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 |
---|---|
![]() 우승을 자축하는 일본 선수들 | |
원어 명칭 | FIFA Frauen-Weltmeisterschaft Deutschland 2011 |
개최국 | ![]() |
개최기간 | 6월 26일 ~ 7월 17일 |
경기장 | 9개 (9개 도시) |
참가국 | 16개국 (6개 대륙)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최다 득점 | ![]() |
최우수 선수 | ![]() |
통계 | |
총 경기 | 32경기 |
총 득점 | 86골 (경기당 2.69골) |
총 관중 | 845,751명 (경기당 26,430명) |
« 2007 2015 » |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독일™(2011 FIFA Women's World Cup Germany™, 독일어: FIFA Fussball-Weltmeisterschaft der Frauen Deutschland 2011™)은 독일에서 열린 제6회 FIFA 여자 월드컵이다. 개최 기간은 2011년 6월 26일부터 7월 17일이며 9개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 결승전에서 일본이 승부차기 끝에 미국을 누르고 사상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하였다.
개최를 희망했던 국가[편집]
2007년 3월 1일을 기해 마감된 대회 입후보 의사 전달 과정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프랑스, 독일, 페루, 스위스 6개국이 대회 유치를 신청했다.
스위스는 2007년 5월 29일에 대회 유치 신청을 철회했다. 프랑스는 2007년 8월 27일에 독일 측이 프랑스의 UEFA 유로 2016 유치를 지지하는 조건으로 대회 유치 신청을 철회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2007년 10월 12일에, 페루는 2007년 10월 17일에 대회 유치 신청을 철회했다. 2007년 10월 30일 FIFA 집행위원회는 독일이 캐나다를 누르고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예선[편집]
본선 진출국[편집]
|
|
시드 배정[편집]
본선 조 추첨은 2010년 11월 28일에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서 진행되었다. 유럽 이외의 다른 대륙별 팀들은 서로 같은 조에 편성될 수 없으며 유럽 팀들은 같은 조에 1개 팀 또는 2개 팀이 편성된다.
포트 1 (시드 배정국) | 포트 2 (AFC, CONMEBOL) | 포트 3 (CAF, CONCACAF, OFC) | 포트 4 (UEFA) |
---|---|---|---|
![]() ![]() ![]() ![]() |
![]() ![]() ![]() ![]() |
![]() ![]() ![]() ![]() |
![]() ![]() ![]() ![]() |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아우크스부르크 | 베를린 | 보훔 | 드레스덴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
임풀스 아레나 |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 | 루르슈타디온 | 루돌프 하르비히 슈타디온 | 코메르즈방크 아레나 |
수용 인원: 25,579명 | 수용 인원: 74,244명 | 수용 인원: 23,000명 | 수용 인원: 32,085명 | 수용 인원: 49,240명 |
![]() |
![]() |
![]() |
![]() | |
레버쿠젠 | 묀헨글라트바흐 | 진스하임 | 볼프스부르크 | |
바이아레나 | 보루시아 파크 | 라인 네카어 아레나 | 폴크스바겐 아레나 | |
수용 인원: 30,200명 | 수용 인원: 46,297명 | 수용 인원: 25,641명 | 수용 인원: 25,361명 | |
![]() |
![]() |
![]() |
사건 및 논란[편집]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참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5명이 도핑 검사에서 금지 약물 양성 판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되었다. 국제 축구 연맹(FIFA)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에 400,000 미국 달러의 벌금을 부과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캐나다에서 개최된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참가하는 것조차 금지시켰다.
선수 명단[편집]
조별 리그[편집]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CEST/UTC+2)을 따름.
A조[편집]
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 |
9 | 3 | 3 | 0 | 0 | 7 | 3 | +4 |
![]() |
6 | 3 | 2 | 0 | 1 | 7 | 4 | +3 |
![]() |
3 | 3 | 1 | 0 | 2 | 1 | 2 | -1 |
![]() |
0 | 3 | 0 | 0 | 3 | 2 | 5 | -3 |
2011년 6월 26일 15:00 | ||||||
나이지리아 ![]() |
0 – 1 | ![]() |
라인 네카어 아레나, 진스하임 관중수: 25,475명 심판: ![]() | |||
델리 ![]() | ||||||
2011년 6월 26일 18:00 | ||||||
독일 ![]() |
2 – 1 | ![]() |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 베를린 관중수: 73,680명 심판: ![]() | |||
가레프레케스 ![]() 오코이노 다 음바비 ![]() |
싱클레어 ![]() | |||||
2011년 6월 30일 18:00 | ||||||
캐나다 ![]() |
0 – 4 | ![]() |
루르슈타디온, 보훔 관중수: 16,591명 심판: ![]() | |||
티네 ![]() 아빌리 ![]() 토미스 ![]() | ||||||
2011년 6월 30일 20:45 | ||||||
독일 ![]() |
1 – 0 | ![]() |
폴크스바겐 아레나,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관중수: 48,817명 심판: ![]() | |||
라우더 ![]() |
||||||
2011년 7월 5일 20:45 | ||||||
프랑스 ![]() |
2 – 4 | ![]() |
보루시아 파크, 묀헨글라트바흐 관중수: 45,867명 심판: ![]() | |||
델리 ![]() 조르주 ![]() |
가레프레케스 ![]() 그링스 ![]() 오코이노 다 음바비 ![]() | |||||
2011년 7월 5일 20:45 | ||||||
캐나다 ![]() |
0 – 1 | ![]() |
루르슈타디온, 보훔 관중수: 13,638명 심판: ![]() | |||
은쿼차 ![]() | ||||||
B조[편집]
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 |
7 | 3 | 2 | 1 | 0 | 5 | 2 | +3 |
![]() |
6 | 3 | 2 | 0 | 1 | 6 | 3 | +3 |
![]() |
2 | 3 | 0 | 2 | 1 | 3 | 7 | -4 |
![]() |
1 | 3 | 0 | 1 | 2 | 4 | 6 | -2 |
2011년 6월 27일 15:00 | ||||||
일본 ![]() |
2 – 1 | ![]() |
루르슈타디온, 보훔 관중수: 12,538명 심판: ![]() | |||
나가사토 ![]() 미야마 ![]() |
헌 ![]() | |||||
2011년 6월 27일 18:00 | ||||||
멕시코 ![]() |
1 – 1 | ![]() |
폴크스바겐 아레나, 볼프스부르크 관중수: 18,702명 심판: ![]() | |||
오캄포 ![]() |
윌리엄스 ![]() | |||||
2011년 7월 1일 15:00 | ||||||
일본 ![]() |
4 – 0 | ![]() |
바이아레나, 레버쿠젠 관중수: 22,291명 심판: ![]() | |||
사와 ![]() 오노 ![]() |
||||||
2011년 7월 1일 18:15 | ||||||
뉴질랜드 ![]() |
1 – 2 | ![]() |
루돌프 하르비히 슈타디온, 드레스덴 관중수: 19,110명 심판: ![]() | |||
그레고리어스 ![]() |
스콧 ![]() 클라크 ![]() | |||||
2011년 7월 5일 18:15 | ||||||
잉글랜드 ![]() |
2 – 0 | ![]() |
임풀스 아레나, 아우크스부르크 관중수: 20,777명 심판: ![]() | |||
화이트 ![]() 양키 ![]() |
||||||
2011년 7월 5일 18:15 | ||||||
뉴질랜드 ![]() |
2 – 2 | ![]() |
라인 네카어 아레나, 진스하임 관중수: 20,451명 심판: ![]() | |||
스미스 ![]() 윌킨슨 ![]() |
마요르 ![]() 도밍게스 ![]() | |||||
C조[편집]
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 |
9 | 3 | 3 | 0 | 0 | 4 | 1 | +3 |
![]() |
6 | 3 | 2 | 0 | 1 | 6 | 2 | +4 |
![]() |
1 | 3 | 0 | 1 | 2 | 0 | 3 | -3 |
![]() |
1 | 3 | 0 | 1 | 2 | 0 | 4 | -4 |
2011년 6월 28일 15:00 | ||||||
콜롬비아 ![]() |
0 – 1 | ![]() |
바이아레나, 레버쿠젠 관중수: 21,106명 심판: ![]() | |||
란스트룀 ![]() | ||||||
2011년 6월 28일 18:15 | ||||||
미국 ![]() |
2 – 0 | ![]() |
루돌프 하르비히 슈타디온, 드레스덴 관중수: 21,859명 심판: ![]() | |||
체니 ![]() 불러 ![]() |
||||||
2011년 7월 2일 14:00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0 – 1 | ![]() |
임풀스 아레나, 아우크스부르크 관중수: 25,475명 심판: ![]() | |||
달크비스트 ![]() | ||||||
2011년 7월 2일 18:00 | ||||||
미국 ![]() |
3 – 0 | ![]() |
라인 네카어 아레나, 진스하임 관중수: 23,768명 심판: ![]() | |||
오라일리 ![]() 러피노 ![]() 로이드 ![]() |
||||||
2011년 7월 6일 20:45 | ||||||
스웨덴 ![]() |
2 – 1 | ![]() |
폴크스바겐 아레나, 볼프스부르크 관중수: 23,468명 심판: ![]() | |||
달크비스트 ![]() 피셰르 ![]() |
웜백 ![]() | |||||
2011년 7월 6일 20:45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0 – 0 | ![]() |
루르슈타디온, 보훔 관중수: 7,805명 심판: ![]() | |||
D조[편집]
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 |
9 | 3 | 3 | 0 | 0 | 7 | 0 | +7 |
![]() |
6 | 3 | 2 | 0 | 1 | 5 | 4 | +1 |
![]() |
3 | 3 | 1 | 0 | 2 | 2 | 5 | -3 |
![]() |
0 | 3 | 0 | 0 | 3 | 2 | 7 | -5 |
2011년 6월 29일 15:00 | ||||||
노르웨이 ![]() |
1 – 0 | ![]() |
임풀스 아레나, 아우크스부르크 관중수: 12,928명 심판: ![]() | |||
호비 ![]() |
||||||
2011년 6월 29일 18:15 | ||||||
브라질 ![]() |
1 – 0 | ![]() |
보루시아 파크, 묀헨글라트바흐 관중수: 27,258명 심판: ![]() | |||
호자나 ![]() |
||||||
2011년 7월 3일 14:00 | ||||||
오스트레일리아 ![]() |
3 – 2 | ![]() |
루르슈타디온, 보훔 관중수: 15,640명 심판: ![]() | |||
카미스 ![]() 밴 에그먼드 ![]() 디 배나 ![]() |
아뇬마 ![]() | |||||
2011년 7월 3일 18:15 | ||||||
브라질 ![]() |
3 – 0 | ![]() |
폴크스바겐 아레나, 볼프스부르크 관중수: 26,067명 심판: ![]() | |||
마르타 ![]() 호자나 ![]() |
||||||
2011년 7월 6일 18:00 | ||||||
적도 기니 ![]() |
0 – 3 | ![]() |
코메르즈방크 아레나,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관중수: 35,859명 심판: ![]() | |||
에리카 ![]() 크리스치아니 ![]() | ||||||
2011년 7월 6일 18:00 | ||||||
오스트레일리아 ![]() |
2 – 1 | ![]() |
루르슈타디온, 보훔 관중수: 18,474명 심판: ![]() | |||
사이먼 ![]() |
토르스네스 ![]() | |||||
결선 토너먼트[편집]
8강 | 준결승 | 결승 | ||||||||
7월 9일 - 베를린 | ||||||||||
![]() | 0 | |||||||||
7월 13일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
![]() | 1 | |||||||||
![]() | 3 | |||||||||
7월 9일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
![]() | 1 | |||||||||
![]() | 3 | |||||||||
7월 17일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
![]() | 1 | |||||||||
![]() | 2 (3) | |||||||||
7월 10일 - 진스하임 | ||||||||||
![]() | 2 (1) | |||||||||
![]() | 1 (3) | |||||||||
7월 13일 - 묀헨글라트바흐 | ||||||||||
![]() | 1 (4) | |||||||||
![]() | 1 | |||||||||
7월 10일 - 보훔 | ||||||||||
![]() | 3 | 3위 결정전 | ||||||||
![]() | 2 (3) | |||||||||
7월 16일 - 진스하임 | ||||||||||
![]() | 2 (5) | |||||||||
![]() | 2 | |||||||||
![]() | 1 | |||||||||
8강전[편집]
2011년 7월 9일 18:00 | ||||||
잉글랜드 ![]() |
1 – 1 (연장) | ![]() |
라인 네카어 아레나, 진스하임 관중수: 26,395명 심판: ![]() | |||
스콧 ![]() |
부사글리아 ![]() | |||||
승부차기 | ||||||
스미스 ![]() 카니 ![]() 스토니 ![]() 래퍼티 ![]() 화이트 ![]() |
3 – 4 | ![]() ![]() ![]() ![]() ![]() |
||||
2011년 7월 9일 20:45 | ||||||
독일 ![]() |
0 – 1 (연장) | ![]() |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 베를린 관중수: 26,067명 심판: ![]() | |||
마루야마 ![]() | ||||||
2011년 7월 10일 13:00 | ||||||
스웨덴 ![]() |
3 – 1 | ![]() |
코메르즈방크 아레나,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관중수: 24,605명 심판: ![]() | |||
셰그란 ![]() 달크비스트 ![]() 셸린 ![]() |
페리 ![]() | |||||
2011년 7월 10일 17:30 | ||||||
브라질 ![]() |
2 – 2 (연장) | ![]() |
루르슈타디온, 보훔 관중수: 25,598명 심판: ![]() | |||
마르타 ![]() |
다이아니 ![]() 웜백 ![]() | |||||
승부차기 | ||||||
크리스치아니 ![]() 마르타 ![]() 다이아니 ![]() 프란시엘리 ![]() |
3 – 5 | ![]() ![]() ![]() ![]() ![]() |
||||
4강전[편집]
2011년 7월 13일 18:00 | ||||||
프랑스 ![]() |
1 – 3 | ![]() |
보루시아 파크, 묀헨글라트바흐 관중수: 25,676명 심판: ![]() | |||
봉파스토르 ![]() |
체니 ![]() 웜백 ![]() 모건 ![]() | |||||
2011년 7월 13일 20:45 | ||||||
일본 ![]() |
3 – 1 | ![]() |
코메르즈방크 아레나,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관중수: 45,434명 심판: ![]() | |||
가와스미 ![]() ![]() 사와 ![]() |
외크비스트 ![]() | |||||
3·4위전[편집]
2011년 7월 16일 17:30 | ||||||
스웨덴 ![]() |
2 – 1 | ![]() |
라인 네카어 아레나, 진스하임 관중수: 25,515명 심판: ![]() | |||
셸린 ![]() M. 함마르스트룀 ![]() |
토미스 ![]() | |||||
결승전[편집]
2011년 7월 17일 20:45 | ||||||
일본 ![]() |
2 – 2 (연장) | ![]() |
코메르즈방크 아레나,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관중수: 48,871명 심판: ![]() | |||
미야마 ![]() 사와 ![]() |
모건 ![]() 웜백 ![]() | |||||
승부차기 | ||||||
미야마 ![]() 나가사토 ![]() 사카구치 ![]() 구마가이 ![]() |
3 – 1 | ![]() ![]() ![]() ![]() |
||||
우승국[편집]
FIFA 여자 월드컵 우승 |
---|
![]() |
2011년 |
수상[편집]
골든볼 | 실버볼 | 브론즈볼 |
---|---|---|
![]() |
![]() |
![]() |
골든슈 | 실버슈 | 브론즈슈 |
![]() |
![]() |
![]() |
골든 글러브 | 영플레이어 | FIFA 페어플레이상 |
![]() |
![]() |
![]() |
올스타 팀[편집]
골키퍼 | 수비수 | 미드필더 | 공격수 |
---|---|---|---|
|
최종 순위[편집]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1 | ![]() |
6 | 4 | 1 | 1 | 12 | 6 | +6 | 13 |
2 | ![]() |
6 | 3 | 2 | 1 | 13 | 7 | +6 | 11 |
3 | ![]() |
6 | 5 | 0 | 1 | 10 | 6 | +4 | 15 |
4 | ![]() |
6 | 2 | 1 | 3 | 10 | 10 | 0 | 7 |
5 | ![]() |
4 | 3 | 1 | 0 | 9 | 2 | +7 | 10 |
6 | ![]() |
4 | 3 | 0 | 1 | 7 | 4 | +3 | 9 |
7 | ![]() |
4 | 2 | 2 | 0 | 6 | 3 | +3 | 8 |
8 | ![]() |
4 | 2 | 0 | 2 | 6 | 7 | -1 | 6 |
9 | ![]() |
3 | 1 | 0 | 2 | 1 | 2 | -1 | 3 |
10 | ![]() |
3 | 1 | 0 | 2 | 2 | 5 | -3 | 3 |
11 | ![]() |
3 | 0 | 2 | 1 | 3 | 7 | -4 | 2 |
12 | ![]() |
3 | 0 | 1 | 2 | 4 | 6 | -2 | 1 |
13 | ![]() |
3 | 0 | 1 | 2 | 0 | 3 | -3 | 1 |
14 | ![]() |
3 | 0 | 1 | 2 | 0 | 4 | -4 | 1 |
15 | ![]() |
3 | 0 | 0 | 3 | 2 | 7 | -5 | 0 |
16 | ![]() |
3 | 0 | 0 | 3 | 1 | 7 | -6 | 0 |
- 우승에서 4위까지는 준결승, 3, 4위전 및 결승전 결과로 순위를 가린다. 이전 단계에서 탈락한 팀들의 순위는 조별 리그와 동일하게 승점-골득실차-다득점순으로 가리며 모두 같을 경우 공동 순위로 한다.
- 8강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5위에서 최하 8위까지이다.
-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9위에서 최하 16위까지이다.
- 토너먼트에서 승부차기로 경기가 가려진 경우에는 FIFA의 규정에 따라 무승부로 기재한다.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