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보렐 집합: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 정의 ==
== 정의 ==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 <math>(X,\mathcal U)</math>의 '''보렐 시그마 대수'''({{llang|en|Borel sigma-algebra}}) <math>\mathcal B(X)</math>는 [[열린집합]]들의 집합 <math>\mathcal U</math>를 포함하는 최소의 [[시그마 대수]]이다.<ref name="Kechris"/>{{rp|68, §11.A}} <math>X</math>의 '''보렐 집합'''은 그 보렐 시그마 대수의 원소이다. 즉, [[열린집합]]으로부터 가산 번의 합집합·교집합·차집합 연산을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는 집합이다.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 <math>(X,\mathcal U)</math>의 '''보렐 시그마 대수'''({{llang|en|Borel sigma-algebra}}) <math>\mathcal B(X)</math>는 [[열린집합]]들의 집합 <math>\mathcal U</math>를 포함하는 최소의 [[시그마 대수]]이다.<ref name="Kechris"/>{{rp|68, §11.A}}<ref>{{서적 인용 | last=Srivastava| first=Shashi Mohan | title=A course on Borel sets | 날짜=1991 | publisher=Springer-Verlag | isbn=978-3-642-85475-0|총서=Graduate Texts in Mathematics|doi=10.1007/978-3-642-85473-6|권=180|zbl=0903.28001|언어=en}}</ref>{{rp|83, §3.1}}
<math>X</math>의 '''보렐 집합'''은 그 보렐 시그마 대수의 원소이다. 즉, [[열린집합]]으로부터 가산 번의 합집합·교집합·차집합 연산을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는 집합이다.


'''보렐 측도'''(Borel測度, {{llang|en|Borel measure}})는 보렐 시그마 대수에 대하여 정의되는 [[측도]]이다.
'''보렐 측도'''(Borel測度, {{llang|en|Borel measure}})는 보렐 시그마 대수에 대하여 정의되는 [[측도]]이다.
90번째 줄: 91번째 줄:
* {{서적 인용|이름=Richard|성=Dudley|제목=Real Analysis and probability|출판사=Wadsworth, Brooks and Cole|날짜=1989|언어=en}}
* {{서적 인용|이름=Richard|성=Dudley|제목=Real Analysis and probability|출판사=Wadsworth, Brooks and Cole|날짜=1989|언어=en}}
* {{서적 인용|이름=Halsey|성=Royden|제목=Real Analysis|출판사=Prentice Hall|날짜=1988|언어=en}}
* {{서적 인용|이름=Halsey|성=Royden|제목=Real Analysis|출판사=Prentice Hall|날짜=1988|언어=en}}
* {{서적 인용 | last=Srivastava| first=S.M. | title=A Course on Borel Sets | year=1991 | publisher=Springer-Verlag | isbn=0-387-98412-7|언어=en}}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2016년 8월 27일 (토) 06:46 판

측도론에서, 보렐 집합(Borel集合, 영어: Borel set)은 열린집합들로부터 가산합집합 · 가산 번의 교집합 · 차집합 연산을 통해 만들 수 있는 집합을 가리킨다.

정의

위상 공간 보렐 시그마 대수(영어: Borel sigma-algebra) 열린집합들의 집합 를 포함하는 최소의 시그마 대수이다.[1]:68, §11.A[2]:83, §3.1 보렐 집합은 그 보렐 시그마 대수의 원소이다. 즉, 열린집합으로부터 가산 번의 합집합·교집합·차집합 연산을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는 집합이다.

보렐 측도(Borel測度, 영어: Borel measure)는 보렐 시그마 대수에 대하여 정의되는 측도이다.

보렐 위계

보렐 시그마 대수 초한 귀납법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임의의 순서수 위상 공간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보렐 위계(영어: Borel hierarchy)를 정의하자.[1]:68, §II.B

(모든 열린집합들의 집합)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 임의의 순서수 에 대하여,

즉,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존재한다.[1]:69, §11.B

여기서 를 의미한다.

보렐 위계의 일부 단계의 원소들은 다음과 같은 특별한 이름을 갖는다.

보렐 위계의 단계 이름
열리고 닫힌 집합들의 집합
열린집합들의 집합
닫힌집합들의 집합
Fσ 집합(Fσ集合, 영어: Fσ set)들의 집합
Gδ 집합(Gδ集合, 영어: Gδ set)들의 집합

성질

두 위상 공간 사이의 연속 함수 는 (보렐 시그마 대수에 대하여) 가측 함수이다. 즉, 보렐 집합 원상 은 보렐 집합이다. (반면, 만약 일 경우, 르베그 가측 집합연속 함수에 대한 원상은 일반적으로 르베그 가측 집합이 아니다.) 보렐 집합의 연속 함수에 대한 은 보렐 집합이 아닐 수 있다. 만약 폴란드 공간이라면, 보렐 집합의 상은 해석적 집합이다.

보렐 집합의 수

비가산 폴란드 공간의 보렐 집합의 수는 이다. (모든 비가산 폴란드 공간은 보렐 측도 공간으로서 실수선 와 동형이다.)

이는 보렐 시그마 대수의 초한 귀납법 작도로서 보일 수 있다. 즉, 이며, 초한귀납법의 각 단계에서

이므로 기수는 을 초과하지 않는다. 반면, 실수의 르베그 가측 집합의 수는

이다. 이는 크기가 이며 측도가 0인 보렐 집합(예를 들어, 칸토어 집합)이 존재하며, 측도가 0인 보렐 집합의 모든 부분집합은 르베그 가측 집합이기 때문이다.

루진 분리 정리

루진 분리 정리(Лузин分離定理, 영어: Lusin’s separation theorem)에 따르면, 폴란드 공간 (과 동형인 가측 공간) 속의 두 서로소 집합 에 대하여, 만약 해석적 집합이라면, 이자 인 보렐 집합 가 존재한다.[1]:87, Theorem 14.7

수학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집합은 보렐 집합이다. 실수선 에서 존재하는, 보렐 집합이 아닌 집합의 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반면, 르베그 가측 집합이 아닌 집합의 존재는 선택 공리를 필요로 하므로, 구체적인 예를 들 수 없다.)

집합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무리수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 의 연분수 표현
의 계수 가운데, 인 부분 수열 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는 보렐 집합이 아닌 해석적 집합이다.

역사

보렐 집합의 개념은 에밀 보렐이 1898년에 도입하였다.[3]

"Fσ 집합"이라는 용어에서, F는 프랑스어: fermé 페르메[*](닫힌집합)의 머리글자이며, σ는 프랑스어: somme [*](합집합)의 머리글자에 해당하는 그리스 문자이다. 마찬가지로, "Gδ 집합"이라는 용어에서, G는 독일어: Gebiet 게비트[*](근방)의 머리글자이며, δ는 독일어: Durschnitt 두르슈니트[*](교집합)의 머리글자에 해당하는 그리스 문자이다.

루진 분리 정리는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루진이 1927년에 증명하였다.[4]

참고 문헌

  1. Kechris, Alexander Sotirios (1995). 《Classical descriptive set theo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56.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12-4190-4. ISBN 978-1-4612-8692-9. ISSN 0072-5285. Zbl 0819.04002. 
  2. Srivastava, Shashi Mohan (1991). 《A course on Borel set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80. Springer-Verlag. doi:10.1007/978-3-642-85473-6. ISBN 978-3-642-85475-0. Zbl 0903.28001. 
  3. Borel, Émile (1898). 《Leçons sur la theorie des fonctions》 (프랑스어). 파리: Gauthier-Villars et fils. JFM 29.0336.01. 
  4. Lusin, Nicolas (1927). “Sur les ensembles analytiques” (PDF). 《Fundamenta Mathematicae》 (프랑스어) 10: 1–95. JFM 53.0171.05. 
  • Dudley, Richard (1989). 《Real Analysis and probability》 (영어). Wadsworth, Brooks and Cole. 
  • Royden, Halsey (1988). 《Real Analysis》 (영어). Prentice Hall. 

바깥 고리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