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성 암원
감염성 암원은 암을 일으키는 감염성 물질들을 의미한다. 감염으로 인한 암의 발생비율은 16.1%에 달한다.[1] 특히 자궁경부암의 80%, 간암의 15~20%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2] 지역마다 비율에 차이가 있어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32.7%,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는 3.3%가 감염으로 인해 암에 걸린다.[1]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위암과 관련이 있으며, 마이코박테리아를 비롯해 다른 세균이나 기생충도 암을 일으킬 수 있다.
암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들을 종양바이러스로 분류한다. 여기에는 자궁경부암과 비인두암을 일으키는 인간 유두종바이러스, 버킷림프종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카포시육종과 원발삼출림프종을 일으킬 수 있는 KSHV, 간세포암을 일으킬 수 있는 B형 간염바이러스 및 C형 간염바이러스, 성인T세포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사람T세포림프친화바이러스 1형 등이 여기 분류된다. 세균성 감염도 암을 일으킬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시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이다.[3] 기생충 역시 암을 일으킬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방광암을 일으키는 빌하르트 주혈흡충, 간흡충류, 담관암을 일으키는 타이간흡충이 있다.[4]
역학
[편집]미국
[편집]선진국에서 감염성 암은 발병률의 약 30%를 차지하는 담배, 30%를 차지하는 식습관, 15%를 차지하는 비만에 이어 대략 10%의 발병률을 차지하여 네 번째로 가장 흔한 원인이 된다. 미국인의 22.5%가 암에 의해 사망하므로, 결국 전체 사망률의 2%가 감염성 암으로 사망하는 것이다. 이는 미국인 사망률의 2.1%를 유발하는 인플루엔자, 폐렴과 맞먹는 수준이다.[5]
전세계에서
[편집]2015년, 전 세계의 암 환자를 봤을 때 매년 폐암으로 160만명이, 간암으로 74만5000명이, 위암으로 72만3000명이 사망하였다.[6] 이들 중 폐암은 담배연기 등 비감염적인 원인에 기인한다. 그러나 간암과 위암은 주로 감염성 원인에 기인한다. 간암은 B형 간염바이러스와 C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해 생기는 경우가 많고, 위암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의한 경우가 많다. 전세계적으로 봤을 때 B형 간염바이러스나 C형 간염바이러스에 만성적으로 감염된 사람은 대략 3억 2천 5백만 명으로 조사된다.[7] 또한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감염되었는데, 이들의 1~2%가 위암에 걸린다.[8]
바이러스
[편집]바이러스는 암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들 중 하나이다.[2] B형 간염 환자들 200명 중 1명이 간암에 걸리는데, 아시아에서 발병률이 더 높고 북아메리카에서 더 낮다. C형 간염 환자들 중에서는 45명 중 1명이 간암에 걸린다.[9] 또한 감염성 암의 5.2%는 인간 유두종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10]
세균
[편집]암을 일으키는 가장 대표적인 세균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로, 위암을 일으킨다.[11][12] 국가마다 그 수치는 다르나, 비감염 인구는 0.13%만 위암에 걸리는데 비해 감염된 인구는 1~3%가 위암으로 발전한다.[8][13] 헬리코박터균 감염으로 인한 사망률은 2018년 전 세계 암으로 인한 사망률의 3번째에 위치한다.[14]
기생충
[편집]빌하르트 주혈흡충이 일으키는 주혈흡충증은 방광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15]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de Martel C, Ferlay J, Franceschi S, Vignat J, Bray F, Forman D, Plummer M (June 2012). “Global burden of cancers attributable to infections in 2008: a review and synthetic analysis”. 《The Lancet. Oncology》 13 (6): 607–15. doi:10.1016/S1470-2045(12)70137-7. PMID 22575588.
- ↑ 가 나 De Paoli P, Carbone A (October 2013). “Carcinogenic viruses and solid cancers without sufficient evidence of causal associ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133 (7): 1517–29. doi:10.1002/ijc.27995. PMID 23280523.
- ↑ Pagano JS, Blaser M, Buendia MA, Damania B, Khalili K, Raab-Traub N, Roizman B (December 2004). “Infectious agents and cancer: criteria for a causal relation”. 《Seminars in Cancer Biology》 14 (6): 453–71. doi:10.1016/j.semcancer.2004.06.009. PMID 15489139.
- ↑ Samaras V, Rafailidis PI, Mourtzoukou EG, Peppas G, Falagas ME (June 2010). “Chronic bacterial and parasitic infections and cancer: a review”. 《Journal of Infection in Developing Countries》 4 (5): 267–81. doi:10.3855/jidc.819. PMID 20539059.
- ↑ “The top 10 leading causes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 ↑ Ferlay J, Soerjomataram I, Dikshit R, Eser S, Mathers C, Rebelo M, 외. (March 2015).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worldwide: sources, methods and major patterns in GLOBOCAN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136 (5): E359–86. doi:10.1002/ijc.29210. PMID 25220842.
- ↑ “WHO | New hepatitis data highlight need for urgent global response”.
- ↑ 가 나 Kusters JG, van Vliet AH, Kuipers EJ (July 2006). “Pathogenesi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19 (3): 449–90. doi:10.1128/CMR.00054-05. PMC 1539101. PMID 16847081.
- ↑ Sung MW, Thung SN, Acs G (2000). 〈Hepatitis Viruses〉. Bast RC, Kufe DW, Pollock RE, 외. 《Holland-Frei Cancer Medicine》 5판. Hamilton, Ontario: B.C. Decker. ISBN 1-55009-113-1.
- ↑ Parkin DM (June 2006). “The global health burden of infection-associated cancers in the year 2002”.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118 (12): 3030–44. CiteSeerX 10.1.1.623.9022. doi:10.1002/ijc.21731. PMID 16404738.
- ↑ Peter S, Beglinger C (2007). “Helicobacter pylori and gastric cancer: the causal relationship”. 《Digestion》 75 (1): 25–35. doi:10.1159/000101564. PMID 17429205.
- ↑ Wang C, Yuan Y, Hunt RH (August 2007). “The association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early gastric cancer: a meta-analysis”.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102 (8): 1789–98. doi:10.1111/j.1572-0241.2007.01335.x (년 이후로 접속 불가 2020-03-05). PMID 17521398.
- ↑ Kuipers EJ. Review article: exploring the link between Helicobacter pylori and gastric cancer. 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Mar 1999 Supplement, Vol. 13, p3-11. 9p. DOI: 10.1046/j.1365-2036.1999.00002.x. (open access).
- ↑ Ferlay J, Colombet M, Soerjomataram I, Mathers C, Parkin DM, Piñeros M, 외. (April 2019). “Estimating the global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in 2018: GLOBOCAN sources and methods”.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144 (8): 1941–1953. doi:10.1002/ijc.31937. PMID 30350310.
- ↑ Mustacchi P (2000). 〈Parasites〉. Bast RC, Kufe DW, Pollock RE, Weichselbaum RR, Holland JF, Frei E. 《Holland-Frei Cancer Medicine》 5판. Hamilton, Ontario: B.C. Decker. ISBN 1-55009-113-1.
참고 문헌
[편집]- Cornwall, Claudia M. Catching cancer : the quest for its viral and bacterial causes. Lanham: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3.
- Pelini P (2016). “Tumor and metastases to the lung caused by the bacterium Pseudomonas”. doi:10.6084/M9.FIGSHARE.3382954.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감염성 암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