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원어 명칭2007年女子世界杯足球赛
개최국중국의 기 중국
개최기간9월 10일 ~ 9월 30일
경기장5 (5개 도시)
참가팀16 (6개 대륙)
결과
우승Flag of Germany.svg 독일 (2번째 우승)
준우승브라질 브라질
3위Flag of the United States.svg 미국
4위Flag of Norway.svg 노르웨이
최다 득점브라질 마르타 (7골)
최우수 선수브라질 마르타
통계
총 경기32경기
총 득점111골 (경기당 3.47골)
총 관중1,156,955명 (경기당 36,155명)
« 2003
2011 »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중국에서 열린 다섯 번째 FIFA 여자 월드컵 대회로 2007년 9월 10일부터 9월 30일까지 20일간 열렸다.

중국은 원래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개최국이었지만 2003년 중국에서 일어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사스) 확산의 여파로 인해 개최권을 반납했다. 이에 따라 국제 축구 연맹(FIFA)은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개최권을 미국에 넘겨주었고 중국에게는 이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개최권을 주었다. 그에 따라 이번 대회가 중국에서 열리게 된 것이다.

예선[편집]

본선 진출국

본선 진출국[편집]

아프리카 (CAF)
아시아 (AFC)
북중미 & 카리브해 (CONCACAF)
유럽 (UEFA)
오세아니아 (OFC)
남아메리카 (CONMEBOL)

시드 배정[편집]

조 추첨은 2007년 4월 22일우한에서 진행되었다. 추첨에 앞서 중국, 독일, 미국, 노르웨이가 톱 시드를 배정받았는데 독일은 A1, 중국은 D1에 각각 배정되었다. 본선에 진출한 팀들은 유럽을 제외한 같은 대륙별 축구 연맹에 속한 팀이 같은 조에 편성될 수 없도록 다음과 같이 포트를 배정받았다.

  • 1그룹(톱 시드): 중국(개최국), 독일(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우승 팀), 미국, 노르웨이(2007년 3월 FIFA 여자 랭킹 최상위 2개 팀)
  • 2그룹: 톱 시드를 받지 못한 아시아 팀
  • 3그룹: 톱 시드를 받지 못한 유럽 팀
  • 4그룹: 아프리카 팀, 오세아니아 팀, 아르헨티나
  • 특별 포트: 브라질, 캐나다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특별 포트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중화인민공화국 (개최국, D1에 배정됨)
Flag of Germany.svg 독일 (A1에 배정됨)
Flag of Norway.svg 노르웨이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미국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Flag of Japan.svg 일본
Flag of North Korea.sv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Flag of Denmark.svg 덴마크
Flag of England.svg 잉글랜드
Flag of Sweden.svg 스웨덴

Flag of Argentina.svg 아르헨티나
Flag of Ghana.svg 가나
Flag of New Zealand.svg 뉴질랜드
Flag of Nigeria.svg 나이지리아

Flag of Brazil.svg 브라질
Flag of Canada.svg 캐나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톈진 우한 항저우 청두 상하이
톈진 올림픽 센터 우한 스포츠 센터 황룡 스포츠 센터 청두 스포츠 센터 홍커우 경기장
수용 인원: 60,000명 수용 인원: 55,000명 수용 인원: 51,000명 수용 인원: 40,000명 수용 인원: 33,000명
Tianjin Olympic Center Stadium.jpg Yangze Bridge Wuhan.jpg Hangzhou-yellow-dragon-stad.jpg Chengdu Sports Center.JPG Hongkou Stadium in Shanghai.jpg

상금[편집]

FIFA 여자 월드컵 사상 처음으로, 모든 팀들이 팀의 성적에 따라 상금을 받게 된다. (모두 미국 달러로 표시)[1]

  • 우승: 1,000,000 미국 달러
  • 준우승: 800,000 미국 달러
  • 3위: 650,000 미국 달러
  • 4위: 550,000 미국 달러
  • 8강 진출 팀: 300,000 미국 달러
  • 조별 리그 탈락 팀: 200,000 미국 달러

선수 명단[편집]

조별 리그[편집]

A조[편집]

승점 경기
Flag of Germany.svg 독일 7 3 2 1 0 13 0 +13
Flag of England.svg 잉글랜드 5 3 1 2 0 8 3 +5
Flag of Japan.svg 일본 4 3 1 1 1 3 4 −1
Flag of Argentina.svg 아르헨티나 0 3 0 0 3 1 18 −17

2007년 9월 10일
독일 Flag of Germany.svg 11 – 0 Flag of Argentina.svg 아르헨티나 상하이, 홍커우 경기장
관중: 28,098명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태미 오그스턴
베링거 12분, 24분에 득점 12′24′
가레프레케스 17분에 득점 17′
프린츠 29분, 45+1분, 59분에 득점 29′45+1′59′
링고어 51분, 90+1분에 득점 51′90+1′
슈미제크 57분, 70분, 79분에 득점 57′70′79′

2007년 9월 11일
잉글랜드 Flag of England.svg 2 – 2 Flag of Japan.svg 일본 상하이, 홍커우 경기장
관중: 27,146명
심판: 미국 카리 세이츠
스미스 81분, 83분에 득점 81′83′ 미야마 55분, 90+5분에 득점 55′90+5′

2007년 9월 14일
아르헨티나 Flag of Argentina.svg 0 – 1 Flag of Japan.svg 일본 상하이, 홍커우 경기장
관중: 27,730명
심판: 체코 다그마르 담코바
나가사토 90+1분에 득점 90+1′

2007년 9월 14일
독일 Flag of Germany.svg 0 – 0 Flag of England.svg 잉글랜드 상하이, 홍커우 경기장
관중: 27,730명
심판: 스웨덴 제니 팔름크비스트

2007년 9월 17일[2]
아르헨티나 Flag of Argentina.svg 1 – 6 Flag of England.svg 잉글랜드 청두, 청두 스포츠 센터
관중: 30,730명
심판: 가이아나 디앤 페레이라제임스
곤살레스 60분에 득점 60′ 곤살레스 9분에 득점 (상대 자책골) 9′ (자책골)
스콧 10분에 득점 10′
윌리엄스 50분에 득점 50′ (페널티킥)
스미스 64분, 77분에 득점 64′77′
엑슬리 90분에 득점 90′ (페널티킥)

2007년 9월 17일[2]
일본 Flag of Japan.svg 0 – 2 Flag of Germany.svg 독일 항저우, 황룡 스포츠 센터
관중: 39,817명
심판: 콜롬비아 아드리아나 코레아
프린츠 21분에 득점 21′
링고어 87분에 득점 87′ (페널티킥)

B조[편집]

승점 경기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미국 7 3 2 1 0 5 2 +3
Flag of North Korea.sv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 3 1 1 1 5 4 +1
Flag of Sweden.svg 스웨덴 4 3 1 1 1 3 4 −1
Flag of Nigeria.svg 나이지리아 1 3 0 1 2 1 4 −3

2007년 9월 11일
미국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2 – 2 Flag of North Korea.sv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청두, 청두 스포츠 센터
관중: 35,100명
심판: 스위스 니콜 프티냐
웜백 50분에 득점 50′
오라일리 69분에 득점 69′
길선희 58분에 득점 58′
김영애 60분에 득점 60′

2007년 9월 11일
스웨덴 Flag of Sweden.svg 1 – 1 Flag of Nigeria.svg 나이지리아 청두, 청두 스포츠 센터
관중: 21,740명
심판: 중국 뉴후이쥔
스벤손 50분에 득점 50′ 우와크 82분에 득점 82′

2007년 9월 14일
미국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2 – 0 Flag of Sweden.svg 스웨덴 청두, 청두 스포츠 센터
관중: 35,600명
심판: 헝가리 거알 죈지
웜백 34분에 득점 34′ (페널티킥)

2007년 9월 14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Flag of North Korea.svg 2 – 0 Flag of Nigeria.svg 나이지리아 청두, 청두 스포츠 센터
관중: 35,600명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태미 오그스턴
김경화 17분에 득점 17′
리금숙 21분에 득점 21′

2007년 9월 18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Flag of North Korea.svg 1 – 2 Flag of Sweden.svg 스웨덴 톈진, 톈진 올림픽 센터
관중: 33,196명
심판: 독일 크리스티네 베크
리은숙 22분에 득점 22′ 셸린 4분, 54분에 득점 4′54′

2007년 9월 18일
나이지리아 Flag of Nigeria.svg 0 – 1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미국 상하이, 홍커우 경기장
관중: 26,100명
심판: 일본 오이와 마유미
챌러프니 1분에 득점 1′

C조[편집]

승점 경기
Flag of Norway.svg 노르웨이 7 3 2 1 0 10 4 +6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5 3 1 2 0 7 4 +3
Flag of Canada.svg 캐나다 4 3 1 1 1 7 4 +3
Flag of Ghana.svg 가나 0 3 0 0 3 3 15 −12

2007년 9월 12일
오스트레일리아 Flag of Australia.svg 4 – 1 Flag of Ghana.svg 가나 항저우, 황룡 스포츠 센터
관중: 30,752명
심판: 콜롬비아 아드리아나 코레아
월시 15분에 득점 15′
디 배나 57분, 81분에 득점 57′81′
개리옥 69분에 득점 69′
아망콰 70분에 득점 70′

2007년 9월 12일
노르웨이 Flag of Norway.svg 2 – 1 Flag of Canada.svg 캐나다 항저우, 황룡 스포츠 센터
관중: 30,752명
심판: 독일 크리스티네 베크
굴브란센 52분에 득점 52′
호르페스타드 81분에 득점 81′
채프먼 33분에 득점 33′

2007년 9월 15일
캐나다 Flag of Canada.svg 4 – 0 Flag of Ghana.svg 가나 항저우, 황룡 스포츠 센터
관중: 33,835명
심판: 스위스 니콜 프티냐
싱클레어 16분, 62분에 득점 16′62′
슈미트 55분에 득점 55′
프랭코 77분에 득점 77′

2007년 9월 15일
노르웨이 Flag of Norway.svg 1 – 1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항저우, 황룡 스포츠 센터
관중: 33,835명
심판: 중국 뉴후이쥔
굴브란센 5분에 득점 5′ 디 배나 83분에 득점 83′

2007년 9월 20일[3]
노르웨이 Flag of Norway.svg 7 – 2 Flag of Ghana.svg 가나 항저우, 황룡 스포츠 센터
관중: 43,817명
심판: 미국 제니퍼 베넷
스톨뢰켄 4분에 득점 4′
굴브란센 39분, 59분, 62분에 득점 39′59′62′
호르페스타드 45분에 득점 45′ (페널티킥)
헬로브센 56분에 득점 56′
클라베네스 69분에 득점 69′
바요르 73분에 득점 73′
오코에 80분에 득점 80′ (페널티킥)

2007년 9월 20일[3]
오스트레일리아 Flag of Australia.svg 2 – 2 Flag of Canada.svg 캐나다 청두, 청두 스포츠 센터
관중: 29,300명
심판: 헝가리 거알 죈지
매캘럼 53분에 득점 53′
솔즈베리 90+2분에 득점 90+2′
탱크레디 1분에 득점 1′
싱클레어 85분에 득점 85′

D조[편집]

승점 경기
Flag of Brazil.svg 브라질 9 3 3 0 0 10 0 +10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중화인민공화국 6 3 2 0 1 5 6 −1
Flag of Denmark.svg 덴마크 3 3 1 0 2 4 4 0
Flag of New Zealand.svg 뉴질랜드 0 3 0 0 3 0 9 −9

2007년 9월 12일
브라질 Flag of Brazil.svg 5 – 0 Flag of New Zealand.svg 뉴질랜드 우한, 우한 스포츠 센터
관중: 33,500명
심판: 태국 빤니빠르 깜능
다니엘라 10분에 득점 10′
크리스치아니 54분에 득점 54′
마르타 74분, 90+3분에 득점 74′90+3′
헤나타 코스타 86분에 득점 86′

2007년 9월 12일
중화인민공화국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3 – 2 Flag of Denmark.svg 덴마크 우한, 우한 스포츠 센터
관중: 50,800명
심판: 가이아나 디앤 페레이라제임스
리제 31분에 득점 31′
비얀 50분에 득점 50′
쑹샤오리 88분에 득점 88′
닐센 51분에 득점 51′
쇠렌센 87분에 득점 87′

2007년 9월 15일
덴마크 Flag of Denmark.svg 2 – 0 Flag of New Zealand.svg 뉴질랜드 우한, 우한 스포츠 센터
관중: 54,000명
심판: 일본 오이와 마유미
페데르센 61분에 득점 61′
쇠렌센 66분에 득점 66′

2007년 9월 15일
중화인민공화국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0 – 4 Flag of Brazil.svg 브라질 우한, 우한 스포츠 센터
관중: 54,000명
심판: 미국 제니퍼 베넷
마르타 42분, 70분에 득점 42′70′
크리스치아니 47분, 48분에 득점 47′48′

2007년 9월 20일[3]
중화인민공화국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2 – 0 Flag of New Zealand.svg 뉴질랜드 톈진, 톈진 올림픽 센터
관중: 56,208명
심판: 체코 다그마르 담코바
리제 57분에 득점 57′
셰차이샤 79분에 득점 79′

2007년 9월 20일[3]
브라질 Flag of Brazil.svg 1 – 0 Flag of Denmark.svg 덴마크 항저우, 황룡 스포츠 센터
관중: 43,817명
심판: 미국 카리 세이츠
프레치냐 90+1분에 득점 90+1′

결선 토너먼트[편집]

 
8강준결승결승
 
          
 
9월 22일 - 우한
 
 
Flag of Germany.svg 독일3
 
9월 26일 - 톈진
 
Flag of North Korea.sv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0
 
Flag of Germany.svg 독일3
 
9월 23일 - 우한
 
Flag of Norway.svg 노르웨이0
 
Flag of Norway.svg 노르웨이1
 
9월 30일 - 상하이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중화인민공화국0
 
Flag of Germany.svg 독일2
 
9월 22일 - 톈진
 
Flag of Brazil.svg 브라질0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미국3
 
9월 27일 - 항저우
 
Flag of England.svg 잉글랜드0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미국0
 
9월 23일 - 톈진
 
Flag of Brazil.svg 브라질4 3위 결정전
 
Flag of Brazil.svg 브라질3
 
9월 30일 - 상하이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2
 
Flag of Norway.svg 노르웨이1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미국4
 

8강전[편집]


2007년 9월 22일
독일 Flag of Germany.svg 3 – 0 Flag of North Korea.sv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우한, 우한 스포츠 센터
관중: 37,200명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태미 오그스턴
가레프레케스 44분에 득점 44′
링고어 67분에 득점 67′
크란 72분에 득점 72′

2007년 9월 22일
미국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3 – 0 Flag of England.svg 잉글랜드 톈진, 톈진 올림픽 센터
관중: 29,586명
심판: 스웨덴 제니 팔름크비스트
웜백 48분에 득점 48′
복스 57분에 득점 57′
릴리 60분에 득점 60′

2007년 9월 23일
노르웨이 Flag of Norway.svg 1 – 0 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 중화인민공화국 우한, 우한 스포츠 센터
관중: 52,000명
심판: 헝가리 거알 죈지
헬로브센 32분에 득점 32′

2007년 9월 23일
브라질 Flag of Brazil.svg 3 – 2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톈진, 톈진 올림픽 센터
관중: 35,061명
심판: 독일 크리스티네 베크
포르미가 4분에 득점 4′
마르타 23분에 득점 23′ (페널티킥)
크리스치아니 75분에 득점 75′
디 배나 36분에 득점 36′
콜소프 68분에 득점 68′

준결승전[편집]


2007년 9월 26일
독일 Flag of Germany.svg 3 – 0 Flag of Norway.svg 노르웨이 톈진, 톈진 올림픽 센터
관중: 53,819명
심판: 체코 다그마르 담코바
뢴닝 42분에 득점 (상대 자책골) 42′ (자책골)
슈테게만 72분에 득점 72′
뮐러 75분에 득점 75′

2007년 9월 27일
미국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0 – 4 Flag of Brazil.svg 브라질 항저우, 황룡 스포츠 센터
관중: 47,818명
심판: 스위스 니콜 프티냐
오즈번 20분에 득점 (상대 자책골) 20′ (자책골)
마르타 27분, 79분에 득점 27′79′
크리스치아니 56분에 득점 56′

3·4위전[편집]


2007년 9월 30일
노르웨이 Flag of Norway.svg 1 – 4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미국 상하이, 홍커우 경기장
관중: 32,068명
심판: 헝가리 거알 죈지
굴브란센 63분에 득점 63′ 웜백 30분, 46분에 득점 30′46′
챌러프니 58분에 득점 58′
오라일리 59분에 득점 59′

결승전[편집]


2007년 9월 30일
독일 Flag of Germany.svg 2 – 0 Flag of Brazil.svg 브라질 상하이, 홍커우 경기장
관중: 31,000명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태미 오그스턴
프린츠 52분에 득점 52′
라우더 86분에 득점 86′

우승국[편집]

FIFA 여자 월드컵 우승

독일
독일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2003년2007년

수상[편집]

골든볼 실버볼 브론즈볼
브라질 마르타 독일 비르기트 프린츠 브라질 크리스치아니
골든슈 실버슈 브론즈슈
브라질 마르타 미국 애비 웜백 노르웨이 랑힐 굴브란센
7골 6골 6골
FIFA 페어플레이상
Flag of Norway.svg 노르웨이

올스타 팀[편집]

골키퍼 수비수 미드필더 공격수

독일 나딘 앙거러
노르웨이 벤테 노르뷔

독일 아리아네 힝스트
중국 리제
노르웨이 아네 스탕엘란 호르페스타드
독일 케르스틴 슈테게만

브라질 다니엘라
브라질 포르미가
잉글랜드 켈리 스미스
독일 레나테 링고어
노르웨이 잉빌 스텐슬란
미국 크리스틴 릴리

오스트레일리아 리사 디 배나
브라질 마르타
브라질 크리스치아니
독일 비르기트 프린츠

최종 순위[편집]

순위 경기수 득실차 승점
1 Flag of Germany.svg 독일 6 5 1 0 21 0 +21 16
2 브라질 브라질 6 4 1 1 17 4 +13 13
3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미국 6 4 1 1 12 7 +5 13
4 Flag of Norway.svg 노르웨이 6 3 1 2 12 11 +1 10
5 중국 중국 4 2 0 2 5 7 -2 6
6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4 1 2 1 9 7 +2 5
7 잉글랜드 잉글랜드 4 1 2 1 8 6 +2 5
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 1 1 2 5 7 -2 4
9 Flag of Canada.svg 캐나다 3 1 1 1 7 4 +3 4
10 Flag of Japan.svg 일본 3 1 1 1 3 4 -1 4
10 Flag of Sweden.svg 스웨덴 3 1 1 1 3 4 -1 4
12 Flag of Denmark.svg 덴마크 3 1 0 2 4 4 0 3
13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3 0 1 2 1 4 -3 1
14 뉴질랜드 뉴질랜드 3 0 1 2 0 9 -9 1
15 가나 가나 3 0 0 3 3 15 -12 0
16 Flag of Argentina.svg 아르헨티나 3 0 0 3 1 18 -17 0
  • 우승에서 4위까지는 준결승, 3, 4위전 및 결승전 결과로 순위를 가린다. 이전 단계에서 탈락한 팀들의 순위는 조별 리그와 동일하게 승점-골득실차-다득점순으로 가리며 모두 같을 경우 공동 순위로 한다.
  • 8강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5위에서 최하 8위까지이다.
  •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9위에서 최하 16위까지이다.
  • 토너먼트에서 승부차기로 경기가 가려진 경우에는 FIFA의 규정에 따라 무승부로 기재한다.

각주[편집]

  1. FIFA Women's World Cup China 2007 on target Archived 2006년 10월 17일 - 웨이백 머신, 2006년 10월 18일 확인.
  2. 2007년 9월 18일에 열릴 예정이었지만 만주사변과 관련된 중국 측의 요청에 따라 9월 17일로 변경되었다.
  3. 2007년 9월 19일에 열릴 예정이었지만 태풍 위파로 인해 9월 20일로 변경되었다.