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vourite Worst Nightmare
Favourite Worst Nightmare | ||||
---|---|---|---|---|
악틱 몽키즈의 정규 음반 | ||||
발매일 | 2007년 4월 18일(영국) | |||
녹음 | 2006년 12월 잉글랜드, 런던 Miloco Studios | |||
장르 | 인디 록,[1] 포스트펑크 리바이벌,[2][3] 개러지 록, 사이키델릭 록 | |||
길이 | 37:34 | |||
레이블 | 도미노, 워너 브라더스, EMI (브라질) | |||
프로듀서 | 제임스 포드 마이크 크로시 | |||
악틱 몽키즈 연표 | ||||
|
Favourite Worst Nightmare는 잉글랜드의 인디 록[4][5] 밴드 악틱 몽키즈의 두 번째 정규앨범이다. 전세계에 공식 발매를 하기전에 2007년 4월 18일에 일본에서 첫 발매를 하였다.[6] 동런던 밀로코 스튜디오에서 프로듀서 제임스 포드와 마이크 크로시와 녹음한 싱글앨범 Brianstorm이 2007년 4월 16일에 먼저 발매되었다.[7]
이 앨범은 발매 첫 주만에 220,000장이 팔렸고,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처럼 영국 음반 차트 1위로 바로 올라갔고, 그들의 데뷔 앨범 기록보다 100,000장을 더 팔았다. 첫 두 개의 싱글앨범 Brianstorm과 Fluorescent Adolescent도 UK Top Hits에 올랐다.
Favourite Worst Nightmare'의 첫 판매날은 나머지 Top 20 차트에 있던 앨범들을 합친것보다 많은 85,000장을 팔았고, 앨범에 있는 12곡 모두 UK Singles Chart 200에 올라갔다.[8]
미국에서는 첫주에 44,000장을 팔면서 빌보드 차트 7위에 올라갔다.[9] 앨범은 이후로 영국에서 2번의 플래티넘을 차지했고[10] 2007년에 머큐리 상 후보에 올랐다. 2008년 브릿 어워드에서 최고의 영국 앨범상을 수상했다.
스타일의 변화
[편집]대뷔 앨범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과 비교해서, Favourite Worst Nightmare는 "매우, 매우 빠르고 매우, 매우 시끄럽다",[11] 그리고 "더욱 야심적이고, 무거워졌으며 사납게 밝아졌다" 라고 묘사되었다.[12] 첫 녹음의 이야기보다는 밴드가 세계여행을 다니던것이 반명이 된FWN(Favourite Worst Nightmare)는 "빨라지고, 의미가 담긴" 앨범이다.[13] 앨범은 The Smiths에서 영향을 받았고 비음이 섞인 억양과 잔잔한 배경으로 터너의 목소리는 리처드 하울리와 모리세이 같이 부드럽게 부른다.[12] 밴드의 드러머 맷 헬더스가 말하길, "코너 맥브라드의 엄청빠르고 엄청나게 부드러운 기타 스윕과 매우 강한 C-tuned 기타 리프가 이 앨범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하였다.[7] 결과적으로, 헬더의 드럼 리듬과 베이시트 닉 오말리는 80년대 펑크 밴드 ESG와 비교되기도 했다.[7] 밴드가 좋아하던 고전 영화 역시도 그들의 새로운 음악 스타일에 영향을 주었다. 예를 들어, 앨범의 마지막 곡 "505"의 시작 부분에서 나오는 오르간은 석양의 무법자(Angel Eyes가 마지막 대치에 들어서기전에 나타나는 부분)에 나온 엔니오 모리코네의 사운드트랙에서 따왔다.[14]
앨범의 역사
[편집]앨범 타이틀 "Favourite Worst Nightmare"는 앨범의 3번째 수록곡 "D is for Dangerous"에서 따왔다. 밴드가 말하길, 그들은 앨범의 제목을 Lesbian Wednesdays, 고든 브라운 아니면 게리 바로우라고 지을 것을 고려하였다고 한다.[14]
영국의 음악 주간지 NME와 인터뷰에서 , 닉 오말리는 타이틀에 "D is for Dangerous" 와 "Balaclava"가 포함되어 있다고 알렸다. 트랙 "The Bakery" 와 "Plastic Tramp" 역시도 NME 인터뷰에서 언급이 되었는데, 앨범에 수록되지는 않했지만, 후에 싱글 앨범 "Fluorescent Adolescent"에 B-사이드로 발매됐다. 트랙 "Leave Before the Lights Come On"도 포함될것이라는 루머가 있었지만 수록되지 않았다.
앨범 수록 12 곡중 6 곡이 앨범 발매전 공연으로 알려졌다. 앨범은 밴드가 밖에 나가 다시 곡을 연주하고 싶어서 빠르게 녹음했다고 하였다.
평가
[편집]Favourite Worst Nightmare는 발매가 된 이후 곳곳에서 찬사를 받았다. Metacritic (리뷰를 통해서 100점을 표준 점수로 하여 평점을 한다)은 82점을 매겼고,[15] In a 5-star review, 데일리 익스프레스는 앨범을 "듣기에 더욱 좋아지고 빨라지고, 강해저 충격을 먹을정도로 좋다" 라고 묘사했으며,[16] 반면 가디언은 이 앨범을 두고 "영국 역사에서 가장 많이 판 앨범의 벅찬 일을 성공적으로 넘었다" 말하며, 앨범의 후반부는 강한 후반이지만, 특별하게 첫 트랙 Brianstorm을 비평을 한 반면에 "Fluorescent Adolescent"에서 모리세이와 닮은 점은 없다고 평가했다. 가디언의 다음 언급도 주목이 되어는데 "만약 당신들이 앨범에서 멧 헬더의 드럼을 제외하여도, 이것은 여전히 듣기 좋을것이다",[17]라고 하였다. 옵저버는 새로워진 앨범의 사운드에 대해서 주석으로 "제이미 쿡의 날카로운 기타 멜로디와 터너가 그의 무기고에서 드러낸 다른 무기"라고 평하며 알렉스 터너의 향상을 확인하게 했다.[18] 피치포크 미디어는 비평가들이 많이 인용을 한 "Do Me A Favour", "Only Ones Who Know" 그리고 "505"에 대해서 "새로운 감정의 깊이" 라고 주목을 했다.[19]
트랙 리스트
[편집]전체 작사·작곡: 앨릭스 터너(참고를 한걸 제외한 모든 곡)[20]
# | 제목 | 재생 시간 |
---|---|---|
1. | Brianstorm | 2:50 |
2. | Teddy Picker | 2:43 |
3. | D Is for Dangerous | 2:16 |
4. | Balaclava | 2:49 |
5. | Fluorescent Adolescent (터너, 조한나 베넷) | 2:57 |
6. | Only Ones Who Know | 3:02 |
7. | Do Me a Favour | 3:27 |
8. | This House Is a Circus | 3:09 |
9. | If You Were There, Beware | 4:34 |
10. | The Bad Thing (터너, 제이미 쿡) | 2:23 |
11. | Old Yellow Bricks (터너, 존 맥클러) | 3:11 |
12. | 505 (작사:알렉스 터너) | 4:13 |
# | 제목 | 재생 시간 |
---|---|---|
1. | Da Frame 2R | 2:20 |
2. | Matador | 4:57 |
보너스 비디오
[편집]- Brianstorm의 뮤직 비디오는 Favourite Worst Nightmare의 아이튠즈 선주문자에 한해 보너스로 포함되었다.
싱글 앨범
[편집]- "Brianstorm" (2007년 4월 2일, 도미노 레코드에서 발매) #2
- "Fluorescent Adolescent" (2007년 7월 9일, 도미노 레코드에서 발매) #5
- "Teddy Picker" (2007년 12월 3일, 도미노 레코드에서 발매)[21] #20
녹음
[편집]- 악틱 몽키즈
- 추가된 연주자
차트 순위
[편집]국가 | 최고 순위 | 수상 | 판매량 |
---|---|---|---|
영국 | 1 | 2× Platinum | 712,597 |
호주 | 2 | ||
아일랜드 | 1 | ||
뉴질랜드 | 4 | ||
캐나다 | 4 | Platinum | 150,000 |
미국 | 7 | 240,000 | |
독일 | 2 | Gold | 100,000 |
일본 | 4 | Gold[22] | 175,000 |
덴마크 | 1 | ||
핀란드 | 14 | ||
벨기에 | 1 | ||
네덜란드 | 1 | ||
폴란드[23] | 48 | ||
스위스 | 1 | ||
노르웨이 | 2 | ||
프랑스 | 6 | Gold | 100,000 |
스웨덴 | 6 | ||
오스트리아 | 6 | ||
이탈리아 | 14 | Gold | 60,000 |
스페인 | 2 | ||
유럽 | 2 |
발매 정보
[편집]국가 | 날짜 | 레이블 | 형태 | 카탈로그 넘버 |
---|---|---|---|---|
일본 | 2007년 4월 18일 | Hostess | CD | HSE-10043[24] |
독일 | 20 April 2007[25] | CD | ||
아일랜드 | ||||
스페인 | ||||
오스트레일리아 | 2007년 4월 21일[26] | CD | ||
영국 | 2007년 4월 23일 | 도미노 레코드 | LP | WIGLP188 / 5034202018810[27] |
CD | WIGCD188 / 5034202018827[28] | |||
브라질 | EMI | CD | ||
프랑스 | CD | |||
벨기에 | CD | |||
미국 | 2007년 4월 24일 | 도미노,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29] | CD | DNO 136 / 801390013621 |
이스라엘 | CD | |||
캐나다 | 도미노, WEA International | CD |
각주
[편집]- ↑ “THE 50 GREATEST SECOND ALBUMS OF ALL TIME”. 《Gigwise》. 2015년 10월 27일.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Well rise they did with this slab of fast and furious indie rock genius.
- ↑ “Arctic Monkeys: Favourite Worst Nightmare (CD Album)”. 《Mode-9.com》. 2014년 7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6일에 확인함.
- ↑ “Arctic Monkeys - Favourite Worst Nightmare”. 《Starpulse.com》. 2012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6일에 확인함.
- ↑ Bartz, Simon (2007년 4월 5일). “Planet of the apes”. The Japan Times. 2007년 4월 11일에 확인함.
- ↑ “BBC - Seven Ages of Rock "What the World Is Waiting For"”. 《Seven Ages of Rock》. BBC. 2007. 2011년 3월 2일에 확인함.
- ↑ Bartz, Simon (2007년 4월 5일). “Planet of the apes”. The Japan Times. 201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4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Paphides, Pete (2007년 3월 23일). “Whatever we hoped they'd be, they are”. London: The Times. 2007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Arctics' album storms to the top”. BBC. 2007년 4월 29일. 2007년 4월 30일에 확인함.
- ↑ Hasty, Katie (2007년 5월 2일). “Lavigne Remains No. 1 As Joe Debuts High”. Billboard.
- ↑ “BPI.co.uk”. 2018년 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8일에 확인함.
- ↑ “Arctic Monkeys set to unleash "Favourite Worst Nightmare"”. Monsters and Critics. 2007년 4월 11일. 2007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4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Mulvey, John (2007년 2월 22일). “Favourite Worst Nightmare”. Uncut. 2010년 1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2월 28일에 확인함.
- ↑ Collett-White, Mike (2007년 4월 20일). “Arctic Monkeys face the music with 2nd album”. The Scotsman (Reuters). 2007년 4월 20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
- ↑ 가 나 “Insiders' guide to Arctic Monkeys”. 《BBC News》. 2007년 4월 23일. 2010년 5월 2일에 확인함.
- ↑ “Arctic Monkeys: Favourite Worst Nightmare (2007): Reviews”. 《Metacritic》. CNET Networks, Inc. 2013년 9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Home of the Daily and Sunday Express | Music :: ARCTIC MONKEYS: FAVOURITE WORST NIGHTMARE”. Express.co.uk. 2007년 4월 20일. 2012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Petridis, Alexis (2007년 4월 24일). “Arctic Monkeys, Favourite Worst Nightmare”. 《The Guardian》 (London). 2010년 5월 2일에 확인함.
- ↑ Savage, Jon (2007년 4월 22일). “Arctic Monkeys, Favourite Worst Nightmare”. 《The Observer》 (London). 2012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Hogan, Marc (2007년 4월 24일). “Arctic Monkeys: Favourite Worst Nightmare”. Pitchfork Media. 2012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ASCAP Entry[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Arctic Monkeys announce new single | News | NME.COM
- ↑ “ゴールド等認定作品一覧 2007年5月”. 《RIAJ》 (일본어). 2007년 6월 10일.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 “OLiS: sales for the period 23.04.2007 - 06.05.2007”. OLiS.
- ↑ Arctic Monkeys Favourite Worst Nightmare Japan CD ALBUM (396187)
- ↑ Amazon.de product page
- ↑ Sanity.com.au[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Monkeys Favourite Worst Nightmare UK LP RECORD (397575)[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Arctic Monkeys Favourite Worse Nightmare UK CD ALBUM (397574)
- ↑ Mulvey, John (2007년 3월 19일). “Arctic Monkeys' 'Favourite Worst Nightmare' gets a life from Warner Bros.”. Monsters and Critics. 2007년 4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4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