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견미
임견미 | |
---|---|
한글 표기: | 임견미 |
한자 표기: | 林堅味 |
개정 로마자 표기: | Lim Gyeonmi |
매큔-라이샤워 표기: | Lim Kyŏnmi |
예일 표기: | Lim Kyenmi |
임견미(林堅味, ?~1388년 1월)는 고려 말의 무신이다. 본관은 평택이다. 공민왕 초 다루가치(達魯花赤)에 속하여 공을 세우고 중랑장에 등용되었다. 1361년(공민왕 10년) 홍건적 침입 때 나주도병마사(羅州道兵馬使)로서 왕을 호종(扈從)해 1등공신이 됐다.[1] 고려말 빈번했던 외적의 침입 때마다 군의 총책임을 맡았으며 특히 1368년 원나라 수도가 명나라 군에 의해 포위되는 등 중국 왕조 교체기의 고려 안보가 한 치 앞을 볼 수 없던 시점에 안주 순무사를 맡았다.[2] 이후 문하시중에 오르는 등 이인임과 권문세족의 편에서 권세를 누리다가 1388년 이성계에 의해 제거됐다.
생애
[편집]고려의 무신.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임언수(林彦修)의 아들이다. 부친 임언수가 군(君) 봉작을 받은 것은 임견미가 문하시중에 오른 후로 임견미의 직계가 권문세족이나 유력 호족 출신은 아니었다.[1] 공민왕 초 우다치(于達赤[3])에 들어가 공을 세우고 중랑장(中郞將-정5품 무관)에 등용됐다. 1362년(공민왕 11년) 홍건적이 침입했을 때 나주도병마사[4]로 왕을 호종해 1등 공신이 됐고 이듬해 대호군(大護軍[5]-종3품 무관)에 제수됐다. 밀직부사(정3품 문관)를 거쳐 진주도병마사가 됐다.[1]
그 뒤 다시 전리판서(典理判書[6]-정3품 문관)에 오르는 등 내외직을 두루 거쳐, 1368년(공민왕 17년) 주원장의 명군이 원나라의 연경을 포위해 고려 정세가 한 치 앞을 알 수 없자 북계(평안도) 순무사(巡撫使)로 군을 총괄했고, 1370년(공민왕 19년) 동녕부 토벌에 부원수로서 이성계와 함께 싸웠으며, 1374년(공민왕 23년)엔 서북면 도순문사(都巡問使[7])가 됐다. 제주에서 목호의 난이 일어나자 다시 부원수로서 토벌 작전을 수행했다.
1375년(우왕1년) 심양왕[8]이자 고려왕족인 터터부카가 고려왕위를 노리고 김의(金義), 김서(金湑) 등과 함께 고려 국경을 넘는다는 소식에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9])로 서경 상원수(上元帥)로 출진, 이에 대비했다.
1377년(우왕 3년) 왜구가 침입하자 문하평리(門下評理-종2품) 겸 동강부원수(東江副元帥) 겸 서해도조전원수(西海道助戰元帥)로 출전했다. 왜구 격퇴 후 평리(종2품 내직)[10]로 옮겼다. 당시 우왕은 내재추(內宰樞)를 통해 명을 내렸는데[11] 임견미·홍영통(洪永通)·조민수(曺敏修)가 임명돼 개경 왕궁에 상주했다.[1]
1380년(우왕 6년) 이인임과 함께 경복흥(慶復興) 세력을 제거하는 데 성공한 그는 1381년(우왕 7년) 마침내 문하시중(정1품)과 평원부원군(平原府院君)의 봉작을 받았다. 1383년(우왕 9년)에는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종1품)으로 정방(政房)[12] 도길부(都吉敷)·우현보(禹玄寶)·이존성(李存性)과 함께 정방제조를 겸임했다. 이인임과 함께 권력의 정점에 섰던 그는 '우왕이 호출해도 병을 핑계로 무시했으며 재차 부르자 가니 교만함이 이와 같았다.'고 기록돼 있다.[1] 같은 평리 출신으로 이인임의 일당인 홍영통과 조민수 역시 시중이었지만 임견미가 권력을 독점하고 휘둘러 시중의 고유권한인 인사권을 행사할 수 없었다.[1]
1388년(우왕 14년)까지 이인임·지윤·염국보·염흥방(廉興邦) 형제 등과 함께 매관매직 및 백성의 토지를 편취하고 겸병하는 등 전횡을 일삼다가 최영·이성계에게 제거됐다.[2]
평가
[편집]1449년(세종 31년)에 편찬하기 시작해 1451년(문종 1년)에 완성된 《고려사》의 기록에 의하면 "임견미는 시샘이 많고 음흉했으나 말재주가 있었으므로 사람들은 그를 당나라 숙종 때의 간신인 이임보(李林甫)에 견줬다. 이인임이 오랫동안 정권을 잡으면서 도당들을 도처에 심었는데 임견미는 바로 그 심복이었다. 이인임과 임견미 등 권문세족들이 사대부들을 싫어한 나머지 많은 이들을 궐에서 쫓아냈는데 염흥방도 쫓겨난 사대부 중 하나였다. 뒤에 임견미가 염흥방의 집안이 대대로 벼슬한 큰 집안(世家大族)이라 혼인을 청하자, 염흥방도 과거 쫓겨났던 일을 돌아보고 자기 몸을 보존코자 이인임과 임견미의 말이라면 무조건 따랐다.
염흥방의 의붓형인 이성림이 시중이 되니, 이로써 간신배들의 족속들이 양부(兩府)에 포진했으며 안팎의 요직(要職)은 모조리 그들과 친한 자들이 차지했다. 이들은 권력을 멋대로 휘두르면서 관작(官爵)을 팔고 남의 토지를 점탈했으며 산과 들을 죄다 차지하고 수많은 노비들을 빼앗았다. 심지어 왕릉·궁고(宮庫)·주현(州縣)·진(津)·역(驛)에 소속된 토지까지도 모조리 점탈해 버리자, 주인을 배반하고 도주한 노예와 부역을 피해 유랑하는 백성들이 그 아래로 구름 같이 모여들었는데, 안렴사(按廉使)와 수령(守令)도 감히 징발할 엄두를 못냈다. 이로 말미암아 백성은 유랑하고 도적떼가 마구 일어나 공사(公私) 간의 모든 재물이 고갈됐으므로 온 나라 사람들이 이를 갈았다. 이 때 "우리 최영과 이성계가 그들의 소행을 분하게 여긴 나머지 마음과 힘을 합쳐 우왕을 설득해 제거하니 나라 사람들이 크게 기뻐하며 길에서 노래하고 춤추었다." 라고 진술하고 있다.[2]
가족
[편집]임견미가 등장한 드라마
[편집]- 《개국》(KBS, 1983년~1983년, 배우:안병경)
- 《정도전》(KBS, 2014년~2014년, 배우:정호근)
- 《육룡이 나르샤》(SBS, 2015년~2016년, 배우:박혁권) - 각색한 인물 '길태미'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국역 고려사 열전 임견미 편
- ↑ 가 나 다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 우다치, 고려 후기에 몽고의 영향을 받아 설치된 군사조직이다. 어원은 옥전치(玉田赤)·우단치(于丹赤)와 마찬가지로 문지기를 뜻하는 몽고어의 차자(借字)이다. 국왕의 주위에서 근시(近侍), 숙위(宿衛)하는 업무를 담당하였으며, 쿠치[忽赤]·수쿠치[束古赤] 등과 더불어 애마(愛馬)로 불렸다. 고려가 몽고의 간섭을 받게 되는 충렬왕 이후 설치된 것이 분명하지만 자세한 시기는 알 수 없다. 주로 공민왕 때를 전후하여 기록에 나타난다. 조선 초에 애마를 혁파할 때 폐지되었다. -뽈 펠리오, 민현구역, ≪고려사≫에 실려있는 몽고어『백산학보』 4, 1968, 239쪽
- ↑ 고려의 최고 의사결정기관. 사(使)이상은 정3품이상이 맡았다.
- ↑ 대호군(大護軍):원래 대장군(大將軍)이었으나 공민왕때 이름을 바꿨다. 조선시대 중기까지 유지되었다.
- ↑ 고려 전기 상서육부(尙書六部)의 정3품 관직인 상서가 개칭된 것
- ↑ 원수(元帥)를 겸하면서 도(道)의 군사 업무를 총괄. 조선 시대의 병마절도사에 해당
- ↑ 원나라 때는 고려왕이 심양왕위를 함께 가지는 것이 통례로 심양왕은 보통 원나라에 인질로 잡혀있는 고려 세자가 맡았다. 최영이 요동을 노리고 이성계에게 군사를 줘 파병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였다.
- ↑ 1369년(공민왕 18년)에 설치한 문하부의 종2품 관직. 지문하사 또는 지하사라는 별칭이 있다.
- ↑ 평리((評理)-고려 조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 도첨의부(都僉議府). 문하부(門下府)의 종2품 벼슬. 고려 초 참지정사(參知政事)였다가 참리(參里)로 고치고 다시 1308년(충렬왕 34년)에 평리로 재개명.
- ↑ 조선 초 정부에서 간행한 고려사에는 우왕이 내재추를 만들었다고 기술돼 있는데 우왕 집권보다 10년도 더 전인 1363년(공민왕 12년) 공민왕이 오인택과 김달상을 내상(內相)이라 부른 기록과 1371년(공민왕 20년) 나주목사 이진수가 조정에 올린 상소문에 '내재추의 폐지'를 건의한 기록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그 전부터 존재하고 있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 ↑ 고려 말기 최고의사결정 기관.
참고 문헌
[편집]-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손홍렬(孫弘烈)
- 위화도 회군과 그 추진 세력에 대한 검토, 이화사학연구 제20·21집 (1993. 12) pp.53-78 1229-4683 KCI-강지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