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모래여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티베트모래여우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과: 개과
속: 여우속
종: 티베트모래여우
학명
Vulpes ferrilata
Hodgson, 1842
티베트모래여우의 분포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티베트모래여우(학명Vulpes ferrilata)는 네팔, 중국, 인도티베트고원에 서식하는 고유종 여우속 동물이다. 티베트여우 혹은 모래여우라고도 불리나, 티베트고원에 서식하는 코사크여우(Vulpes corsac)도 같은 이름으로 불린다. 밀도높은 모피를 지녔으며, 그 등쪽 털은 회색, 아고티 혹은 모래색이며, 옆구리는 금속색이다. 주된 사냥감은 우는토끼와 그외 소형 포유류이다. 일부일처 생활을 하며 암컷은 한번에 두마리에서 다섯마리 새끼를 낳는다.

개체수나 분포지역등에 대한 신뢰 가능한 정보는 아직 없다. 티베트모래여우는 그 전체 자생지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수가 모피사냥의 대상이 된다. 넓은 분포지역과 위협적이지 않은 상황을 감안하여 IUCN는 이 종을 비위험군(Least concern)으로 분류하였다.

특징[편집]

외형[편집]

티베트모래여우의 몸집에 대한 값은 문헌마다 그 수치가 일치하지 않는다. 샬러와 긴스베르크에 따르면 수컷의 경우 7마리 개체를 조사한 결과, 머리-몸통길이는 최소 56cm 최대 65cm 중간값 58.7cm, 꼬리길이는 26cm에서 29cm, 중간값 27.9cm, 몸무게 3.8kg~4.6kg, 중간값 4.1kg이었으며, 암컷의 경우 8마리 개체를 조사한 결과 머리-몸통길이 49cm~61cm, 중간값 55.4cm, 꼬리길이 22~26cm, 중간값 23.9cm, 몸무게 3.0~4.1kg, 중간값 3.5kg이었다.[2] 중국 칭하이성쓰촨성에서 2003년과 2007년 사이 잡힌 티베트모래여우의 신체수치는 상기된 값보다 12%~25% 더 크다. 13마리 수컷개체는 평균 67.3cm의 머리-몸통길이를 지녔으며, 이중 6마리는 평균 4.9kg이었다. 6마리 암컷개체의 평균 머리-몸통 길이는 62.8cm였으며 평균 3.9kg이 나갔다.[3] 이 두 개의 연구는 공통적으로 수컷개체가 암컷개체보다 더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티베트모래여우는 코사크여우(Vulpes corsac)보다 더 크나, 코사크여우는 티베트모래여우보다 비교적 더 긴 다리와 큰 귀를 지녔다. 폭이 좁은 주둥이는 티베트모래여우의 특징이다.

밀도 높고 북슬북슬한 모피는 주둥이와 머리, 목덜미, 등 위로는 창백한 회색, 아고티 혹은 모래색이며 한줄기 노란 갈색의 줄무늬가 등 위에 있다. 뺨과 옆구리, 골반까지는 회색이다. 배쪽은 더 밝은색이다. 앞다리는 붉은빛 도는 갈색에서 노란색 사이이며, 목과 앞다리 사이에는 회색에서 검은색 사이의 줄무늬가 수직으로 나있다. 꼬리의 겉 털은 회색이며 안쪽 털은 붉은빛이 도는 노란색이다. 그 위쪽으로는 어두운 색의 줄무늬가 나있고 꼬리끝은 하얗다.꼬리윗샘은 다른 개과 동물과 같이 꼬리털위의 어두운 줄무늬선에서 찾을 수 있다. 귀의 길이는 46mm에서 70mm사이이다. 귀의 안쪽은 하얗고 반대쪽은 몸통의 색깔과 동일하다.

티베트모래여우는 코사크여우나 북극여우(Alopex lagopus)처럼 추운 지방에 적응한 다른 여우들처럼 추위에 견딜 수 있도록 피부와 모피를 적응시켰다. 땀구멍은 최대 지름 2µm이며, 털은 그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뛰어난 보온효과를 가진다.

골격구조[편집]

티베트모래여우의 두개골은 길쭉하고 상악골과 하악골은 매우 폭이 좁다. 두개골의 길이는 70.5mm~80.7mm 길이의 주둥이 길이를 포함하여 149.0mm에서 최대 157.8mm이다. 윗니의 치열은 63.5mm에서 50.3mm 길이이다. 주둥이 끝의 간악골에서 후두돌기의 끝까지의 길이는 132.5mm에서 149.0mm이다.[4] 광대뼈 부위에서의 두개골 너비는 65mm~85.9mm, 뒤쪽 어금니 부위에서의 너비는 37.9mm~39.9mm이다.

티베트모래여우는 상악 절반에 세 개의 앞니, 하나의 송곳니, 네 개의 앞어금니 그리고 두개의 어금니를, 하악 절반에는 세 개의 앞니, 하나의 송곳니, 네 개의 앞어금니, 그리고 세 개의 어금니를 가지고 있다(상,하악 전체 이빨 수 도합 42개). 어금니는 단단하게 고정이 되어있으며 주둥이가 긴 탓에 그 사이의 간격이 넓다. 송곳니는 다른 여우와 비교하여 매우 길며 날카롭다.

다른 모든 개과동물과같이 티베트모래여우도 음경골을 갖추고 있다. 이 음경골은 42.2mm에서 48.7mm 길이이다[5]

유전자[편집]

티베트모래여우의 염색체(n)은 18 개로 매우 간결하다. 배수성을 고려하면 상동염색체(2n)는 36개 이고, 고로 모든 세포마다 총 36개의 상동염색체를 갖추고있다. 이 중 1번부터 15번 염색체는 중심동원체염색체이고, 16번에서 18번까지는 말단동원체염색체이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개과의 계통 분류이다.[6][7][8]

개과
회색여우속

섬여우

회색여우

큰귀여우

너구리

여우속

검은꼬리모래여우

케이프여우

페넥여우

아프간여우

스위프트여우

키트여우

북극여우

붉은여우

흰꼬리모래여우

코사크여우

벵골여우

덤불개

갈기늑대

게잡이여우

작은귀개

포클랜드늑대

티베트모래여우

남아메리카여우속

회백색여우

다윈여우

팜파스여우

남아메리카회색여우

페루사막여우

안데스여우

가로줄무늬자칼

검은등자칼

아프리카들개

승냥이

황금자칼

에티오피아늑대

아프리카황금늑대

코요테

회색늑대

(회색늑대의 아종)

붉은늑대(코요테와 회색늑대의 혼종?)

분포지역과 서식지[편집]

티베트모래여우는 티베트고원스텝지역과 반사막지역에 서식한다. 분포지역은 인도라다크지역 북부와 네팔 북부에서부터 티베트 자치구중국신장 위구르 자치구, 칭하이성, 간쑤성, 쓰촨성, 원난 성까지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부탄 북부에도 퍼진 것으로 추정된다.

티베트모래여우의 서식지는 해발 2500m에서 5200m 높이까지 이른다. 바위와 돌이 많은 산악지역 혹은 초원의 반건조 내지 건조 스탭기후 혹은 반사막지역에 주로 서식한다. 서식지의 온도는 여름에는 섭씨 30도에, 겨울에는 섭씨 영하 40도까지 이른다. 대부분의 강수는 여름에 있으며, 연간강수량은 100ml에서 500ml이다.

생활[편집]

티베트모래여우는 홀로 생활하거나 짝을 이루어 산다. 티베트모래여우는 주행성인데, 이는 그들의 먹잇감 역시 낮 동안 굴 밖으로 나오는 것에서 기인한다. 티베트모래여우의 개체수는 전적으로 먹잇감의 여유 개체수의 영향을 받는다. 개체수 조사 당시, 칭하이 성 내의 367km구간에서는 15 마리가, 스취 현 내의 11km구간에서는 8 마리가 집계된 반면, 북서 티베트의 먹잇감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1848km 구간 당 고작 다섯 마리의 티베트모래여우가 집계되었다.

티베트모래여우는 자신의 영역을 만들지 않는다. 다수의 티베트모래여우 짝이 가까이 모여살며 같은 구역에서 사냥하는 것은 흔하다. 의사소통은 대개 단거리에서 짧은 울음소리로 이루어진다. 장거리 의사소통은 관찰되지 않았다. 여우굴은 주로 뜨거운 햇볕이 드는 남향을 피해 바위 밑이나 완만한 경사를 가진 초원의 나무 아래 지어지는 경우가 많다. 먹잇감의 분포밀도와 식수원과의 거리도 보금자리 위치선정의 한 요소이다. 티베트모래여우는 자신의 굴에 대부분 하나의 입구를 만들지만, 여러개의 입구를 만들 수도 있다. 약 90개의 여우굴을 조사한 결과 입구는 평균너비 17cm, 평균높이 24.9cm였으며, 제 1 통로는 평균길이 170cm였다.

사냥[편집]

티베트모래여우의 주요 사냥감은 고원우는토끼(Ochotona curzoniae)이다. 검은입술우는토끼는 지역에 따라 전체 사냥감의 95%를 담당하기도 한다. 이 우는토끼는 생태계의 중요 종 중 하나로 여겨지며, 티베트모래여우나 붉은여우(Vulpes vulpes), 고산족제비(Mustela altaica) 혹은 마눌(Felis manul)등의 고원지대의 거의 모든 소형 포식자들의 주요 사냥감이다. 지역에 따라 중국조코(Myospalax fontanierii), 히말라야마멋(Marmota himalayana) 그리고 양털멧토끼(Lepus oiostolus) 및 그 외 알티콜라속(Alticola), 비단털쥐과(Cricetulus), 소나무쥐속(Pitymys)의 소형 설치류등이 주요 먹잇감이 된다. 칭하이 성에서는 우는토끼를 사냥하는 큰곰(Ursus arctos)을 티베트모래여우가 따라다니는 것을 관찰 할 수 있는데, 이 티베트모래여우는 큰곰이 토끼굴을 파헤치는 도중 탈출을 감행하는 우는토끼들을 잡아먹는다. 이때 티베트모래여우는 큰곰이 굴을 파헤치기 전까지는 최소 30m 거리를 두고, 굴을 파헤치기 시작하면 2m까지 접근한다.

티베트모래여우는 해변종다리(Eremophila alpestris), 티베트눈방울새(Montifringilla adamsi), 티베트자고새(Perdix hodgsoniae), 티베트땅딱따구리(Pseudopodoces humilis)등의 새 들과, Phrynocephalus theobaldi따위의 도마뱀, 그리고 곤충도 잡아먹는다. 티베트모래여우는 그 외에 늑대나 곰이 남긴 찌꺼기를 먹는 시체포식자이기도 하며 풀이나 열매등 식물성 먹이도 먹는다. 티베트영양(Pantholops hodgsonii), 티베트푸른양(Pseudois nayaur), 흰배사향노루(Moschus leucogaster)등이 주로 남겨진다.

번식[편집]

대체로 2월 말에서 3월까지가 짝짓기철로 추정된다. 5월에 50~60일 간의 임신기간을 거쳐 2마리에서 5마리의 새끼들이 태어난다. 그러나 칭하이 성에서의 한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에 새끼들이 1월 말에서 2월 초에 관찰이 되었는데, 이 때는 12월에 짝짓기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새끼는 60g에서 120g까지 무게가 나가며 굴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몇 주가 지나서야 굴 밖을 나서는데, 젖을 때는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다.

전술된 칭하이 성에서의 연구에서는 2월 초에 어린여우가 한 수컷여우와 함께 굴 밖을 나서서 돌아다니는 것과, 그 수컷여우가 어린여우를 위해 우는토끼를 사냥해주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어린여우는 5월에는 이미 부모몸집의 3/4에 이르렀으며 6월 초가 지난 후에는 독립하였다.

천적과 기생충[편집]

늑대 그리고 가 티베트모래여우의 대표적인 천적이다.

기생충로는 여우촌충(Echinococcus multilocularis)및 그 가까운 친족인 Echinococcus shiquicus가 있으며, 스촨 성의 여우들의 경우 에키노코쿠스속 기생충에 감염된 여우는 약 59%에 이른다. 에키노코쿠스속 기생충은 우는토끼 따위의 먹잇감에서 전염된다. Echinococcus shiquicus라는 학명이 붙은 기식자는 2005/2006년에 처음으로 검은입술우는토끼에게서 발견되었으며 아울러 티베트모래여우에게도 발견되었다.

티베트모래여우에 기생하는 외부기생충으로는 Callopsylla dolabrisOropsylla silantiewi라는 두 종의 진드기를 들 수 있다.

분류[편집]

티베트 라싸 시의 한 문헌에 따르면 티베트모래여우는 1842년 브라이언 호튼 호지슨에 의해 최초로 학계에 소개되었다. 그는 티베트모래여우를 Vulpes ferrilatus라 명명(학명)하였고, 여우속에 분류하였다. 학명의 ferrilatus는 '철'을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 'ferrum'과 '너비'를 의미하는 'latum'에서 따왔으며 금속회색의 옆구리를 묘사한다. 1937년 이 학명은 레지날드 이네스 포콕에 의해 Vulpes ferilata로 수정된다(라틴어 문법에 의거하여). 1884년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프르졔발스키는 티베트 북부의 한 여우를 Canis eckloni라 명명하였으나, 이 여우는 실은 Vulpes ferrilata과 같은 여우였다.

티베트모래여우는 오늘날 다른 11종의 여우와 함께 여우속으로 분류되었다. 형태학과 분자생물학적 정보들에 의하면 티베트모래여우는 코사크여우(Vulpes corsac)과 친족관계로 하나의 분류군을 구성하며, 이 분류군은 붉은여우(Vulpes vulpes)와 흰꼬리모래여우(Vulpes rueppelli)의 분류군과 함께 묶여진다.

티베트모래여우는 고유종이며, 아종을 갖지 않는다. 이 종의 화석은 발굴되지 않았다.

상태[편집]

티베트모래여우는 다른 여우들과 같이 서식지 전역에서 모피사냥을 당하지만 그 수는 적다. 사냥은 주로 보금자리 근처에 설치되는 함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런 방식으로 스취 현에서는 매해 약 900 마리의 여우들이 사냥당한다. 모피는 대개 모피모자의 생산에 사용된다. 그러나 붉은여우의 모피가 티베트모래여우나 코사크여우의 모피보다 더 고급으로 선호된다. 티베트모래여우 생존의 주된 위협으로는 독약을 통한 우는토끼 개체수 감소를 꾀하는 정부정책이다. 티베트모래여우가 독에 중독되는 것은 자주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이나 주요 먹잇감의 감소 내지 말살은 티베트모래여우의 존립을 심각하게 위협한다.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에 티베트모래여우는 언급되지 않았다. 중국에는 많은 보호구역이 있으나 적은 수의 여우만이 보호될 뿐이다. 이 보호구역에는 Arjin Shan(Arjin Shan, 45.000 km2), 시엔차(Xianza, 40.000 km2), 티베트고원(Changtang, 약 334.000 km2), 호실(Hoh Xil, 약 45.000 km2) 그리고 Sanjiangyuan (Sanjiangyuan, 약 152.000 km2) 지역이 속해있다. 이 보호구역 외의 여우들은 보호받지 못한다.

1989년에 추산된 매우 신뢰성이 떨어지는 추측값(전 세계 37000 마리 개체로 추산)외에는 서식규모에 대한 정확한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넓은 분포지역과 위협적이지 않은 상황을 감안하여 IUCN는 이 종을 비위험군(Least concern)으로 분류하였다.

인터넷 문화[편집]

외부 동영상
다큐멘터리에서 티베트모래여우가 등장하는 장면, 유튜브

BBC의 다큐멘터리 《살아있는 지구》 중 〈대평원〉 편에서 티베트모래여우가 포착되었다. 내레이터 데이비드 아텐보로는 이 여우를 “묘하게 생긴 티베트여우입니다. 새앙토끼의 천적이죠”라고 소개했다. 이 여우의 표정이 매우 미묘하여 인구에 회자되었고, 인터넷 밈화되었다. 한국어권에서는 "티베트여우", 서구에서는 "심각한 여우(serious fox)" 라고 부른다.

각주[편집]

  1. “Vulpes ferrilat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3월 22일에 확인함. 
  2. G. B. Schaller & J. R. Ginsberg 2004: Tibetan Fox – Vulpes ferrilata (Hodgson, 1842). In: Sillero-Zubiri, Claudio; Hoffman, Michael; MacDonald, David W. (2004): Canids: Foxes, Wolves, Jackals and Dogs – 2004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IUCN/SSC Canid Specialist Group, ISBN 2-8317-0786-2: S. 148–151 Online Archived 2006년 7월 8일 - 웨이백 머신. (Die von Clark et al. 2008 in Mammalian Species. 821 mit Verweis auf diese Quelle angegebenen Werte sind falsch.)
  3. 한 살로 추정되는 암컷 한 마리의 몸길이는 57.5cm였으며 3.5kg이 나갔다.
  4. 해부학 지식의 결핍으로 용어의 번역이 불분명함. Zwischenkieferbein(Praemaxillare)은 간악골로 번역하였으며, Hinterhauptshöcker는 후두돌기로 번역하였다.
  5. 동물학 지식의 결여로 완역하지 못하였음.(원문 : dieser ist 42,2 bis 48,7 Millimeter lang und mit Ausnahme des zur Penisspitze gerichteten Kopfendes längs eingekerbt.)
  6. Lindblad-Toh, Kerstin; Wade, Claire M; Mikkelsen, Tarjei S.; Karlsson, Elinor K.; Jaffe, David B.; Kamal, Michael; Clamp, Michele; Chang, Jean L.; Kulbokas, Edward J.; Zody, Michael C.; Mauceli, Evan; Xie, Xiaohui; Breen, Matthew; Wayne, Robert K.; Ostrander, Elaine A.; Ponting, Chris P.; Galibert, Francis; Smith, Douglas R.; Dejong, Pieter J.; Kirkness, Ewen; Alvarez, Pablo; Biagi, Tara; Brockman, William; Butler, Jonathan; Chin, Chee-Wye; Cook, April; Cuff, James; Daly, Mark J.; Decaprio, David; 외. (2005). “Genome sequence, comparative analysis and haplotype structure of the domestic dog”. 《Nature》 438 (7069): 803 in 803–19. doi:10.1038/nature04338. PMID 16341006. 
  7. Nyakatura, K.; 외. (2012). “Updat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arnivora (Mammalia): a new species-level supertree complete with divergence time estimates”. 《BMC Biology》 10 (12). doi:10.1186/1741-7007-10-12. 
  8. Koepfli, Klaus-Peter; Pollinger, John; Godinho, Raquel; Robinson, Jacqueline; Lea, Amanda; Hendricks, Sarah; Schweizer, Rena M.; Thalmann, Olaf; Silva, Pedro; Fan, Zhenxin; Yurchenko, Andrey A.; Dobrynin, Pavel; Makunin, Alexey; Cahill, James A.; Shapiro, Beth; Álvares, Francisco; Brito, José C.; Geffen, Eli; Leonard, Jennifer A.; Helgen, Kristofer M.; Johnson, Warren E.; o'Brien, Stephen J.; Van Valkenburgh, Blaire; Wayne, Robert K. (2015). “Genome-wide Evidence Reveals that African and Eurasian Golden Jackals Are Distinct Species”. 《Current Biology》 25 (16): 2158–65. doi:10.1016/j.cub.2015.06.060. PMID 26234211.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