 벡터 가 존재한다.
  • 단사 함수이지만, 전사 함수가 아니다.
    • 단사 함수이지만 그 조밀 집합이 아니다. 이러한 들의 집합을 잔여 스펙트럼 라고 한다.
    • 단사 함수이며 그 조밀 집합이지만 전사 함수가 아니다. 이러한 들의 집합을 연속 스펙트럼 라고 한다. 이 경우, 조밀 집합 위에 정의되는, 비유계 작용소이다.

성질

무한 차원 복소수 바나흐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의 스펙트럼은 공집합이 될 수 없다. (반면, 유한 또는 무한 차원 실수 바나흐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의 스펙트럼은 공집합일 수 있다.)

-바나흐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 의 스펙트럼은 항상 속의 콤팩트 집합이다.[1]:253, Theorem 10.13(a) 특히

이다. 여기서 작용소 노름이다.

유한 차원

가 유한 차원 -바나흐 공간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선형 변환 단사 함수이거나 전사 함수인 것은 전단사 함수인 것과 동치이다 (차원 정리). 이에 따라, 유한 차원 -바나흐 공간 위의 작용소의 경우 오직 점 스펙트럼만이 존재하고, 잔여·연속 스펙트럼은 존재하지 않는다.

콤팩트 작용소

복소수 바나흐 공간 위의 콤팩트 작용소 의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

  • 연속 스펙트럼은 항상 공집합 또는 이다.
  • 잔여 스펙트럼은 항상 공집합 또는 이다.

즉, 스펙트럼은 0을 제외하고는 모두 점 스펙트럼(고윳값)으로 구성된다.

정규 작용소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의 정규 작용소의 잔여 스펙트럼은 공집합이다.

분해식

-바나흐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유계 작용소

에서의 분해식(分解式, 영어: resolvent)이라고 한다.

만약 라면, 다음과 같은 노이만 급수(Neumann級數, 영어: Neumann series)가 작용소 노름에서 수렴한다.

행렬

실수 행렬

위의 작용소로서 스펙트럼이 공집합이다. 그러나 이는 위의 작용소로서 점 스펙트럼 를 갖는다.

시프트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사상

유계 작용소이며, 사실 콤팩트 작용소이다. 고윳값을 가지지 않지만, 전사 함수가 아니므로 의 스펙트럼은 이다. 이 경우, 은 사실 조밀 집합조차 아니므로, 이 0은 잔여 스펙트럼에 속한다.

곱셈

임의의 에 대하여, 측도 공간 위의 르베그 공간

-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그 위의 가측 함수

유계 집합이라고 하자. (물론, 어떤 영집합 에 대하여 의 상이 유계 집합인 것만으로도 족하다.) 여기서 보렐 시그마 대수이다. 그렇다면, 점별 곱셈으로 정의되는 작용소

-유계 작용소이다.

이제, 집합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그렇다면, 이다.

증명 ():

임의의 가 주어졌다고 하자. 즉, 정의에 따라

인 양의 실수 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가측 함수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이다. 따라서 이다.

증명 (, ):

임의의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가측 함수의 열

을 정의하자. (여기서 지시 함수이다.)

그렇다면,

이므로, 특히

이다. 이에 따라, 의 역함수는 유계 작용소일 수 없다.

증명 (, ):

임의의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가측 함수의 열

을 정의하자. (여기서 지시 함수이다.)

그렇다면,

이므로, 특히

이다. 이에 따라, 의 역함수는 유계 작용소일 수 없다.

그 스펙트럼의 분해는 다음과 같다.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이며, 만약 그렇지 않다면 이다. 특히, 는 잔여 스펙트럼을 갖지 않는다.

증명 ():

지시 함수 고유 벡터이다.

증명 ():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가측 함수의 열을 정의하자.

여기서 지시 함수이다.

그렇다면, 지배 수렴 정리에 따라

이다. 즉, 은 항상 조밀 집합이다.

역사

유계 작용소의 분해식의 노이만 급수는 에리크 이바르 프레드홀름이 1903년에 최초로 사용하였다.[2]

"스펙트럼"(독일어: Spektrum 슈펙트룸[*])과 "분해식"(독일어: Resolvente 레졸벤테[*])이라는 용어는 다비트 힐베르트가 도입하였다. "스펙트럼"이라는 용어는 작용소의 스펙트럼을 물리학의 원자 스펙트럼 등에 비유한 것이다.

응용

양자역학에서,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에 매끄러운 함수인 퍼텐셜

이 주어졌으며,

이라고 하자. 이 경우, 해밀토니언 연산자

조밀 집합 위에 정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임의의 양이 아닌 실수 성분을 갖는 복소수

에 대하여 유계 작용소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정규 작용소이며, 따라서 잔여 스펙트럼을 갖지 않는다. 또한, 그 스펙트럼은 항상

의 꼴이다. 이에 따라, 의 "스펙트럼"으로 여길 수 있다.

의 경우, 의 점 스펙트럼은 대략 퍼텐셜에 대한 속박 상태를 나타내고, 연속 스펙트럼은 자유 상태를 나타낸다.

참고 문헌

  1. Rudin, Walter (1991). 《Functional analysis》. International Series in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영어) 2판. McGraw-Hill. ISBN 978-0-07-054236-5. Zbl 0867.46001. 
  2. Fredholm, E. I. (1903). “Sur une classe d’equations fonctionnelles”. 《Acta Mathematica》 (프랑스어) 27: 365–390. doi:10.1007/bf02421317.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