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켈러 다양체: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 (토론 | 기여)
잔글 봇:인터위키 링크 1 개가 위키데이터Q3082377 항목으로 옮겨짐. 이동 완료.; 예쁘게 바꿈
편집 요약 없음
12번째 줄: 12번째 줄:


<math>4N</math>차원 초켈러 다양체의 [[홀로노미]]는 <math>\operatorname{USp}(4N)</math>의 부분군이다. 이에 따라, 모든 초켈러 다양체는 [[칼라비-야우 다양체]]이자 [[사원수 켈러 다양체]]({{lang|en|quaternion-Kähler manifold}})이다. ([[칼라비-야우 다양체]]는 홀로노미가 <math>\operatorname{SU}(N)</math>의 부분군인 경우고, 사원수 켈러 다양체는 홀로노미가 <math>\operatorname{USp}(4N)\times\operatorname{USp}(4)</math>인 경우다. <math>\operatorname{USp}(4N)\subset\operatorname{SU}(4N)</math>이다.)
<math>4N</math>차원 초켈러 다양체의 [[홀로노미]]는 <math>\operatorname{USp}(4N)</math>의 부분군이다. 이에 따라, 모든 초켈러 다양체는 [[칼라비-야우 다양체]]이자 [[사원수 켈러 다양체]]({{lang|en|quaternion-Kähler manifold}})이다. ([[칼라비-야우 다양체]]는 홀로노미가 <math>\operatorname{SU}(N)</math>의 부분군인 경우고, 사원수 켈러 다양체는 홀로노미가 <math>\operatorname{USp}(4N)\times\operatorname{USp}(4)</math>인 경우다. <math>\operatorname{USp}(4N)\subset\operatorname{SU}(4N)</math>이다.)

초켈러 다양체는 8개의 초전하(4차원에서 <math>\mathcal N=2</math>)를 가진 [[초대칭 게이지 이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중력이 없을 경우, 16개의 초전하를 가진 [[비선형 시그마 모형]]의 모듈러스 공간은 초켈러 다양체를 이룬다.<ref>{{저널 인용|제목=
Hyperkähler metrics and supersymmetry|이름=Nigel J.|성=Hitchin|공저자=A. Karlhede, U. Lindström, M. Roček|mr=0877637|zbl=0612.53043|저널=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권=108|호=4|날짜=1987-12|쪽=535–589|url=http://projecteuclid.org/euclid.cmp/1104116624|언어고리=en|bibcode=1987CMaPh.108..535H|doi=10.1007/BF01214418|issn=0010-3616}}</ref><ref>{{저널 인용|제목=Higgs Branch, HyperK ahler quotient and duality in SUSY N=2 Yang–Mills theories|arxiv=hep-th/9607058}}</ref><ref>

== 참고 문헌 ==
{{주석}}


{{토막글|수학}}
{{토막글|수학}}

2013년 7월 14일 (일) 10:00 판

미분기하학에서, 초켈러 다양체(hyper-Kähler manifold)는 그 접공간사원수의 좌표를 가진 공간의 구조를 가지는 미분다양체이다.

정의

미분다양체 위의 초켈러 구조(hyper-Kähler structure)는 세 개의 서로 선형독립 복소 구조 리만 계량 로 이루어진다. 계량에 대하여, , , 각각이 켈러 구조를 이루어야 한다.

이에 따라, 임의의 을 만족하는 세 실수 가 주어지면, 도 마찬가지로 복수 구조를 이룬다. 즉, 2차원 의 각 점에 복소 구조가 대응하게 된다.

초켈러 다양체는 초켈러 구조를 갖춘 미분다양체이다.

성질

초켈러 다양체의 (실수) 차원은 항상 4의 배수이다. 이는 켈러 다양체의 실수 차원이 항상 2의 배수인 것과 마찬가지다.

차원 초켈러 다양체의 홀로노미의 부분군이다. 이에 따라, 모든 초켈러 다양체는 칼라비-야우 다양체이자 사원수 켈러 다양체(quaternion-Kähler manifold)이다. (칼라비-야우 다양체는 홀로노미가 의 부분군인 경우고, 사원수 켈러 다양체는 홀로노미가 인 경우다. 이다.)

초켈러 다양체는 8개의 초전하(4차원에서 )를 가진 초대칭 게이지 이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중력이 없을 경우, 16개의 초전하를 가진 비선형 시그마 모형의 모듈러스 공간은 초켈러 다양체를 이룬다.[1][2]<ref>

참고 문헌

  1. Hitchin, Nigel J.; A. Karlhede, U. Lindström, M. Roček (1987년 12월). “Hyperkähler metrics and supersymmetry”.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108 (4): 535–589. Bibcode:1987CMaPh.108..535H. doi:10.1007/BF01214418. ISSN 0010-3616. MR 0877637. Zbl 0612.53043. 
  2. “Higgs Branch, HyperK ahler quotient and duality in SUSY N=2 Yang–Mills theories”. arXiv:hep-th/9607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