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돔
에돔 | ||||
---|---|---|---|---|
𐤀𐤃𐤌 | ||||
| ||||
노란색이 에돔 왕국. | ||||
수도 | 페트라 | |||
정치 | ||||
정치체제 | 군주제 | |||
인문 | ||||
공용어 | 에돔어 | |||
데모님 | 에돔인 | |||
종교 | ||||
종교 | 가나안 다신교 |
에돔(에돔어: 𐤀𐤃𐤌, אֱדוֹם, 아카드어: 𒌑𒁺𒈠𒀀𒀀 우두마)은 현 이스라엘 남쪽 지방 사해 주변과 현 요르단의 산악 지방에서 살았던 고대 민족이다.[1] 구약성경에서 야곱의 형 에서를 에돔인들의 시조로 본다.
'에돔'이라는 말은 후기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에 레반트 지역과 관련된 여러 기록에서 언급된다. 기원전 1215년경의 이집트 파라오 세티 1세의 목록과 람세스 3세(재위 기원전 1186–1155년)의 원정 기록, 그리고 타나크가 에돔을 언급하는 고대 사료이다. 고고학계에서는 에돔 왕국이 기원전 13세기에서 8세기 사이에 번성했으며, 기원전 6세기에 바빌로니아인들에 의해 파괴되었음을 보였다. 에돔 왕국이 멸망한 후, 에돔 사람들은 동쪽에서 온 유목 민족들에 의해 서쪽으로 밀려나 남부 유다 지역으로 이동했으며, 그들 중에는 기원전 4세기에 역사적 기록에 처음 등장하고 기원전 2세기 초반까지 에돔 지역에 자신들의 왕국을 세운 아랍 나바테아인들이 포함되어 있었다.[2]
더 최근의 발굴조사에서는 에돔 사람들이 남부 유다 왕국과 팀나에 이르는 네게브 일부 지역에 정착하는 과정은 이미 기원전 587/586년에 네부카드네자르 2세에 의해 유다가 멸망하기 전부터 평화적인 침투와 군사적 수단을 통해 시작되었는데, 이미 약화된 유다 왕국의 상태를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3][4]
에돔 사람들이 자신들의 영토에서 밀려난 후, 페르시아 시기에 남부 유다 언덕과 베르셰바 북쪽 지역에 정착하게 된다.[5][6] 이 시기에 그들은 그리스어로 이두매 혹은 이두메아(Ἰδουμαία, Idoumaía) 또는 라틴어로 이두마에아(Idūmaea)로 불렸다. 이 이름은 헬레니즘과 로마 시기에도 사용되었고 신약성경에도 언급된다.[7][8] 기원전 2세기 동안 에돔 사람들은 하스몬 왕국에 의해 강제로 유대교로 개종되어 유대인에 통합되었다.[9] 그러나 이러한 동화가 강압적이지 않고 자발적이었다고 보는 학자들도 있다.[10]
이처럼 에돔과 이두메아는 그 관련성이 분명하지만 서로 구별되는 용어이다. 이들은 역사적인 인구 연속체와 관련이 있지만, 지명으로써는 서로 다른 시기에 에돔 사람/이두메인들이 점유한 두 개의 인접한 영토를 나타낸다. 에돔 사람들은 처음에는 현대 요르단 남부 지역에 에돔이라는 왕국을 세웠으며, 이후 기원전 6세기에 바빌로니아인들에 의해 유다가 약화되고 멸망하자 유다 왕국 남부 지역인 이두메아(현대 헤브론 산지)로 이주하였다.[11][12]
어원
[편집]에돔은 구약성경에 나오는 이삭의 아들 야곱의 형 에서의 이름에서 기원한다. 에서의 뜻은 '붉다'는 의미다.[13] 에돔은 그의 후손들에게 주어진 이름이었다.[14] 이후 그의 자손들이 사는 지명이 되었다.
역사
[편집]바위가 많고 험준한 산악 지방에서 살았는데 최고봉이 해발 1087m에 이르렀다. 에돔의 지리는 매우 복잡해서 북쪽의 석회암 고원은 남쪽으로 내려갈수록 험준한 사암지형이다. 에돔 지방은 대부분 사막이다.
에돔인들이 살던 산악 지대는 사해 남단에 위치한 제러드강부터 시작해 사해와 홍해까지 연결하는 큰 골짜기 아라바의 양편 연안으로 아카바만까지 뻗어있었다. 에돔인들은 연합 이스라엘 왕국의 사울과도 전쟁을 벌였고 그 뒤를 이은 다윗왕이 여러 이민족들을 정벌할 때 함께 정벌당하여 18,000명이 죽임을 당하고 이스라엘의 신하가 되었다.[15]
이후 솔로몬왕이 아카바만에 에츠욘 게베르 항구를 세웠고 그 지역에 구리 광산을 개발했다. 그러나 이스라엘이 이스라엘 왕국과 유다 왕국으로 나뉘자 에돔은 유다 왕국의 통치권을 인정했으나 이후 여호람왕 때 처음으로 반란을 일으켰다.[16]
에돔인들의 반란으로 그 지역은 40년 동안 소강 상태에 빠졌고 아먀사왕이 반란을 진압하고 그 지역을 회복했으나 곧 다시 반란이 일어났다. 그리고 기원전 736년경부터는 아시리아 제국의 조공 국가가 되는데 아시리아와 이집트의 비문에도 등장한다.[17][18]
이후에도 계속 유다 왕국과 전쟁을 벌이다가 기원전 586년경 유다 왕국이 바빌로니아 제국에게 멸망당한 후에 전쟁이 종결되었다. 이후 기원전 6세기경 바빌로니아인의 침략에 의해 쇠퇴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후 기원전 2세기에서 4세기에 나타나기 시작한 동쪽에서 이주해온 나비티안족에 의해 서쪽 즉 유다 남쪽 브엘세바로 이주하게 되었다. 신약 시대에 이르자 에돔은 유다 남쪽에서 유대인과 동화되어 이두매 사람들이 되었다. 신약 시대에도 이두매의 안티파트로스가 로마 제국의 행정관이 되었고 그의 아들을 훗날 로마 제국의 명령 하에 팔레스타인 지역을 다스리는 헤로데 대왕이 되었다.
각주
[편집]- ↑ Avraham Negev; Shimon Gibson (2001). 《Edom; Edomites》. 《Archaeological Encyclopedia of the Holy Land》 (New York and London: Continuum). 149–150쪽. ISBN 0-8264-1316-1.
- ↑ Negev, Avraham; Gibson, Shimon (2001). 〈Edom; Edomites〉. 《Archaeological Encyclopedia of the Holy Land》 Revis a updat판. New York / London: Continuum. 149–150쪽.
- ↑ Prof. Itzhaq Beit-Arieh (December 1996). “Edomites Advance into Judah”. 《Biblical Archaeology Review》. 2015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Jan Gunneweg; Th. Beier; U. Diehl; D. Lambrecht; H. Mommsen (August 1991). “'Edomite', 'Negbite'and 'Midianite' pottery from the Negev desert and Jordan: instrumental neutron activation analysis results”. 《Archaeometry》 (Oxford, UK: Oxford University) 33 (2): 239–253. doi:10.1111/j.1475-4754.1991.tb00701.x. 2015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Negev & Gibson (ed.), 2001, Idumea, pp. 239–240
- ↑ Ben-Yosef (1979), p. 25
- ↑ Charles Léon Souvay, 편집. (1910). 〈Idumea〉. 《Catholic Encyclopedia》.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2015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Edom〉.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Levin, Yigal (2020년 9월 24일). “The Religion of Idumea and Its Relationship to Early Judaism”. 《Religions》 (영어) 11 (10): 487. doi:10.3390/rel11100487. ISSN 2077-1444.
- ↑ Levin, Yigal (2020년 9월 24일). “The Religion of Idumea and Its Relationship to Early Judaism”. 《Religions》 11 (10): 487. doi:10.3390/rel11100487. ISSN 2077-1444.
- ↑ Lepinski, Nadav (n.d.). 〈Tell Maresha〉. Ben-Yosef, Sefi. 《Israel Guide - Judaea (A useful encyclopedia for the knowledge of the country)》 (히브리어) 9. Jerusalem: Keter Publishing House, in affiliation with the Israel Ministry of Defence. 325쪽. OCLC 745203905.
- ↑ Eph'al, Israel (1998). “Changes in Palestine during the Persian Period in Light of Epigraphic Sources”. 《Israel Exploration Journal》 48 (1/2): 115. JSTOR 27926503.
- ↑ 창세기 25장 25절
- ↑ 창세기 36장 9절
- ↑ 사무엘하 8장 14절
- ↑ 역대하 8장 17-18절, 역대하 21장 8절
- ↑ Smith, M.S. (2001). 《The Origins of Biblical Monotheism: Israel's Polytheistic Background and the Ugaritic Texts》.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45쪽. ISBN 9780195134803. 2015년 9월 10일에 확인함.
- ↑ Müller, Asien und Europa, p. 135.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에돔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