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토론:비디오 게임: 두 판 사이의 차이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0년 전 (Djm03178님) - 주제: 비디오 게임 분류 이동 (1차)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409번째 줄: 409번째 줄:


--<span style="font-family:맑은 고딕">'''[[사용자:관인생략|<span style="color:#6666FF">관인생략</span>]] <span style="font-size:75%">[[사용자토론:관인생략|<span style="color:#669966">토론</span>]]·[[특수기능:Contributions/관인생략|<span style="color:#996699">기여</span>]]</span></span>''' 2013년 8월 31일 (토) 15:46 (KST)
--<span style="font-family:맑은 고딕">'''[[사용자:관인생략|<span style="color:#6666FF">관인생략</span>]] <span style="font-size:75%">[[사용자토론:관인생략|<span style="color:#669966">토론</span>]]·[[특수기능:Contributions/관인생략|<span style="color:#996699">기여</span>]]</span></span>''' 2013년 8월 31일 (토) 15:46 (KST)
: 위의 목록의 경우 봇으로 처리할 수는 없는 일인가요? 아래의 목록의 경우 분류 뿐만 아니라 문서 내에서 기술된 표현 모두까지 일컫는 것이라면, 굳이 수정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정의 자체에 심각하게 기댈 필요 없이 문맥으로 파악될 수 있는 것들이니까요. --[[사용자:Djm03178|도약]] ([[사용자토론:Djm03178|대화하기]]) [[특수기능:기여/Djm03178|<span style="color:green"> '하늘 높이 도약하라' </span>]] 2013년 9월 1일 (일) 09:49 (KST)

2013년 9월 1일 (일) 09:49 판

보존되었으니 새로운 마음으로 글 하나 씁니다.

방금 사용자:Djm03178/게임 문서 편집자들께 라는 수필을 써 봤습니다. 여러분들도 신규 사용자 분들이나 위키백과를 잘 모르는 분들께 좋은 기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1년 12월 25일 (일) 16:39 (KST)답변

위키백과 이름공간으로 옮겨놓는게 어떨까요.--Leedors (토론) 2012년 2월 3일 (금) 20:25 (KST)답변
조금 더 다듬은 후에 생각해 볼게요 ㅎ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2년 2월 3일 (금) 20:46 (KST)답변

컴퓨터·비디오 게임 목록

기존에 담겨있는 내용이 말이 안되서 문서의 목적 자체를 뒤엎었습니다. 앞으로 이 프로젝트의 목록은 이 문서의 빨간 링크를 채우는 것과 또 그 안의 빨간 링크를 채우는 것이 되겠네요. :)--Leedors (토론) 2012년 2월 3일 (금) 20:22 (KST)답변

프로젝트 문서를 정리합시다.

현재 위키프로젝트:컴퓨터·비디오 게임 문서는 정리가 필요합니다. 우선적으로 눈에 띄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문서들인데, 솔직히 말하면 저는 이 문단에 대해 어떠한 기준도 없을 뿐더러, 저보다 훨씬 더 필수적으로 느껴지는 문서들도 목록에 없고, 이미 만들어져 많이 발전한 문서들은 굳이 나열해 놓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저는 이렇게 바꾸기를 제안합니다.

  1. '반드시 필요한 문서들' 문단을 '필요한 문서들'로 이름을 바꾸어, 이 기준은 아직 문서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고, 만들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는 문서들을 나열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필요한 문서 목록을 힘들여 만드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용자들이 위키백과의 게임 문서들을 찾다가 필요한 것이 보이면 자발적으로 하나씩 추가하고, 이 목록을 본 다른 사용자들이 하나씩 문서들을 만들어 나가는 것입니다.
  2. '편집 요청' 문단도 만들어, 아직 토막글 수준이거나 정리되지 않은 문서들을 적어놓아, 더 좋은 문서가 되도록 다른 사용자들에게 편집을 요청하는 것입니다.

위의 두 문단을 개설하고, 또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자주 이 프로젝트 문서를 수정하여 항상 목록이 활성화되고 유동성이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른 분들은 현재 프로젝트 문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고, 또 어떻게 수정되어야 할 지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2년 4월 13일 (금) 23:34 (KST)답변

괜찮아 보이긴 한데, 홍보할 수단이 많지 않아서 활성화 여부는 정말 미지수네요 ;ㅁ; 일단 그냥 방치해 두는 것보다는 뭐라도 실행해 보는 게 낫긴 하지만요. --더위먹은민츠 (토론) 2012년 4월 14일 (토) 00:12 (KST)답변
문단이 붙어있어서 처리했습니다. --北京 (토론·기여·메일) 2012년 4월 14일 (토) 09:39 (KST)답변
제가 폰으로 편집했더니 실수했었네요.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2년 4월 14일 (토) 13:31 (KST)답변
한국어 위키백과에 프로젝트를 적극 활용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으면 하네요... 영어판과 비교하자면, 거기는 같은 비디오 게임 프로젝트에서도 또 수없이 많은 작은 장르로 나뉘어 있고... 각각이 한국어판보다 수십 배 활성화 되어 있고... 프로젝트 잘 사용하면 협업하는 데 큰 도움이 될텐데 안타깝네요.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2년 4월 14일 (토) 00:18 (KST)답변

분류의 정리도 필요해보입니다. 분류:컴퓨터·비디오 게임의 하위 분류를 보면 "컴퓨터·비디오 게임", "비디오 게임", "게임" 등이 모두 사용되고 있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2년 5월 15일 (화) 15:24 (KST)답변

Publisher

몇년부터 한국어판에서 publisher가 어째서 발행사와 배급사로 나뉘게 되었는지 아시는 분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오프라인과 온라인 퍼블리싱을 왜 따로 부르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영화사처럼 극장(오프라인)에 배급하던 인터넷(온라인)에 배급하던 똑같이 "배급사"로 통일하는게 좋겠습니다. --NovemberBlue (토론) 2012년 5월 10일 (목) 18:48 (KST)답변

{{게임 정보}}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여기서는 publisher를 발행사, distributor를 배급사로 하고 있는데, 저도 어떤 차이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분명 다른 의미인 듯 합니다. 영어판을 참고해 보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2년 5월 10일 (목) 19:27 (KST)답변

미번역 문서

영어 위키백과의 비디오 게임 프로젝트에서 정한 중요도 상위권 문서 중 한국어 위키백과에 없는 문서 목록입니다. -- ChongDae (토론) 2012년 5월 15일 (화) 15:56 (KST)답변

Top-importance video game articles

  1. en:Atari, Inc.
  2. en:Ralph H. Baer
  3. en:Nolan Bushnell
  4. en:Early history of video games
  5. en:Electronic game
  6. en:Game controller
  7. en:History of online games
  8. en:History of video games
  9. en:History of video game consoles (first generation)
  10. en:History of video game consoles (second generation)
  11. en:History of video game consoles (third generation)
  12. en:History of video game consoles (fourth generation)
  13. en:History of video game consoles (fifth generation)
  14. en:History of video game consoles (sixth generation)
  15. en:History of video game consoles (seventh generation)
  16. en:Gabe Newell
  17. en:Platform game
  18. en:PlayStation
  19. en:Role-playing video game
  20. en:Yu Suzuki
  21. en:Video game development
  22. en:Video game genres
  23. en:Hiroshi Yamauchi

High-importance video game articles

  1. en:3D Realms
  2. en:4X
  3. en:Achievement (video gaming)
  4. en:Action role-playing game
  5. en:Adventure (Atari 2600)
  6. en:Akalabeth: World of Doom
  7. en:Amateur flight simulation
  8. en:Amstrad CPC
  9. en:Analog stick
  10. en:Minoru Arakawa
  11. en:Artificial intelligence (video games)
  12. en:Artillery game
  13. en:Asteroids (video game)
  14. en:Atari Corporation
  15. en:Atari Games
  16. en:Atari ST
  17. en:Balance (game design)
  18. en:Richard Bartle
  19. en:Battlezone (1980 video game)
  20. en:Seamus Blackley
  21. en:Broken Sword II: The Smoking Mirror
  22. en:Broken Sword: The Shadow of the Templars
  23. en:Broken Sword: The Sleeping Dragon
  24. en:Bungie
  25. en:Call of Duty
  26. en:Camping (gaming)
  27. en:Capture the flag
  28. en:Castlevania: Symphony of the Night
  29. en:Centipede (video game)
  30. en:Chaos: The Battle of Wizards
  31. en:Chrono Trigger
  32. en:City-building game
  33. en:Civilization (series)
  34. en:Codemasters
  35. en:Colossal Cave Adventure
  36. en:Combat flight simulator
  37. en:Command & Conquer: Red Alert
  38. en:Commander Keen
  39. en:Commodore International
  40. en:Commodore VIC-20
  41. en:Computer Space
  42. en:Console game
  43. en:Console manufacturer
  44. en:Continue (video gaming)
  45. en:Contra (video game series)
  46. en:Cooperative gameplay
  47. en:Crash Bandicoot (video game)
  48. en:Daikatana
  49. en:Defender (video game)
  50. en:Deus Ex
  51. en:Devil May Cry (video game)
  52. en:Diablo (series)
  53. en:Dialog tree
  54. en:Digital pet
  55. en:Dnd (video game)
  56. en:Donkey Kong
  57. en:Doom (series)
  58. en:Dragon Warrior
  59. en:Dragon's Lair
  60. en:DreamHack
  61. en:Driller (video game)
  62. en:Dungeon crawl
  63. en:Dungeon Master (video game)
  64. en:EA Canada
  65. en:Eidos Interactive
  66. en:Electronic Entertainment Expo 2010
  67. en:Elite (video game)
  68. en:Enix
  69. en:Epic Games
  70. en:Experience point
  71. en:Fallout (series)
  72. en:Fighting game
  73. en:Reggie Fils-Aime
  74. en:Final Fantasy VI
  75. en:Final Fantasy XIII
  76. en:First video game
  77. en:Kelton Flinn
  78. en:Fog of war
  79. en:Game Boy line
  80. en:Game physics
  81. en:Game testing
  82. en:Gauntlet (1985 video game)
  83. en:Genocide (online game)
  84. en:Ghosts'n Goblins (series)
  85. en:Ron Gilbert
  86. en:God game
  87. en:Golden age of arcade video games
  88. en:GoldenEye 007 (1997 video game)
  89. en:Government simulation game
  90. en:Gran Turismo (video game)
  91. en:Grand Theft Auto clone
  92. en:Graphic adventure game
  93. en:Grinding (video gaming)
  94. en:Guitar Hero
  95. en:Guitar Hero (video game)
  96. en:Half-Life (series)
  97. en:Halo (series)
  98. en:Halo 2
  99. en:Halo: Combat Evolved
  100. en:Handheld electronic game
  101. en:Havok (company)
  102. en:Trip Hawkins
  103. en:William Higinbotham
  104. en:History of Nintendo
  105. en:Yuji Horii
  106. en:I, Robot (video game)
  107. en:Keiji Inafune
  108. en:Infocom
  109. en:Infogrames Entertainment, SA
  110. en:Interactive entertainment
  111. en:Island of Kesmai
  112. en:Mark Jacobs (video game designer)
  113. en:David Jones (video game developer)
  114. en:King's Quest
  115. en:King's Quest: Quest for the Crown
  116. en:Knight Lore
  117. en:Lara Croft
  118. en:Pat Lawlor
  119. en:Light gun shooter
  120. en:Looking Glass Studios
  121. en:LPC (programming language)
  122. en:LPMud
  123. en:LucasArts adventure games
  124. en:M.U.L.E.
  125. en:Brad McQuaid
  126. en:Maniac Mansion
  127. en:Mario Kart
  128. en:Master Chief (Halo)
  129. en:Mastertronic
  130. en:Maze War
  131. en:Mega Man
  132. en:Mega Man (character)
  133. en:Mega Man (original series)
  134. en:Mega Man (video game)
  135. en:Mega Man 2
  136. en:Metal Gear (video game)
  137. en:Metal Gear Solid
  138. en:Metal Gear Solid 2: Sons of Liberty
  139. en:Metroid
  140. en:Metroid Prime
  141. en:Micromanagement (gameplay)
  142. en:Midway Games
  143. en:Mortal Kombat (1992 video game)
  144. en:MUD1
  145. en:Myst (series)
  146. en:Mystery House
  147. en:NBA Jam
  148. en:Neverwinter Nights (MMORPG)
  149. en:New World Computing
  150. en:Ninja Gaiden
  151. en:Nintendo Research & Development 1
  152. en:Pac-Man (character)
  153. en:Parallax scrolling
  154. en:Persistent world
  155. en:Pitfall!
  156. en:Pok?on (video game series)
  157. en:Pok?on Red and Blue
  158. en:Pole Position (video game)
  159. en:Populous
  160. en:Portrayal of women in video games
  161. en:Power-up
  162. en:Powergaming
  163. en:Prince of Persia (1989 video game)
  164. en:Punch-Out!! (NES)
  165. en:Quake (series)
  166. en:Random encounter
  167. en:Real-time tactics
  168. en:Resident Evil
  169. en:Resident Evil (video game)
  170. en:Resident Evil 4
  171. en:Rhythm game
  172. en:Ridge Racer (video game)
  173. en:Robotron: 2084
  174. en:Rogue (video game)
  175. en:David Rosen (business)
  176. en:Hironobu Sakaguchi
  177. en:Sam & Max Hit the Road
  178. en:Samus Aran
  179. en:Tim Schafer
  180. en:Sega AM2
  181. en:Shooter game
  182. en:Side-scrolling video game
  183. en:Silent Hunter
  184. en:Sim racing
  185. en:Space flight simulator game
  186. en:Space Quest: The Sarien Encounter
  187. en:Space simulator
  188. en:Warren Spector
  189. en:Square (company)
  190. en:Star Control II
  191. en:Star Wars (1983 video game)
  192. en:Star Wars computer and video games
  193. en:Starglider
  194. en:Starglider 2
  195. en:Stealth game
  196. en:Street Fighter II
  197. en:Sugoi Hebereke
  198. en:Super Smash Bros.
  199. en:Tactical role-playing game
  200. en:Tau Ceti (video game)
  201. en:Chris Taylor (game designer)
  202. en:The Bard's Tale (1985 video game)
  203. en:The Black Onyx
  204. en:The Secret of Monkey Island
  205. en:The Settlers (video game)
  206. en:The Sims (series)
  207. en:Tom Clancy's Rainbow Six
  208. en:Tom Clancy's Rainbow Six (video game)
  209. en:Tomb Raider
  210. en:Tomb Raider (1996 video game)
  211. en:Tony Hawk (series)
  212. en:Tony Hawk's Pro Skater
  213. en:Jack Tramiel
  214. en:TRS-80
  215. en:Turn-based tactics
  216. en:UFO: Enemy Unknown
  217. en:Ultima I: The First Age of Darkness
  218. en:Ultima IV: Quest of the Avatar
  219. en:Ultima Underworld: The Stygian Abyss
  220. en:Universal City Studios, Inc. v. Nintendo Co., Ltd.
  221. en:Unreal (series)
  222. en:Vehicle simulation game
  223. en:Video game arcade cabinet
  224. en:Video game culture
  225. en:Video game journalism
  226. en:Video game publisher
  227. en:Virgin Interactive
  228. en:Vivendi
  229. en:Wargame (video games)
  230. en:Ken Williams (game developer)
  231. en:Roberta Williams
  232. en:Wizardry: Proving Grounds of the Mad Overlord
  233. en:Greg Zeschuk
  234. en:Zork
  235. en:Zork I
  236. en:ZX Spectrum
다 적어주시다니 수고하셨습니다. :) 이 중 몇 개는 제가 생각이 나면 간단하게 번역을 해보겠습니다.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2년 5월 15일 (화) 17:14 (KST)답변

'테일즈런너' 문서편집 말인데요

이 글은 다른 분들이 쓰신 것에 비하면 아주 사소한 일이지만... 테일즈런너게임 캐릭터들은 몇몇을 제외하면 국적이 분명하지 않습니다. 편집한 내용으로 미루어 보아 대부분의 캐릭터들은 국적에 비슷한 종류의 이름이 많이 쓰이는 나라를 찾아 적은 것입니다. 그러나 국적을 밝힌 캐릭터들은 모두 실제 있는 나라에 국적을 두고 있네요. 어떤 분께서 국적불명인 캐릭터 몇몇을 동화나라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그런데 나르시스의 경우 출생국가가 동화나라인지는 공식 페이지에도 나와 있지 않습니다. (sui*******님께서 편집하신 걸(그분이 편집하시기 전까지는 국적이 대한민국이었습니다) 어떤 분이 바꿔놓았네요.) -이름으로 미루어 나르시스의 국적은 '그리스'로,카이,아벨(아벨의 경우는 공식 사이트에도 국적불명이라고 되어 있습니다.)하루는 동화나라에 대한 정의가 내려질 때까지 국적불명으로 현상유지를 하였으면 합니다. 여기에 대해서 반대 의견 있으신 분은 의견 남겨주세요. '동화나라'에 대해서는...사소한 일이나 테일즈런너 로고를 국기로 등록해도 되는 걸까요.--Hinaichigo06 (토론) 2012년 5월 21일 (월) 11:50 (KST)hinaichigo06답변


이미 IP주소나 아이디 같은거는 문서 역사에 다 들어가 있는데 굳이 숨길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

네,제가 그리스라고 바꿔놓았는데 로그인을 안 한 사용자가 바꿔놓았네요.저도 님 의견에 동의입니다.--Suiginto01 (토론) 2012년 5월 21일 (월) 16:11 (KST)suiginto01답변


테일즈런너 문서에 저 말고 관심을 기울이는 분들이 또 계시네요.저도 동의합니다.근데 그냥 게임 때문에 또 동화나라라는 정보를 만들 필요는 없을 듯.--Iayamj (토론)메리데이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따라 확인 가능한 내용이 아니라면 지워도 상관 없을 껍니다. 어쩌면 반달 가능성도 있을 수 있고요.--Leedors (토론) 2012년 5월 27일 (일) 21:45 (KST)답변

출처가 불명확한 내용은 지우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독자연구인 것 같네요.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2년 5월 27일 (일) 21:49 (KST)답변
독자연구는 앞으로 조심해야겠군요.테일즈런너 공식 가이드북에서 찾아본 결과 나르시스의 국적은 동화나라가 맞습니다.--Suiginto01 (토론) 2012년 5월 29일 (화) 15:03 (KST)답변

게임물등급위원회의 약칭

현재 {{게임 정보}}를 사용할 때 이용가 등급에 표시할 게임물등급위원회의 약칭을 정하는 일입니다. 지금까지는 'GRB'를 사용하는 것이 관례였고 실제로 현재까지는 대부분의 문서에서 GRB를 사용하고 있지만, 위키백과:사랑방/2012년 제23주#게임물등급위원회를 단축할 때에서처럼 GRB보다는 '게임위' 내지는 '게등위'가 좋겠다는 의견이 많은 것 같습니다. 덧붙여서, 이번에 총의를 모은다면 이 내용을 위키프로젝트:컴퓨터·비디오 게임/편집 지침에 반영하려고 합니다. 다른 많은 분들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2년 6월 8일 (금) 22:59 (KST)답변

의견 게임위가 더 났다고 생각합니다. 게등위는 게임과는 상관없는듯한 모양입니다. P.S.GRB도 괜찮은데///--Solpark66 (토론) 2012년 6월 12일 (화) 00:34 (KST)답변

저는 게임위보다는 게등위가 더 마음에 듭니다. 아무래도 게임위보다는 '게등위'라는 약자가 게임물등급위원회의 모든 글자가 포함하는 것 같아서요. --Emiya Mulzomdao (토론) 2012년 6월 16일 (토) 09:35 (KST)답변
역시 게등위를 선호합니다. 1) 게임위쪽보다는 게등위 쪽이 통용표기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게등위 또한 공식명칭이었었다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2) Emiya님의 주장 또한 일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Ellif (토론) 2012년 6월 16일 (토) 15:25 (KST)답변
질문 GRB를 더 알기 쉬운 한국어 약자표기로 하는건 GRB가 뭔지 모르는 분들에게도 좋습니다. 그럴 경우, 다른 등급 기관의 약자 표기는 그대로 영어라소 GRB만 한국어라서, GRB 홀로 튀는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럴 경우에 대비할 방법은 있나요? --NovemberBlue (토론) 2012년 6월 23일 (토) 20:49 (KST)답변

도쿄 게임쇼

매년 도쿄 게임쇼나 E3, 지스타가 열릴때 마다 각종 게임 웹진에서는 특설 페이지까지 마련하면서 소식을 전하고는 하는데 위키백과도 비슷한 기능을 추가하면 어떨까 합니다. 만약 예를 들어 도쿄 게임쇼 2012에 발표된 게임이다 하면 그 게임 문서에 분류:2012년 도쿄 게임쇼에서 발표된 게임 같은 분류를 붙여두는 거죠. 어떨까요.--Leedors (토론) 2012년 9월 23일 (일) 18:20 (KST)답변

분류보다는 문서 내용으로 써넣는게 공개 당시의 게임에 대한 비평이나 반응을 알 수 있는데 도움이 됩니다. 단순히 그 해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작품이라는 분류 만으로는 어떤 작품인지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지 않을 것 같아요. 오히려 목록 쪽이 기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어서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NovemberBlue (토론) 2012년 9월 23일 (일) 21:34 (KST)답변
구체적으로 어떤 식인지 예를 들어 주실 수 있으신가요.--Leedors (토론) 2012년 9월 24일 (월) 11:31 (KST)답변
발표된 해를 기준으로 한 분류는 이미 있습니다. 발표 장소에 따른 분류가 도움이 될까요? 그리고 같은 게임이 여러 게임쇼에서 발표되기도 하고요(개발 계획, 알파, 베타, 오픈베타, 출시 등 각 단계마다 발표되기도 하고요.) 구분이 필요하다면 분류 대신에 "2002년 도쿄 게임쇼"라는 문서를 따로 만들어, 이 문서에서 그해의 행사 내용과 주요 발표 작품을 나열하는게 어떨까요? -- ChongDae (토론) 2012년 9월 26일 (수) 10:00 (KST)답변
처음에도 말씀드렸지만, 매년 각종 전시회때 마다 각종 게임 웹진에서 특설 페이지를 따로 제작해 보도하는 모습을 주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어느 한 곳에서 발표된 게임들이 무엇무엇이 있는지 한꺼번에 보고 싶어하는 건 저뿐인가요? 같은 게임이 여러 게임쇼에서 발표되고 하는 문제는 처음으로 발표된 기준으로 하거나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Leedors (토론) 2012년 9월 26일 (수) 15:08 (KST)답변
괜찮은 예를 보여드려야 할텐데...도쿄 게임쇼에 출품된 게임에 대한 언급은 "Wii 버전이나 PS2 버전 등이 출품되었다."와 같은 언급이 많네요, 그래서 다른 게임쇼인 E3로 검색해보니, 메달 오브 아너가 2001년 최고 음향효과 상을 수상((en:Medal_of_Honor:_Allied_Assault#Reception_and_Awards)하거나 헤일로가 E3에서 궁정적인 평가를 얻었다 등의 정보는 많은데,(en:Halo: Combat Evolved#Development) 도쿄 게임쇼에서의 평가 내용은 보이질 않는군요. 종대님이 말씀하신 그런 종류의 문서라면 E3쪽은 en:History of E3가 있군요, 2009년부터는 분량이 커서 독립된 문서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여담이지만, 제가 매번 주장하는 목록 문서의 작성법은 저런 식으로 본문 연결해주고 어느 정도 설명을 덧붙여주는 방식(독자가 간략화된 설명를 읽고 해당 분야에 흥미가 생기면, 독립된 문서로 가서 더 자세하게 읽을 수 있게 편의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NovemberBlue (토론) 2012년 9월 26일 (수) 10:32 (KST)답변
예로 들어주신 en:History of E3과 같은 구성은 꽤 생각해볼만하네요. 문서 하나로 정리해서 보여주는 방식하고 분류를 넣는 방식, 둘 다 해보는 방법도 좋지 않을까요.--Leedors (토론) 2012년 9월 26일 (수) 15:11 (KST)답변
컨퍼런스에 출품되어 어떠한 품평을 받았는지 등의 정보가 없다면, 본문에 간략한 문장("xxx는 E3 2012에 출품되어 모습을 드러냈다")한줄 이상의 의미가 없지요. 분류가 그러한 모양새가 될 수 있습니다. --NovemberBlue (토론) 2012년 9월 26일 (수) 15:22 (KST)답변
다른 비슷한 분류에서도 그런 모양새가 나올 수도 있다고 봅니다. 예를 들자면 분류:대한민국의 섬이라는 분류가 붙으면 "xxx는 대한민국의 섬이다" 이상의 의미는 없다고 봅니다. 이거 말고도 다른 예는 얼마든지 있고요.--Leedors (토론) 2012년 9월 26일 (수) 20:47 (KST)답변
"분류:대한민국의 섬"에 분류된 섬은 대한민국의 국토로서 본토에서 떨어진 곳에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분류:2012년 도쿄 게임쇼에서 발표된 게임"의 경우는 단순히 도쿄 게임쇼에 출품되었을 뿐, 제작사, 배급사, 호평 여부, 수상 여부, 개발 플랫폼 등의 단서를 유추할 수 없는 분류입니다. 그래서 위의 종대님 말씀대로 해당 연도의 게임 전시회 문서를 만드는게 낫다고 판단했습니다. Altostratus님은 개인적으로 분류를 만들었으면 하시는것 같네요. --NovemberBlue (토론) 2012년 10월 9일 (화) 14:09 (KST)답변
처음에 분류'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만, NovemberBlue님과 토론하면서 분류도 좋겠고 하나의 문서로 색인시키는 것도 좋겠다고 생각이 바뀌었습니다.--Leedors (토론) 2012년 10월 10일 (수) 20:46 (KST)답변

이전에는 "최초 발표시"에만 분류를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어떻겠냐고 했었는데 최초 발표 뿐만이 아니라 그 외 새로운 추가 발표가 있을 시에도 넣는 게 어떨까 합니다. 단순 전시의 경우에는 제외하는 게 좋겠고요.--Leedors (토론) 2012년 12월 17일 (월) 15:31 (KST)답변

디제이맥스 시리즈 관련

관련 문서들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각 곡들의 난이도 목록이라거나 클럽 셋 목록이 쭉 나열되어 있는 모습을 보실 수 있는데 이는 위키프로젝트:컴퓨터·비디오 게임/편집 지침#게임방식 (게임플레이)이나 백:아님#안내서 등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과 맞지 않는 부분입니다. 특별한 일이 없다면 전부 지우겠습니다.--Leedors (토론) 2012년 11월 7일 (수) 19:58 (KST)답변

컴퓨터·비디오 게임?

컴퓨터·비디오 게임 관련 분야 문서 전반에 걸쳐 비디오 게임이라 하지 않고 컴퓨터·비디오 게임이라 늘려쓰고 있는데 비디오 게임이라 하면 보통 콘솔 게임에 한정해서 부르는 말로 자주 쓰이긴 하지만 토론:비디오 게임에서의 과거 토론을 참조해도 그렇고 영어판을 참조해도 그렇고 또 비디오를 참조해도 그렇고 비디오 게임은 텔레비전을 이용한 게임에 한정해서 부르는 말은 아닌 것 같습니다. en:PC game도 토론 문서를 보니 비디오 게임 프로젝트에 포함되어 있고요.

굳이 컴퓨터·비디오 게임으로 늘리고 불편하게 ·까지 넣어서 쓸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컴퓨터·비디오를 전부 비디오로 치환하는 게 어떨까요.--Leedors (토론) 2013년 6월 23일 (일) 10:21 (KST)답변

프로젝트 이름부터 바꿔야 겠네요. 간결하게 위키프로젝트:비디오 게임으로 바꾸는 것이 어떨까 생각합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6월굵은 글씨 23일 (일) 14:01 (KST)
좋습니다. Jytim (토론) 2013년 6월 23일 (일) 20:48 (KST)답변
프로젝트명 뿐 아니라 분류명도 복잡합니다. 위키프로젝트토론:컴퓨터·비디오 게임/보존1#프로젝트명, 분류명 정리에서도 이야기를 꺼낸 바 있고요. -- ChongDae (토론) 2013년 7월 3일 (수) 14:33 (KST)답변
그냥 다빼고 게임으로 하면 안되는 이유가 있나요? --이강철 (토론) 2013년 7월 25일 (목) 21:40 (KST)답변
그냥 '게임'이라 하면 지금과는 범위가 좀 달라져야 합니다. 스포츠 경기도 게임이고, 부루마블 같은 보드 게임이나 가위바위보도 모두 포함이 될 테니까요. 지금까지 이 프로젝트는 대략 '전자 오락'을 의미하는 것으로 쓰여왔습니다. 저도 '컴퓨터'는 생략하고 그냥 '비디오 게임'이라 하는 것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3년 7월 26일 (금) 00:01 (KST)답변
분류도 모두 '비디오 게임'으로 통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7월 26일 (금) 11:50 (KST)답변
저는 '전자오락'이 어떤지 싶습니다. 당장 이 프로젝트에 포함되는 디아블로 3나 닌텐도 ds시리즈는 비디오게임으로 보기 힘드니까요. 아니면 차라리 '게임'이라고 하는 게 나을 것 같습니다. 한국어권에서 게임은 그냥 전자오락을 의미하니까요. 축구나 야구 가지고 게임이라 널리 쓰진 않습니다. 보드게임은 말 그대로 위키프로젝트:보드게임에 포함하면 되겠지요.--Reiro (토론) 2013년 7월 31일 (수) 14:57 (KST)답변

examples of these are personal computers and video game consoles. These platforms range from large mainframe computers to small handheld devices.

어떠한 점에서 두 예시가 비디오 게임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인가요? 또한 한국어로 순화한 것이 전자오락이 되긴 하지만, 널리 쓰이는 것은 비디오 게임이고 게임물등급위원회와 같이 공식적인 기관도 게임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3년 7월 31일 (수) 21:45 (KST)답변
한국에서는 축구나 야구를 게임이라고는 하지 않지만 영어권에서는 'Soccer game', 'Baseball Game'이라고 하지 않나요.--Leedors (토론) 2013년 8월 1일 (목) 06:39 (KST)답변
(Djm03178) 그 문제제기 취소하겠습니다. 그럼 그냥 게임은 어떨까요?
(Leedors)영어권이라면 맞지만, 한국어권은 그렇지 않죠. 쉽게 생각합시다. 당장 유동인구 많은 디시에서 '게임'카테고리에 들어가는 갤러리에 무엇무엇이 있을까요?--Reiro (토론) 2013년 8월 1일 (목) 18:46 (KST)답변
게임 문서를 참조해주세요.--Leedors (토론) 2013년 8월 1일 (목) 20:23 (KST)답변
넓게 보면 게임 문서처럼 스포츠까지 포함할 수 있겠죠. 하지만 이 항목을 보더라도 '게임'은 대체로 전자오락을 일컫습니다. 스포츠나 윷놀이 등은 각각 위키프로젝트:스포츠/보드게임으로 커버할 수 있고요. 굳이 일반적이지 않은 사용례를 쓸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Reiro (토론) 2013년 8월 1일 (목) 20:49 (KST)답변
한국어권에서 '게임'이 대체로 '전자오락'을 의미한다라고는 해도, 그렇지 않은 예도 결코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많습니다. 그리고 위에 제시해주신 그러한 세부 프로젝트들이 있기 때문이라도 더더욱 '비디오 게임'으로 의미를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면, 윷놀이를 보드'게임'이라고 칭하고 있으면서 왜 '게임'에는 포함되지 않느냐와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3년 8월 1일 (목) 21:18 (KST)답변

완료 들머리, 틀들도 같이 이동하겠습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8월 31일 (토) 13:50 (KST)답변

비디오 게임 분류 이동 (1차)

프로젝트, 들머리, 틀, 문서들의 이동이 완료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1차적인 분류 이동이 필요합니다.

  • "컴퓨터·비디오 게임 XXXX"와 같이 단어가 포함된 분류들은 모두 "비디오 게임 XXXX"로 이동
  • 다음의 대분류들을 "XX별 비디오 게임"으로 이동 (하위분류 포함)
    • 장르별 게임‎
    • 나라별 게임‎
    • 사용한 엔진별 게임‎
    • 연도별 게임‎
      • "XX년 게임"도 "XX년 비디오 게임"으로 모두 이동"
    • 플랫폼별 게임‎
    • 회사별 게임‎
  • 게임의 XX(화) 작품을 모두 "비디오 게임의 XX(화) 작품"으로 이동

이 외에 언급하지 않은 분류중 분류:컴퓨터·비디오 게임에 속한 것들은 이동하지 말아주세요.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 게임 컨트롤러
  • 게임기
  • 게임 등급 심의
  • 프리웨어 게임‎
  • 게임 플레이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8월 31일 (토) 15:46 (KST)답변

위의 목록의 경우 봇으로 처리할 수는 없는 일인가요? 아래의 목록의 경우 분류 뿐만 아니라 문서 내에서 기술된 표현 모두까지 일컫는 것이라면, 굳이 수정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정의 자체에 심각하게 기댈 필요 없이 문맥으로 파악될 수 있는 것들이니까요.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3년 9월 1일 (일) 09:49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