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모바일 헬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모바일 헬스(또는 mHealth, m-health)는 의학공중보건에서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는 개념을 의미한다.[1] 특히 핸드폰, 스마트폰, PDA, 노트북 등의 이동 통신 수단이나 스마트 워치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건강 정보 제공, 건강 데이터 기록 및 수집 등의 건강 관리 서비스, 또는 의료 행위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2] WHO에서는 모바일 헬스를 "eHealth의 한 종류로, 모바일 장치를 활용한 공중보건의료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핸드폰을 이용한 음성, 문자 메시지, 2.5G3G, 4G, GPS, 블루투스 등 다양한 기술의 활용을 명시하였다.[3] 또한 모바일 헬스는 ICT를 적극 사용하여 컴퓨터, 핸드폰, 통신위성, 다양한 모니터링 장치 등을 이용하여 건강 서비스 및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 구체적으로 모바일 헬스 에는 지역사회 주민들의 일상 및 비정상 건강 데이터 수집 활용, 보건 종사자 및 일반인에게 건강 관리 정보의 제공, 바이탈 사인의 실시간 모니터링, 모바일 원격의료를 통한 직접 치료 제공, 모바일 기기를 통한 보건 종사자의 협업 및 교육 등이 포함된다.[5][6]

기존의 모바일 헬스는 주로 선진국을 대상으로 적용되었으나, 개발도상국에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7] 결과적으로 모바일 헬스는 개발도상국의 국민들에게 건강 정보에 대해 더 많은 접근을 제공하고,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도록 하여 보건 시스템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건강 불평등을 완화하는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8] 모바일 헬스케어는 건강 관리 및 건강 관련 정보에 대하여 접근성을 증가시키는 등 다양한 목표로 운영된다. 특히 지리적, 물리적, 사회적 요인 등으로 발생한 건강소외계층에 대하여 건강문해력을 증가시키고, 질병의 적절한 진단 및 추적관찰, 정확하고 실행이 용이하며 시기적절한 공중보건건강 정보를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 동시에 의료 종사자를 위한 지속적인 보건 교육 및 임상 훈련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고자 한다.[9]

모바일 헬스 을 사용하는 모습

전 세계 디지털 헬스 시장의 전체 규모는 2018년 430억 파운드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0] 전세계 모바일 헬스 시장은 2018년 기준으로 283억 달러의 규모를 가진 것으로 추산되며,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29.3%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보이며 2023년에는 1023.5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11] 또한 전세계의 모바일 의료기기 시장은 2015년의 3710억 달러 규모에서 5%의 연평균 성장률(CAGR)과 함께 2030년에는 7950억 달러 규모에 이르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12] 원격 모니터링 의료장치를 사용하는 인원은 2016년 기준 710만 명에 달하며, 2021년에는 5020만 명이 사용할 것으로 예측된다.[13] 원격 모니터링을 통하여 환자들은 불필요하게 병원의원을 방문하는 횟수가 줄어들게 되며, 2025년까지 총 190억 달러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12]

미국 연방통신위원회가 주관한 모바일 헬스 박람회 (2013)

모바일 헬스 의 검증과 정보의 부정확성, 규제에 대한 논란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14][1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Adibi, Sasan, 편집. (2015년 2월 19일). 《Mobile Health: A Technology Road Map》. Springer Series in Bio-/Neuroinformatics. Springer. 1쪽. ISBN 978-3-319-12817-7. 
  2. Cipresso, P.; Serino S.; Villani D.; Repetto C.; Selitti L.; Albani G.; Mauro A.; Gaggioli A.; Riva G. (2012). “Is your phone so smart to affect your states? An exploratory study based on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Neurocomputing》 84: 23–30. doi:10.1016/j.neucom.2011.12.027. 
  3.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mHealth: New horizons for health through mobile technologies: Global Observatory for eHealth Series - Volume 3》 (PDF). 제네바. World Health Organization쪽. ISBN 9789241564250. 2019년 9월 30일에 확인함. 
  4. Vital Wave Consulting (February 2009). 《mHealth for Development: The Opportunity of Mobile Technology for Healthcare in the Developing World》 (PDF). United Nations Foundation, Vodafone Foundation. 9쪽. 2012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5. Pimmer, Christoph; Tulenko, Kate (2016). “The convergence of mobile and social media: Affordances and constraints of mobile networked communication for health worker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Mobile Media & Communication》 4 (2): 252–269. doi:10.1177/2050157915622657. 
  6. Germanakos P, Mourlas C, Samaras G. 〈A Mobile Agent Approach for Ubiquitous and Personalized eHealth Information Systems〉 (PDF). 《Proceedings of the Workshop on 'Personalization for e-Health' of th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ser Modeling (UM'05). Edinburgh, July 29, 2005》. 67–70쪽. 2017년 8월 2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30일에 확인함. 
  7. Eze, Emmanuel; 외. (2016). “Reviewing mHealth in Developing Countries: A Stakeholder Perspective”. 《Procedia Computer Science》 100: 1024-1032. doi:10.1016/j.procs.2016.09.276. 오픈 액세스로 게시된 글 - 무료로 읽을 수 있습니다
  8. Adibi, Sasan, 편집. (2014년 11월 24일). 《mHealth Multidisciplinary Verticals》. CRC Press (Taylor & Francis Group). 259쪽. ISBN 978-1-482-21480-2. 
  9. Masson, M (December 2014). “Benefits of TED Talks”. 《Canadian Family Physician》 60 (12): 1080. PMC 4264800. PMID 25500595. 
  10. 배열리미 (2018년 4월 26일). “앱으로 건강을 체크할까? 英 디지털·모바일 헬스산업 엿보기”. 《kotra 해외시장뉴스》. 2019년 9월 30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1. PRNewswire (2017년 12월 15일). “$28.32 Billion Mobile Health (mHealth) App Market 2017 - Market is Projected to Reach $102 Billion by 2023”. 《Markets Insider》. 2019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30일에 확인함. 
  12. van den Heuvel, Roger; 외. (2018). “Medical devices 2030: Making a power play to avoid the commodity trap” (PDF). 《KPMG International》. 2019년 9월 30일에 확인함. 
  13. Fagerberg, Johan; 외. “mHealth and Home Monitoring” (PDF). 《Berg Insight》. 2019년 8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30일에 확인함. 
  14. Wolf, Joel A.; Moreau, Jacqueline F.; Akilov, Oleg; 외. (April 2013). “Diagnostic Inaccuracy of Smartphone Applications for Melanoma Detection”. 《JAMA Dermatology》 149 (4): 422–426. doi:10.1001/jamadermatol.2013.2382. PMC 4019431. PMID 23325302. 
  15. Van Doornik, William (October 2013). “Meaningful Use of Patient-Generated Data in EHRs”. 《Journal of AHIMA》 84 (10): 30–35. PMID 24245086. 2015년 5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